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 중문천서 '아스퍼질러스 튜빙엔시스' 발견
고기 풍미 내는 '마이코프로테인' 단백질 생산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특허 출원·후속 연구
제주도 중문천에서 미래먹거리로 주목받는 대체 단백질 소재를 만드는 균류가 발견돼 주목됩니다.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제주도 서귀포시 중문천에서 마이코프로테인을 생산할 수 있는 '아스퍼질러스 튜빙엔시스(Aspergillus tubingensis)' 균주를 발견해 특허 출원하고, 후속 연구를 진하고 있다고 오늘(5일) 밝혔습니다.
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에 따르면, 이번에 발견된 균주에선 30% 이상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성분 중 고기의 풍미를 내는 시스테인 함량이 전체의 12% 이상인 것을 확인했습니다.
마이코프로테인(균단백질)은 곰팡이, 버섯, 효모 등 균류에서 생산되는 단백질로, 실처럼 가느다란 형태의 닭 가슴살과 비슷한 구조를 갖고 있어 대체육 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동물성 단백질이 아니기 때문에 동물을 키우면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감축은 물론, 동물복지 측면에서도 각광을 받으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를 활용한 대체 단백질 제품 개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론 지난 2004년 영국 말로우푸드사가 선보인 대체육 제품이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대체 단백질 소재와 이를 활용한 제품에 대해 기업과 소비자의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지난해부터 수행한 담수균류 생물자원을 이용한 대체 단백질 소재 개발연구를 통해 이 같은 성과를 냈습니다.
연구진은 앞으로 균류를 활용한 대체육 제품 개발을 비롯해 대체 단백질 소재를 생산할 수 있는 또 다른 균류를 찾아내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류시현 낙동강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실장은 "최근 대체 단백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연구결과가 대체 단백질 소재의 다양화와 국산화에 기여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마이코프로테인을 생산할 수 있는 다양한 미생물 소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겠다"라고 밝혔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기 풍미 내는 '마이코프로테인' 단백질 생산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특허 출원·후속 연구

담수균류 아스퍼질러스 튜빙엔시스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제공)
제주도 중문천에서 미래먹거리로 주목받는 대체 단백질 소재를 만드는 균류가 발견돼 주목됩니다.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제주도 서귀포시 중문천에서 마이코프로테인을 생산할 수 있는 '아스퍼질러스 튜빙엔시스(Aspergillus tubingensis)' 균주를 발견해 특허 출원하고, 후속 연구를 진하고 있다고 오늘(5일) 밝혔습니다.
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에 따르면, 이번에 발견된 균주에선 30% 이상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성분 중 고기의 풍미를 내는 시스테인 함량이 전체의 12% 이상인 것을 확인했습니다.
마이코프로테인(균단백질)은 곰팡이, 버섯, 효모 등 균류에서 생산되는 단백질로, 실처럼 가느다란 형태의 닭 가슴살과 비슷한 구조를 갖고 있어 대체육 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동물성 단백질이 아니기 때문에 동물을 키우면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감축은 물론, 동물복지 측면에서도 각광을 받으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를 활용한 대체 단백질 제품 개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론 지난 2004년 영국 말로우푸드사가 선보인 대체육 제품이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대체 단백질 소재와 이를 활용한 제품에 대해 기업과 소비자의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담수균류 아스퍼질러스 튜빙엔시스 균사체 동결건조분말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제공)
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지난해부터 수행한 담수균류 생물자원을 이용한 대체 단백질 소재 개발연구를 통해 이 같은 성과를 냈습니다.
연구진은 앞으로 균류를 활용한 대체육 제품 개발을 비롯해 대체 단백질 소재를 생산할 수 있는 또 다른 균류를 찾아내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류시현 낙동강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실장은 "최근 대체 단백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연구결과가 대체 단백질 소재의 다양화와 국산화에 기여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마이코프로테인을 생산할 수 있는 다양한 미생물 소재를 지속적으로 찾아내겠다"라고 밝혔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