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2023년 말 주민등록 통계
초등 입학생 30만 명대 첫 추락
65세 이상 인구 18.9% '초고령사회' 목전
제주 인구 3천명 감소...통계 작성 이래 최초
사상 처음으로 우리나라 70대 이상 인구가 20대 인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등학교 입학예정 인구도 처음으로 30만 명대로 떨어졌습니다.
오늘(10일) 행정안전부에서 공개한 '2023년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체 주민등록 인구는 5,132만 5,329명으로 4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전년과 비교하면 0.22%(11만 3,709명) 줄어든 규모입니다. 성별로는 남성이 5년 연속, 여성이 3년 연속 감소 추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지난해 말 20대 인구는 619만 7천여 명으로 70대 이상 인구(631만 9천여 명)보다 적었습니다.
70대 인구가 20대 인구를 추월한 것은 주민등록 인구 통계를 작성한 이래 최초입니다.
최근 10년간 연령별 인구증감 곡선을 보면, 40대 이상 연령대는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인 반면, 그 이상 연령대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대와 70대 인구 격차도 지난 2022년까지 계속해서 좁혀지다 지난해 처음으로 역전됐습니다. 2022년 20대 인구는 641만여 명, 70대는 608만여 명이었습니다.
연령별 인구비로 봤을 때 2022년 전체 인구의 12.48%를 차지했던 20대가 지난해엔 12.07%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70대의 경우 2022년 11.82%에서 지난해 12.31%로 늘었습니다. 이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70대로 진입함에 따른 영향으로 보입니다.
고령 인구로 분류되는 65세 이상 인구는 973만 411명(18.96%)으로, 전년(926만7290명) 보다 5.0%(46만 3,121명) 늘었습니다.
반면, 생산가능인구인 15~64세 인구는 3,593만 1,057명(70.01%)으로, 전년보다 0.96%(3,628만 1,154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핵심 생산가능인구(25~49세)의 감소 폭은 더 커서 전년보다 1.45%(26만 3,240명) 감소한 1,790만 728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등학교 입학 예정 6세 인구도 36만 4,740명으로, 전년보다 11.72%(4만 4,442명) 큰 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대별로는 ▲50대(16.94%) ▲40대(15.44%) ▲60대(14.87%) ▲30대(12.81%) ▲70대 이상(12.31%) ▲20대(12.07%) ▲10대(9.0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제주도 인구는 67만 5,252명으로 전년보다 2,907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지역 주민등록 인구가 감소한 것은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92년 이후 처음입니다.
인구 감소 요인으로는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많은 자연적 요인과 전입 인구보다 전출 인구가 많은 사회적 요인 등 2가지 요인이 모두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제주는 65세 이상이 17.94%에 달해 대구(19.64%), 서울(18.47%), 대전(16.97%), 인천(16.58%) 등 7곳과 함께 고령사회로 분류됐습니다.
행정시별로는 제주시(16.5%)는 고령사회, 서귀포시(21.81%)는 초고령사회로 분류됐습니다.
국제연합(UN)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인 경우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초등 입학생 30만 명대 첫 추락
65세 이상 인구 18.9% '초고령사회' 목전
제주 인구 3천명 감소...통계 작성 이래 최초

노인 자료사진
사상 처음으로 우리나라 70대 이상 인구가 20대 인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등학교 입학예정 인구도 처음으로 30만 명대로 떨어졌습니다.
오늘(10일) 행정안전부에서 공개한 '2023년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체 주민등록 인구는 5,132만 5,329명으로 4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전년과 비교하면 0.22%(11만 3,709명) 줄어든 규모입니다. 성별로는 남성이 5년 연속, 여성이 3년 연속 감소 추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지난해 말 20대 인구는 619만 7천여 명으로 70대 이상 인구(631만 9천여 명)보다 적었습니다.
70대 인구가 20대 인구를 추월한 것은 주민등록 인구 통계를 작성한 이래 최초입니다.
