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 생활유지비 월 369만 원
준비 가능 액수 212만 원 그쳐
조기 퇴직→최소생활비 미달
응답자 과반 “경제 준비 못해”
5명 중 1명 “노후준비 돼 있다”
은퇴 이후에 노후생활을 유지하려면 무엇보다 ‘경제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이들의 절반 이상 ‘노후의 경제적 준비가 미흡하다’거나 아예 ‘시작도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후 필요한 비용이 한 달 370만 원에 이르지만, 정작 이렇게 생각하는 이들의 60%가 그 정도 생활비 마련에 자신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6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간한 ‘2023 KB골든라이프 보고서’에 따르면 ‘노후 경제적 준비를 아직 시작하지 못한 가구’가 전체 52.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행복한 노후생활의 양대 기둥을 ‘건강’(35.7%)과 ‘경제력’(30.1%)으로 꼽았지만 정작 ‘경제적 준비는 미흡하다’(53.5%)고 2명 중 1명 이상 답했습니다.
조사는 지난 1월 3~27일 전국 주요 도시에 거주하는 20~79살 성인 3,000명((가구 내 금융의사 결정자)을 대상으로 실시했습니다. 보고서는 노후생활 대비 준비 상황, 노후 대비 경제적 준비 상황, 노후 거주지 선택 관련 니즈, 부부 가구의 노후 준비 상황 등 한국 가구의 노후 준비에 대한 내용을 두루 담았습니다.
■ 노후 필요 생활비 “57.6% 조달 가능”.. 나머지는?
조사결과 노후 기본적 의식주 해결만을 위한 최소 생활비가 평균 월 251만 원, 여행·여가 활동·손자녀 용돈 등에도 지출할 수 있는 적정 생활비는 월 369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5년 전인 2018년 같은 조사 당시 때와 비교해 최소·적정 생활비가 각 67만 원, 106만 원이 늘어난 수준입니다.
하지만 설문 대상자들은 현재 가구 소득, 지출, 저축 여력 등 경제적 요건을 종합할 때 노후생활비로 준비할 수 있는 금액은 최소 생활비(251만 원)에도 못 미치는 평균 월 212만 원 정도라고 답했습니다. 이는 전체 적정 생활비(369만 원)의 60%에도 이르지 못한 수준으로, 기본적인 노후를 유지하기에 157만 원이나 부족했습니다.
관련해 응답자들은 ‘노후 매월 생활비로 조달 가능한 금액의 65.6%는 각종 연금으로 충당할 것’이라 답했습니다.
전반적인 노후 준비가 잘돼 있다는 가구가 21.2%로, 5년전 22.2%보다 다소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노후생활 대비 준비 상황을 살펴봤더니, 응답자들은 행복한 노후생활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건강’(35.7%)과 ‘경제력’(30.1%)를 꼽았습니다.
은퇴전가구(35.2%)보다 은퇴후가구(40.7%)가 ‘건강’에 무게를 실었고, 1인 가구(31.3%)는 부부 가구(29.0%)보다 ‘경제력’을 꼽은 가구가 많았습니다.
경제적 준비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은 ‘소득 부족’(57.1%)이 가장 비중이 컸습니다. 이어 ‘경제 불확실성·물가상승’(48.2%)과 ‘예기치 못한 사고 발생 가능성’(41.3%)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그 외 자녀 교육이나 결혼, 본인 결혼 등 ‘예정된 지출 부담’(37.5%), ‘은퇴 설계를 위한 재무 정보나 지식이 부족’ 등으로 준비가 어렵다는 응답도 22.3%로 나타났습니다.
■ 노후 경제 준비 기간 10년↓.. “시작 못해” 52.5%
아직 은퇴하지 않은 2,477명이 원하는 퇴직 연령은 평균 65세로, 이미 은퇴한 409명의 실제 퇴직 나이는 희망보다 10년이나 이른 평균 55세로 나타났습니다. 이같은 희망·실제 은퇴 연령의 차이 등으로 인해 조사 대상자 절반이 넘는 52.5%가 “아직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를 시작하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노후 준비 연령도 늦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후 대비 경제 준비가 시작된 연령이 2018년 평균 44살에서 올해 45살로 1년이 늦어졌습니다.
부부 가구의 노후 준비 상황을 살펴봤더니 전반적인 노후생활 준비 정도가 1점(전혀 준비되어 있지 않다)에서 7점(매우 잘 준비되어 있다)으로 측정할 때 ‘자녀가 있는 부부 가구’의 노후생활 준비 정도는 3.89점으로 ‘자녀가 없는 부부 가구’ 3.48점보다 높았습니다.
