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에 부탁해 의원직 지켰다?”… 박지원–나경원, 법사위 한복판에서 ‘정면 충돌’
26일 국회 법사위는 ‘정치 공방’이라는 표현조차 부족했습니다. 질의 시간 시비로 시작된 언쟁은 박지원 의원의 “남편한테 부탁해 의원직 지켰다”는 발언으로 불이 붙었고, 나경원 의원은 “허위 사실”을 외치며 책상을 치고 맞섰습니다. 고성이 이어지던 회의장에는 추미애 위원장의 퇴장 명령까지 떨어졌고, 대통령 사법개입 논쟁이 끼어들면서 종일 파열음이 멈추지 않았습니다. ■ “남편한테 부탁해서 의원직 지켰으면 조용히 해라”… 시작은 한 문장 27일 정치권에 따르면 논란은 전날(26일) 법사위 대체토론 도중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편파적 진행”을 지적하면서 불씨가 일었습니다.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즉시 끼어들었습니다. “조용히 해요! 나서지 마요! 남편한테 부탁해서 의원직 지켰으면 됐지, 뭘 그래!” 나 의원은 “허위 사실 말하지 마세요”라며 강하게 항의했고, 박 의원은 다시 목소리를 올렸습니다. “나빠루! 남편한테 부탁해 가지고 선진화법 의원직 지켰으면 가만히 있어요.” 여야 의원들이 동시에 자리에서 일어났고, 신동욱 국민의힘 의원은 “명예훼손 아니냐”고 박 의원을 몰아세웠습니다. 하지만 박 의원은 한 치도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내가 했다고. 그게 왜 망언이야. 사실이지.” ■ 나경원 “면책특권 뒤에 숨지 마라”… 박지원 “사실인데 왜 사과하냐” 나 의원은 자신의 질의 순서가 오자 다시 박 의원을 지목했습니다. “면책특권 뒤에 숨어서 허위 사실을 말해요? 당장 사과하세요.” 박 의원은 “선진화법 유죄는 맞잖아요. 사실을 얘기했는데 무슨 사과를 하라는 건가요”라고 받아쳤습니다. 고성은 끊이지 않았고, 회의장은 이미 정상적인 논의가 어려운 상태로 밀려갔습니다. ■ “범죄자 대통령”… 추미애 경고, 충돌은 2라운드로 갈등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습니다. 나 의원이 정성호 법무부 장관에게 “대통령이 자기 죄 지우느라 바쁘다”, “범죄자 대통령이니까 나라가 이 모양”이라고 발언하면서 논쟁은 완전히 다른 국면으로 바뀌었습니다. 추미애 위원장은 즉시 제지했습니다. “현직 대통령을 범죄자라고 단정해요? 국격을 훼손하는 발언입니다.” 국민의힘 의원들이 일제히 반발하며 회의장은 또 한 번 소란으로 잠겼습니다. ■ “본인이 유죄 받은 분이”… “독재다” 추 위원장은 나 의원의 국회선진화법 벌금형을 다시 꺼냈습니다. “본인이 이미 유죄 판결을 받지 않았습니까.” 나 의원은 “이게 독재죠. 이렇게 마음대로 진행하는 게 독재”라고 맞섰고, 추 위원장은 즉시 반박했습니다. “걸핏하면 독재라고 하는데 윤석열·김건희 독재에는 왜 조용했습니까.” 양측의 감정선은 완전히 끊어졌습니다. ■ 결국 퇴장 명령… “말끝마다 싸움 걸면 나가라” 소란이 계속되자, 추 위원장은 나 의원에게 단호히 말했습니다. “더는 발언권을 주지 않겠습니다. 지시를 안 따를 거면 퇴장하세요.” 국민의힘 의원들이 반발하며 회의장은 다시 흔들렸고, 나 의원은 박 의원에게 책상을 치며 고성을 질렀습니다. “말 좀 조심하세요! 아무 말이나 던지지 마세요!” 박 의원도 고성을 되받았습니다. “퇴장해! 나를 고발하라고!” 회의는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며 파행을 이어갔습니다. ■ SNS에서 이어진 ‘2차전’… “대통령 사유화 정치가 나라를 무너뜨린다 ” 회의 직후 나 의원은 자신의 SNS에 장문의 글을 올려 재차 여당과 추 위원장을 정면으로 비판했습니다. “면책특권 뒤에서 허위 사실을 남발하고 야당 질의를 틀어막았다”, “추미애 위원장의 직권 남용이 국회를 무너뜨리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대장동 항소 포기 논란, 대북송금 감찰 압박, 법원행정처 폐지 논의 등을 나열하며 “대통령 사유화가 사법·행정·경제 전반을 흔들고 있다”고 맹비난했습니다. ■ ‘정치가 여기까지 왔다’, 현장만 남아 이날 법사위는 제도 논의보다 감정 충돌에 대부분 시간을 소모했습니다. 정책 검증은 사라졌고, 비난·조롱·유죄 거론·대통령 비하가 뒤섞이며 회의장은 사실상 기능을 잃었습니다. 정치권에서는 ”여야가 ‘허위 사실’, ‘독재’, ‘범죄자’ 같은 극단적 언어만 주고받으면, 국회가 책임을 보여줄 공간은 더 좁아진다“면서 “충돌이 거칠어질수록 그 피해는 결국 국민에게 돌아간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2025-11-27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