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3억원 증액 1조 6,327억원 편성
제주자치도교육청이 안전한 학교 환경 조성과 인공지능(AI) 교육 내실화를 위해 올해 첫 추경 예산으로 353억 원을 증액 편성했습니다.
도교육청은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당초 1조 5,974억 원 대비 353억 원(2.2%)이 늘어난 1조 6,327억 원으로 편성해 제주자치도의회에 제출했다고 오늘(1일) 밝혔습니다.
이번 제1회 추경의 세입재원은 중앙정부이전수입 96억 원(특별교부금 95억 원, 국고보조금 1억 원), 지방자치단체이전수입 86억 원(지방교육세 71억, 시도세전입금 17억), 자체수입 및 기타 129억 원, 전입금 41억 원, 기타이전수입 1억 원 등입니다.
세출예산은 크게 두 덩어리로 나뉩니다. 가장 큰 부분은 안전한 교육환경 구축을 위한 교육환경 개선사업으로 관련 분야에 총 149억 원이 책정됐습니다. 세부적으로 ▲현안추진 시섭사업비 117억 원 ▲365일 안전한 학교 환경 조성(급식실 환기설비, 현장체험 학습보조 인솔자 경비 지원, 학교안전경찰관 운영 등) 29억 원 ▲마음건강 통합지원 내실화(정신건강 위기학생 지원, 마음나눔 교원소통 프로그램 운영) 3억 원 등입니다.
디지털·AI교육 내실화 등 변화에 대응하는 미래형 교육 분야에도 66억 원을 추가 편성했습니다. 자세히 보면, 자율형 공립고 2.0 운영 등 학생맞춤형 교육기반 구축에 36억 원, 디지털 강사 양성 및 지원 등에 30억 원을 반영했습니다.
이외에 지역과 함께하는 교육공동체 분야엔 45억 원을 편성했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농어촌유학사업과 IB학교 지원 등 제주 특화사업 운영에 26억 원, 제주형늘봄시스템 구축 및 유보통합 시범사업 운영 지원에 5억 원, 특수교육대상자 치료비 지원 및 이중언어교육활성화 사업 등 학생맞춤형 교육복지 종합지원내실화에 14억 원이 책정됐습니다.
이번 추경안은 오는 4일부터 열리는 제437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교육위원회 및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 후 본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됩니다.
김광수 도교육감은 "이번 추경안은 우리의 미래인 학생들의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환경 조성과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키우는데 중점을 두고 편성했다"며 "제주교육은 2025년를 안전한 학교환경 조성을 위한 새로운 원년으로 삼아 쾌적한 교육환경 속에서 자신을 사랑하고 서로 존중하는 학교문화를 조성해 안전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1일) 2025년 제1회 추경안에 대해 설명하는 김광수 제주도교육감
제주자치도교육청이 안전한 학교 환경 조성과 인공지능(AI) 교육 내실화를 위해 올해 첫 추경 예산으로 353억 원을 증액 편성했습니다.
도교육청은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당초 1조 5,974억 원 대비 353억 원(2.2%)이 늘어난 1조 6,327억 원으로 편성해 제주자치도의회에 제출했다고 오늘(1일) 밝혔습니다.
이번 제1회 추경의 세입재원은 중앙정부이전수입 96억 원(특별교부금 95억 원, 국고보조금 1억 원), 지방자치단체이전수입 86억 원(지방교육세 71억, 시도세전입금 17억), 자체수입 및 기타 129억 원, 전입금 41억 원, 기타이전수입 1억 원 등입니다.
세출예산은 크게 두 덩어리로 나뉩니다. 가장 큰 부분은 안전한 교육환경 구축을 위한 교육환경 개선사업으로 관련 분야에 총 149억 원이 책정됐습니다. 세부적으로 ▲현안추진 시섭사업비 117억 원 ▲365일 안전한 학교 환경 조성(급식실 환기설비, 현장체험 학습보조 인솔자 경비 지원, 학교안전경찰관 운영 등) 29억 원 ▲마음건강 통합지원 내실화(정신건강 위기학생 지원, 마음나눔 교원소통 프로그램 운영) 3억 원 등입니다.
디지털·AI교육 내실화 등 변화에 대응하는 미래형 교육 분야에도 66억 원을 추가 편성했습니다. 자세히 보면, 자율형 공립고 2.0 운영 등 학생맞춤형 교육기반 구축에 36억 원, 디지털 강사 양성 및 지원 등에 30억 원을 반영했습니다.
이외에 지역과 함께하는 교육공동체 분야엔 45억 원을 편성했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농어촌유학사업과 IB학교 지원 등 제주 특화사업 운영에 26억 원, 제주형늘봄시스템 구축 및 유보통합 시범사업 운영 지원에 5억 원, 특수교육대상자 치료비 지원 및 이중언어교육활성화 사업 등 학생맞춤형 교육복지 종합지원내실화에 14억 원이 책정됐습니다.
이번 추경안은 오는 4일부터 열리는 제437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교육위원회 및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 후 본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됩니다.
김광수 도교육감은 "이번 추경안은 우리의 미래인 학생들의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환경 조성과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키우는데 중점을 두고 편성했다"며 "제주교육은 2025년를 안전한 학교환경 조성을 위한 새로운 원년으로 삼아 쾌적한 교육환경 속에서 자신을 사랑하고 서로 존중하는 학교문화를 조성해 안전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