자녀 없는 부부 가구의 연금 의존도가 높아, 이들 가구는 평균 3.1개 연금을 보유해 ‘자녀가 있는 부부가구’ 2.3개보다는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앞으로 ‘주택 연금을 이용할 의향이 있다’는 답이 26.8%로 ‘자녀가 있는 부부가구’의 18.5%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노후생활이 지금보다 좋아질 것으로 내다보는 가구는 30% 정도로, 개인연금을 보유한 가구가 더 긍정적으로 생각했습니다.
■ 노후 거주 “이전 살던 곳 원해”.. 60% “실버타운 갈 수 있다”
아직 은퇴하지 않고 자녀를 둔 부부 가구가 노후 거주지의 첫 번째 요소로 꼽은 것(중복 선택)은 ‘의료시설’(72.6%)로 이어 ‘쇼핑시설’(53.1%), 공원 등 ‘자연환경’(51.9%), ‘교통’(49.0%) 등이 주요 인프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인근에 자녀가 사는 곳’을 주요 조건으로 답한 비율은 15.0%에 그쳤습니다.
실제 은퇴한 은퇴후가구의 경우엔 ‘은퇴 전 거주지에서 거주하기’(42.6%)를 희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응답자 59.6%가 ‘노후에도 살던 곳에서 계속 살고 싶다’는 의사를 나타냈습니다. 늦은 나이 혹은 생을 마감할 때까지 익숙한 장소에서 자립적으로 생활하고자 하는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에 동의하는 비율은 66.2%로, 다만 이처럼 노후를 보내기 위한 대책으로는 ‘배우자·가족 간병’(32.5%) 등 생활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자녀가 있는 부부 76.4%, 자녀가 없는 부부 66.9%는 현재 거주하는 집을 고쳐서 계속 살기를 원했고 이들 그룹에서 실버타운 거주에 대한 긍정적 의견 비율은 각 59.7%, 66.9%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설문 대상자의 60.7%가 “실버타운에 거주할 수 있다”고 답했습니다.
관련해 전문가들은 “기대 수명 연장과 부양 의무에 대한 인식 변화, 가구 유형 다양화 등으로 인해 맞춤형 노후 준비가 요구되는 상황”이라면서 “노년기, 특히 살던 지역에서 계속 살기를 희망하는 ‘에이징 인 플레이스’에 대한 욕구가 증가세인 점을 감안해, 이를 지원할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주택 신축이나 개조 등을 허용하는 제도적 변화 모색이 필요하다”고 주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준비 가능 액수 212만 원 그쳐
조기 퇴직→최소생활비 미달
응답자 과반 “경제 준비 못해”
5명 중 1명 “노후준비 돼 있다”

은퇴 이후에 노후생활을 유지하려면 무엇보다 ‘경제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이들의 절반 이상 ‘노후의 경제적 준비가 미흡하다’거나 아예 ‘시작도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후 필요한 비용이 한 달 370만 원에 이르지만, 정작 이렇게 생각하는 이들의 60%가 그 정도 생활비 마련에 자신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6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간한 ‘2023 KB골든라이프 보고서’에 따르면 ‘노후 경제적 준비를 아직 시작하지 못한 가구’가 전체 52.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행복한 노후생활의 양대 기둥을 ‘건강’(35.7%)과 ‘경제력’(30.1%)으로 꼽았지만 정작 ‘경제적 준비는 미흡하다’(53.5%)고 2명 중 1명 이상 답했습니다.
조사는 지난 1월 3~27일 전국 주요 도시에 거주하는 20~79살 성인 3,000명((가구 내 금융의사 결정자)을 대상으로 실시했습니다. 보고서는 노후생활 대비 준비 상황, 노후 대비 경제적 준비 상황, 노후 거주지 선택 관련 니즈, 부부 가구의 노후 준비 상황 등 한국 가구의 노후 준비에 대한 내용을 두루 담았습니다.

■ 노후 필요 생활비 “57.6% 조달 가능”.. 나머지는?
조사결과 노후 기본적 의식주 해결만을 위한 최소 생활비가 평균 월 251만 원, 여행·여가 활동·손자녀 용돈 등에도 지출할 수 있는 적정 생활비는 월 369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5년 전인 2018년 같은 조사 당시 때와 비교해 최소·적정 생활비가 각 67만 원, 106만 원이 늘어난 수준입니다.
하지만 설문 대상자들은 현재 가구 소득, 지출, 저축 여력 등 경제적 요건을 종합할 때 노후생활비로 준비할 수 있는 금액은 최소 생활비(251만 원)에도 못 미치는 평균 월 212만 원 정도라고 답했습니다. 이는 전체 적정 생활비(369만 원)의 60%에도 이르지 못한 수준으로, 기본적인 노후를 유지하기에 157만 원이나 부족했습니다.
