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레(13일)부터 보호시설 무료 개방
안정화 기간 거쳐.. "관람 규정 준수"
제주에 새 보금자리를 튼 반달가슴곰 2쌍이 야외 적응훈련을 마치고 일반에 공개됩니다.
오늘(11일) 제주자치도에 따르면 서귀포시 성산읍 제주자연생태공원에서 보호 중인 국제적 멸종위기종 반달가슴곰들이 모레(13일) 도민과 관광객들에게 공개될 예정입니다.
경기도 용인의 한 전시 관람용 시설에서 사육을 포기한 2013년생 반달가슴곰 4마리(암수 2쌍)는 지난달 15일 제주자연생태공원으로 이송됐습니다.
이는 2025년까지 곰 사육을 종식하기 위해 환경부와 사육곰협회, 동물보호단체 등이 2022년 1월 맺은 '곰 사육 종식 협약'에 따른 후속 조치입니다.
제주자연생태공원은 그동안 이송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스트레스 상황과 건강 상태 등을 확인하고, 새로운 실내환경에 적응하도록 안정화 기간을 거쳤습니다.
이어 지난 3일부터 실내사육장으로 돌아오는 귀소 훈련, 물놀이, 해먹 등 행동 풍부화, 곰 탈출을 막기 위한 전기 울타리 접근 여부 확인 등 야외 적응 훈련을 실시했습니다.
도는 야외 적응 훈련이 마무리되는 모레부터 매일 오전 10시~오후 4시 반달가슴곰 보호시설을 무료로 개방할 계획입니다.
도 관계자는 "반달가슴곰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관람 규정에 따라 따뜻하게 맞이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안정화 기간 거쳐.. "관람 규정 준수"
제주에 새 보금자리를 튼 반달가슴곰 2쌍이 야외 적응훈련을 마치고 일반에 공개됩니다.
오늘(11일) 제주자치도에 따르면 서귀포시 성산읍 제주자연생태공원에서 보호 중인 국제적 멸종위기종 반달가슴곰들이 모레(13일) 도민과 관광객들에게 공개될 예정입니다.
경기도 용인의 한 전시 관람용 시설에서 사육을 포기한 2013년생 반달가슴곰 4마리(암수 2쌍)는 지난달 15일 제주자연생태공원으로 이송됐습니다.
이는 2025년까지 곰 사육을 종식하기 위해 환경부와 사육곰협회, 동물보호단체 등이 2022년 1월 맺은 '곰 사육 종식 협약'에 따른 후속 조치입니다.

서귀포시 성산읍 제주자연생태공원에 새 보금자리를 튼 반달가슴곰 (사진, 오일령 기자)
제주자연생태공원은 그동안 이송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스트레스 상황과 건강 상태 등을 확인하고, 새로운 실내환경에 적응하도록 안정화 기간을 거쳤습니다.
이어 지난 3일부터 실내사육장으로 돌아오는 귀소 훈련, 물놀이, 해먹 등 행동 풍부화, 곰 탈출을 막기 위한 전기 울타리 접근 여부 확인 등 야외 적응 훈련을 실시했습니다.
도는 야외 적응 훈련이 마무리되는 모레부터 매일 오전 10시~오후 4시 반달가슴곰 보호시설을 무료로 개방할 계획입니다.
도 관계자는 "반달가슴곰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관람 규정에 따라 따뜻하게 맞이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서귀포시 성산읍 제주자연생태공원에 새 보금자리를 튼 반달가슴곰 (사진, 오일령 기자)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