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버거 등 외식·식품 가격 등 인상
배달료 등 월 회비도 올려 “이용 부담”
원재료 물가 계속 올라 “가격 압박↑”
치킨과 햄버거 등 프랜차이즈 가격이 줄줄이 오르는 모습입니다.
원재료를 비롯해 각종 비용 인상 요인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일부 유통업체는 멤버십 월 회비 등 구독경제 상품 비용까지 올리고 나섰습니다.
대외적으로는 농산물 등 원자재 수급 불안까지 맞물려 가공식품 가격까지 자극하면서, 물가 불안감을 더하고 있습니다.
총선이 끝나면서 국내 외식·식품·유통업계 중심으로 주요 제품·서비스 가격 상승이 이어지는 양상이라, 자칫 식음료 업계 전반에 가격 인상으로 번지는게 아닌지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말 국내 음료·주류 주요 기업들을 대상으로 물가 안정 차원에서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15일 프랜차이즈 업계에 따르면 치킨 프랜차이즈 굽네와 치킨·버거 프랜차이즈 파파이스가 이날자로 가격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굽네의 경우 배달 수수료와 인건비, 임대료 상승 등을 고려해 치킨 9개 제품 가격을 1,900원씩 인상했습니다. 가격을 올린 것은 2022년 이후 2년 만입니다. 이에 따라 대표 메뉴인 한 제품은 종전 1만 8,000원에서 1만 9,900원으로 올랐고, 1만 6,000원 메뉴는 1만 7,900원으로 인상됐습니다.
치킨 브랜드 파파이스도 이날 치킨과 샌드위치(버거), 디저트류, 음료 등 가격을 100~800원씩 올리면서, 전체 평균 4%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배달 제품 가격은 한층 더 올라, 매장 판매가보다 평균 약 5% 높은 가격을 차등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관련해 업체 측은 최근 물가 인상과 인건비, 배달 수수료 등 비용 상승 압박이 커지면서 가격 조정에 나선 것으로 전했습니다. 다만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고 인기 메뉴 일부 가격은 유지하는 것으로 전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치킨 ‘빅3’ 가운데 bhc와 교촌치킨이 각각 가격을 인상했습니다. 올들어 2월 신세계푸드가 노브랜드 버거에서 파는 버거와 사이드 메뉴 등 30여 종의 판매가격을 평균 3.1% 인상한 바 있습니다.
이같은 움직임들에 맞물려 식품·외식기업들은 원재료 가격과 인건비, 배달 플랫폼 수수료 인상까지 비용 상승 요인들이 속출하면서 가격 변동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여기에 일부 멤버십 이용료도 올랐습니다.
쿠팡의 경우, 지난 13일부터 유료 멤버십 신규 월 회비를 종전 4,990원에서 7,890원으로 58.1% 인상했습니다. 회비 인상은 2년 4개월 만입니다.
신규 회원은 지난 13일부터 변경된 회비가 적용됐고, 기존 회원은 오는 8월 첫 결제일부터 적용됩니다. 지난해 말 기준 와우멤버십 회원은 약 1,400만 명입니다.
쿠팡의 멤버십 회비 인상은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중국계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체와 경쟁이 심화되는데 대비해, 투자 여력 확보를 위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더구나 대외적인 원자재 가격 수급 상황이 불안해 한층 가격 상승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국제 농산물 거래 가격이 크게 뛰는 상황으로, 영국 런던국제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인스턴트커피에 많이 들어가는 로부스타 커피 선물 가격은 지난 12일 톤(t)당 3,948달러(약 551만 원)로 사상 최고로 올랐습니다. 주산지인 베트남과 인도네시아가 극심한 가뭄에 커피 생산에 타격을 입은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초콜릿 원료인 코코아도 전 세계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서아프리카 가뭄으로 선물 가격이 1년 만에 3배로 급등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국내 일부 업계가 초콜릿 제품 가격 인상을 검토하는 등 제과업체들은 제품 가격 인상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슈가플레이션(설탕+인플레이션) 우려가 이는 설탕은 세계 2위와 3위 수출국인 인도와 태국의 가뭄으로 생산이 크게 줄었고, 가격도 예년보다 높은 수준을 형성했습니다.
올리브유는 세계 최대 생산국 스페인이 2년 연속 가뭄에 시달리면서 글로벌 가격이 2배 이상 치솟았습니다. 라면·과자 등 가공식품에 주로 쓰이는 팜유 선물 가격도 1년 만에 16%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련해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의 물가 안정책에 더해, 고객 부담을 최소화하는 차원에서 인위적으로라도 가격 인상을 억제해온 부분이 컸는데, 안팎으로 비용 상승 압박이 너무 커졌다”라면서 “물론 일부 원재료 가격이 내린 것도 있지만, 가격이 높은 시기 매입한 원재료 비중이 크고 웬만한 물가 상승 요인들이 커 비용 상승 압박이 크다”고 전했습니다.
이같은 외식비 가격 등 추가 상승 움직임이 구체화되면서 소비자 물가 부담은 한층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1분기 외식 물가 상승률은 3.8%(전년 동월 대비)로 전체 물가상승률(3.0%)를 웃돌았습니다.