관련해 응답자들은 ‘노후 매월 생활비로 조달 가능한 금액의 65.6%는 각종 연금으로 충당할 것’이라 답했습니다.
전반적인 노후 준비가 잘돼 있다는 가구가 21.2%로, 5년전 22.2%보다 다소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노후생활 대비 준비 상황을 살펴봤더니, 응답자들은 행복한 노후생활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건강’(35.7%)과 ‘경제력’(30.1%)를 꼽았습니다.
은퇴전가구(35.2%)보다 은퇴후가구(40.7%)가 ‘건강’에 무게를 실었고, 1인 가구(31.3%)는 부부 가구(29.0%)보다 ‘경제력’을 꼽은 가구가 많았습니다.
경제적 준비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은 ‘소득 부족’(57.1%)이 가장 비중이 컸습니다. 이어 ‘경제 불확실성·물가상승’(48.2%)과 ‘예기치 못한 사고 발생 가능성’(41.3%)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그 외 자녀 교육이나 결혼, 본인 결혼 등 ‘예정된 지출 부담’(37.5%), ‘은퇴 설계를 위한 재무 정보나 지식이 부족’ 등으로 준비가 어렵다는 응답도 22.3%로 나타났습니다.

■ 노후 경제 준비 기간 10년↓.. “시작 못해” 52.5%
아직 은퇴하지 않은 2,477명이 원하는 퇴직 연령은 평균 65세로, 이미 은퇴한 409명의 실제 퇴직 나이는 희망보다 10년이나 이른 평균 55세로 나타났습니다. 이같은 희망·실제 은퇴 연령의 차이 등으로 인해 조사 대상자 절반이 넘는 52.5%가 “아직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를 시작하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노후 준비 연령도 늦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후 대비 경제 준비가 시작된 연령이 2018년 평균 44살에서 올해 45살로 1년이 늦어졌습니다.
부부 가구의 노후 준비 상황을 살펴봤더니 전반적인 노후생활 준비 정도가 1점(전혀 준비되어 있지 않다)에서 7점(매우 잘 준비되어 있다)으로 측정할 때 ‘자녀가 있는 부부 가구’의 노후생활 준비 정도는 3.89점으로 ‘자녀가 없는 부부 가구’ 3.48점보다 높았습니다.
자녀 없는 부부 가구의 연금 의존도가 높아, 이들 가구는 평균 3.1개 연금을 보유해 ‘자녀가 있는 부부가구’ 2.3개보다는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앞으로 ‘주택 연금을 이용할 의향이 있다’는 답이 26.8%로 ‘자녀가 있는 부부가구’의 18.5%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노후생활이 지금보다 좋아질 것으로 내다보는 가구는 30% 정도로, 개인연금을 보유한 가구가 더 긍정적으로 생각했습니다.

■ 노후 거주 “이전 살던 곳 원해”.. 60% “실버타운 갈 수 있다”
아직 은퇴하지 않고 자녀를 둔 부부 가구가 노후 거주지의 첫 번째 요소로 꼽은 것(중복 선택)은 ‘의료시설’(72.6%)로 이어 ‘쇼핑시설’(53.1%), 공원 등 ‘자연환경’(51.9%), ‘교통’(49.0%) 등이 주요 인프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인근에 자녀가 사는 곳’을 주요 조건으로 답한 비율은 15.0%에 그쳤습니다.
실제 은퇴한 은퇴후가구의 경우엔 ‘은퇴 전 거주지에서 거주하기’(42.6%)를 희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응답자 59.6%가 ‘노후에도 살던 곳에서 계속 살고 싶다’는 의사를 나타냈습니다. 늦은 나이 혹은 생을 마감할 때까지 익숙한 장소에서 자립적으로 생활하고자 하는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에 동의하는 비율은 66.2%로, 다만 이처럼 노후를 보내기 위한 대책으로는 ‘배우자·가족 간병’(32.5%) 등 생활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자녀가 있는 부부 76.4%, 자녀가 없는 부부 66.9%는 현재 거주하는 집을 고쳐서 계속 살기를 원했고 이들 그룹에서 실버타운 거주에 대한 긍정적 의견 비율은 각 59.7%, 66.9%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설문 대상자의 60.7%가 “실버타운에 거주할 수 있다”고 답했습니다.
관련해 전문가들은 “기대 수명 연장과 부양 의무에 대한 인식 변화, 가구 유형 다양화 등으로 인해 맞춤형 노후 준비가 요구되는 상황”이라면서 “노년기, 특히 살던 지역에서 계속 살기를 희망하는 ‘에이징 인 플레이스’에 대한 욕구가 증가세인 점을 감안해, 이를 지원할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주택 신축이나 개조 등을 허용하는 제도적 변화 모색이 필요하다”고 주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