최근 10년간 연령별 인구증감 곡선을 보면, 40대 이상 연령대는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인 반면, 그 이상 연령대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대와 70대 인구 격차도 지난 2022년까지 계속해서 좁혀지다 지난해 처음으로 역전됐습니다. 2022년 20대 인구는 641만여 명, 70대는 608만여 명이었습니다.

연령별 인구비로 봤을 때 2022년 전체 인구의 12.48%를 차지했던 20대가 지난해엔 12.07%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70대의 경우 2022년 11.82%에서 지난해 12.31%로 늘었습니다. 이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70대로 진입함에 따른 영향으로 보입니다.
고령 인구로 분류되는 65세 이상 인구는 973만 411명(18.96%)으로, 전년(926만7290명) 보다 5.0%(46만 3,121명) 늘었습니다.
반면, 생산가능인구인 15~64세 인구는 3,593만 1,057명(70.01%)으로, 전년보다 0.96%(3,628만 1,154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핵심 생산가능인구(25~49세)의 감소 폭은 더 커서 전년보다 1.45%(26만 3,240명) 감소한 1,790만 728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등학교 입학 예정 6세 인구도 36만 4,740명으로, 전년보다 11.72%(4만 4,442명) 큰 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대별로는 ▲50대(16.94%) ▲40대(15.44%) ▲60대(14.87%) ▲30대(12.81%) ▲70대 이상(12.31%) ▲20대(12.07%) ▲10대(9.0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제주도 인구는 67만 5,252명으로 전년보다 2,907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지역 주민등록 인구가 감소한 것은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92년 이후 처음입니다.
인구 감소 요인으로는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많은 자연적 요인과 전입 인구보다 전출 인구가 많은 사회적 요인 등 2가지 요인이 모두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제주는 65세 이상이 17.94%에 달해 대구(19.64%), 서울(18.47%), 대전(16.97%), 인천(16.58%) 등 7곳과 함께 고령사회로 분류됐습니다.
행정시별로는 제주시(16.5%)는 고령사회, 서귀포시(21.81%)는 초고령사회로 분류됐습니다.
국제연합(UN)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인 경우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차라리 이재명은 시켜도, 국민의힘은 안 시킨다”.. 전광훈, 대선 출마 선언
- ∙︎ “대선이 아니라 반이재명 경연?”.. 국힘 토론, 정책은 없고 ‘적대‘만 넘쳤다
- ∙︎ 제주시 한림읍 야자수 화재.. 창고까지 번져
- ∙︎ “어차피는 아니었다, 확정됐다”.. 이재명, 충청 88.15%로 ‘어대명’ 공식화
- ∙︎ 이재명 "새로운 나라 만들어달라는 열망".. 충청권 첫 경선 88% 압승
- ∙︎ “어대명? 아니 어대선!”.. 나경원 “이재명 당선되면 조기대선 불가피”
- ∙︎ 4·19는 ‘기념’, 12·3은 ‘침묵’.. 내란을 외면한 정부, 누구의 민주주의인가
- ∙ “언론 아닌 신체를 막았다”.. 권성동, 기자 손목 잡은 순간 드러난 ‘권력의 반사신경’
- ∙ 이준석 "성상납 억지에 자살 강요해 놓고 빅텐트 안 하면 배신자? 금수냐"
- ∙ 이재명 "검찰에 칼잡이 꽂으면 우리도 망해.. 공수처 강화해야"
- ∙ "치킨은 55만 원, 택시는 뺑뺑이".. 바가지에 외국인도 '화들짝'
- ∙ [단독] 킥보드로 경찰관 친 중학생.. 소지품 보니 '30㎝ 흉기'
- ∙ [영상] 봄 한라산에 눈 실화?.. 5년 만의 '은빛 장관'
- ∙ 전한길 "美 보도대로 99% 부정선거 가능.. 히틀러 통치 대한민국 몰락 보고 싶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