차량 하차 두고 1시간 대치 끝에 현장 빠져나가
제주 4·3 추념식을 앞두고 제주 4·3 평화공원 앞에서 집회를 예고했던 서북청년단이 강한 반발에 부딪혀 집회를 진행하지 못했습니다.
오늘(3일) 오전 7시 20분 쯤 서북청년단 소속 회원들은 제주평화공원 맞은 편에서 집회를 위해 차량 하차를 시도했습니다.
현장에서 맞불집회를 예고했던 4·3유관단체 회원과 제주지역 시민단체 회원들은 이들이 차량 하차를 하지 못하도록 에워싼 채 한 시간 정도 대치를 이어갔습니다.
이에 서북청년단 회원들은 사전에 경찰에 신고한 만큼 예정된 집회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제주지역 시민단체 회원들은 충돌이 빚어질 상황을 예상했다면 경찰에서도 집회 신고를 받아선 안됐었다며 항의했고, 결국 서북청년단은 집회를 열지 못하고 현장을 빠져나갔습니다.
하지만 서북청년단 오후에는 제주시청 인근에서 추가 집회를 예고한 상태라 긴장감은 여전한 상태입니다.
이에 앞서 제주에서는 4·3 75주년 추념식을 앞두고 4·3을 폄훼·왜곡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공분이 잇따랐습니다.
4·3이 김일성 지시로 촉발됐다는 내용을 담은 4.3 폄훼 현수막이 내걸리면서 유족회 등의 규탄 성명이 잇따랐고 제주시와 서귀포시는 4·3 특별법의 내용에 맞지 않는 불법 현수막이라며 해당 현수막을 철거하기도 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동은 (kdeun2000@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북청년단의 제주4·3평화공원 앞 집회를 앞두고 대치가 벌어진 모습
제주 4·3 추념식을 앞두고 제주 4·3 평화공원 앞에서 집회를 예고했던 서북청년단이 강한 반발에 부딪혀 집회를 진행하지 못했습니다.
오늘(3일) 오전 7시 20분 쯤 서북청년단 소속 회원들은 제주평화공원 맞은 편에서 집회를 위해 차량 하차를 시도했습니다.
현장에서 맞불집회를 예고했던 4·3유관단체 회원과 제주지역 시민단체 회원들은 이들이 차량 하차를 하지 못하도록 에워싼 채 한 시간 정도 대치를 이어갔습니다.
이에 서북청년단 회원들은 사전에 경찰에 신고한 만큼 예정된 집회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제주지역 시민단체 회원들은 충돌이 빚어질 상황을 예상했다면 경찰에서도 집회 신고를 받아선 안됐었다며 항의했고, 결국 서북청년단은 집회를 열지 못하고 현장을 빠져나갔습니다.
하지만 서북청년단 오후에는 제주시청 인근에서 추가 집회를 예고한 상태라 긴장감은 여전한 상태입니다.
이에 앞서 제주에서는 4·3 75주년 추념식을 앞두고 4·3을 폄훼·왜곡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공분이 잇따랐습니다.
4·3이 김일성 지시로 촉발됐다는 내용을 담은 4.3 폄훼 현수막이 내걸리면서 유족회 등의 규탄 성명이 잇따랐고 제주시와 서귀포시는 4·3 특별법의 내용에 맞지 않는 불법 현수막이라며 해당 현수막을 철거하기도 했습니다.

서북청년단의 제주4·3평화공원 앞 집회를 앞두고 대치가 벌어진 모습
JIBS 제주방송 김동은 (kdeun2000@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