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라산 탐방 (자료사진)
제주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는 지난 1월 27일부터 통제했던 한라산 백록담을 50일 만인 오는 17일부터 재개방합니다.
1월 27일 이후 17일의 이례적인 폭설로 누적 적설량이 230㎝에 달해 눈에 묻혀 설벽이 형성되면서 급경사 구간에서 추락 위험이 커져 정상부 통제가 불가피했습니다.
성판악과 관음사 탐방로를 통한 백록담 정상 출입을 허용하지만 돈내코 코스는 남벽분기점 구간의 급경사로 인한 미끄럼 사고 위험이 있어 당분간 통제를 지속합니다.
백록담 재개방 이후 첫 정상 산행은 성판악 진달래밭과 관음사 삼각봉에서 17일 오전 9시 40분경 출발하며, 탐방객들의 안전을 위해 산악안전대들이 함께 등반합니다.
정상 탐방객들은 아이젠, 스패치, 스틱 등의 안전장비를 반드시 착용해야 등반할 수 있습니다.
고종석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장은 “탐방로 곳곳에 미처 녹지 않은 눈으로 인한 발빠짐과 조난 등의 위험이 여전히 존재한다”며 지정된 탐방로 이용을 당부했습니다.

한라산 탐방 통제 (자료사진)
JIBS 제주방송 정용기 (brave@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이사할 여력도, 타이밍도 없다”... 전입·전출마저 멈춘 도시의 민낯
- ∙︎ '로또 1등' 제주서 3주 만에.. 당첨금 21억 9000만 원
- ∙︎ 이준석 "韓, 누가 키워 보려다가 안된 사람"..."李, 자기방탄"
- ∙︎ 34일째 ‘무결정’.. 헌재, 윤 대통령 탄핵심판 헌정 최장 지연 기록
- ∙︎ 권성동 “이재명 세력 내란 시도.. 헌재 임기 창조는 입법 쿠데타”
- ∙︎ “벚꽃은 피었고, 지갑은 털렸다”.. 순대 6조각 2만 5,000원, 풍선 2만 원 “이게 축제냐?”
- ∙︎ “SNS에도, 논평에도 없더니”.. 산불 현장에 매일 나오는 사람 ‘하나’ 있었다
- ∙ 비박 적발에 수사했더니.. 산방산 무단 입산 성공 후기 버젓이
- ∙ “기부 취소합니다”.. 산불 피해마저 갈라진 SNS, 애도보다 진영 싸움
- ∙ “총탄핵? 이건 쿠데타”., 권성동, 이재명·김어준 포함 72명 ‘내란죄’ 고발 예고
- ∙ “SNS에도, 논평에도 없더니”.. 산불 현장에 매일 나오는 사람 ‘하나’ 있었다
- ∙ “전국은 움직였다, 하지만 제주는 떠났다”.. 19개월째 ‘인구 빠지는 섬’, 지금 “제주는 비워지는 중”
- ∙ 이재명, 산불현장서 또 위협.. “암살 제보 이어 실물 접촉까지, 경호는 뚫렸다”
- ∙ 산불 피해견 사료 도난..."새벽 6시 청년 대여섯 명이 실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