햄버거(6.4%), 치킨(5.2%), 김밥(6.0%), 떡볶이(5.7%) 등 대표 서민 외식 메뉴의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달료 등 월 회비도 올려 “이용 부담”
원재료 물가 계속 올라 “가격 압박↑”

치킨과 햄버거 등 프랜차이즈 가격이 줄줄이 오르는 모습입니다.
원재료를 비롯해 각종 비용 인상 요인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일부 유통업체는 멤버십 월 회비 등 구독경제 상품 비용까지 올리고 나섰습니다.
대외적으로는 농산물 등 원자재 수급 불안까지 맞물려 가공식품 가격까지 자극하면서, 물가 불안감을 더하고 있습니다.
총선이 끝나면서 국내 외식·식품·유통업계 중심으로 주요 제품·서비스 가격 상승이 이어지는 양상이라, 자칫 식음료 업계 전반에 가격 인상으로 번지는게 아닌지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말 국내 음료·주류 주요 기업들을 대상으로 물가 안정 차원에서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사진은 기사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15일 프랜차이즈 업계에 따르면 치킨 프랜차이즈 굽네와 치킨·버거 프랜차이즈 파파이스가 이날자로 가격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굽네의 경우 배달 수수료와 인건비, 임대료 상승 등을 고려해 치킨 9개 제품 가격을 1,900원씩 인상했습니다. 가격을 올린 것은 2022년 이후 2년 만입니다. 이에 따라 대표 메뉴인 한 제품은 종전 1만 8,000원에서 1만 9,900원으로 올랐고, 1만 6,000원 메뉴는 1만 7,900원으로 인상됐습니다.
치킨 브랜드 파파이스도 이날 치킨과 샌드위치(버거), 디저트류, 음료 등 가격을 100~800원씩 올리면서, 전체 평균 4%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배달 제품 가격은 한층 더 올라, 매장 판매가보다 평균 약 5% 높은 가격을 차등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관련해 업체 측은 최근 물가 인상과 인건비, 배달 수수료 등 비용 상승 압박이 커지면서 가격 조정에 나선 것으로 전했습니다. 다만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고 인기 메뉴 일부 가격은 유지하는 것으로 전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치킨 ‘빅3’ 가운데 bhc와 교촌치킨이 각각 가격을 인상했습니다. 올들어 2월 신세계푸드가 노브랜드 버거에서 파는 버거와 사이드 메뉴 등 30여 종의 판매가격을 평균 3.1% 인상한 바 있습니다.
이같은 움직임들에 맞물려 식품·외식기업들은 원재료 가격과 인건비, 배달 플랫폼 수수료 인상까지 비용 상승 요인들이 속출하면서 가격 변동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여기에 일부 멤버십 이용료도 올랐습니다.
쿠팡의 경우, 지난 13일부터 유료 멤버십 신규 월 회비를 종전 4,990원에서 7,890원으로 58.1% 인상했습니다. 회비 인상은 2년 4개월 만입니다.
신규 회원은 지난 13일부터 변경된 회비가 적용됐고, 기존 회원은 오는 8월 첫 결제일부터 적용됩니다. 지난해 말 기준 와우멤버십 회원은 약 1,400만 명입니다.
쿠팡의 멤버십 회비 인상은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중국계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체와 경쟁이 심화되는데 대비해, 투자 여력 확보를 위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더구나 대외적인 원자재 가격 수급 상황이 불안해 한층 가격 상승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국제 농산물 거래 가격이 크게 뛰는 상황으로, 영국 런던국제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인스턴트커피에 많이 들어가는 로부스타 커피 선물 가격은 지난 12일 톤(t)당 3,948달러(약 551만 원)로 사상 최고로 올랐습니다. 주산지인 베트남과 인도네시아가 극심한 가뭄에 커피 생산에 타격을 입은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초콜릿 원료인 코코아도 전 세계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서아프리카 가뭄으로 선물 가격이 1년 만에 3배로 급등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국내 일부 업계가 초콜릿 제품 가격 인상을 검토하는 등 제과업체들은 제품 가격 인상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슈가플레이션(설탕+인플레이션) 우려가 이는 설탕은 세계 2위와 3위 수출국인 인도와 태국의 가뭄으로 생산이 크게 줄었고, 가격도 예년보다 높은 수준을 형성했습니다.
올리브유는 세계 최대 생산국 스페인이 2년 연속 가뭄에 시달리면서 글로벌 가격이 2배 이상 치솟았습니다. 라면·과자 등 가공식품에 주로 쓰이는 팜유 선물 가격도 1년 만에 16%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련해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의 물가 안정책에 더해, 고객 부담을 최소화하는 차원에서 인위적으로라도 가격 인상을 억제해온 부분이 컸는데, 안팎으로 비용 상승 압박이 너무 커졌다”라면서 “물론 일부 원재료 가격이 내린 것도 있지만, 가격이 높은 시기 매입한 원재료 비중이 크고 웬만한 물가 상승 요인들이 커 비용 상승 압박이 크다”고 전했습니다.
이같은 외식비 가격 등 추가 상승 움직임이 구체화되면서 소비자 물가 부담은 한층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1분기 외식 물가 상승률은 3.8%(전년 동월 대비)로 전체 물가상승률(3.0%)를 웃돌았습니다.
햄버거(6.4%), 치킨(5.2%), 김밥(6.0%), 떡볶이(5.7%) 등 대표 서민 외식 메뉴의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