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 착시에 가려진 경고.. 가계부채, 다시 터질 뇌관 되나
30대도 ‘7,000만 원 기본’.. 세대별 금융 스트레스, 한계점 넘본다
국내 가계대출이 다시 ‘질적인 위기’ 문턱에 다다랐습니다. 대출을 끌어쓴 사람 수는 줄었지만, 남은 차주들의 부담은 오히려 더 커졌습니다.
‘인구 감소로 가계부채가 안정되고 있다’는 낙관론은 착시에 불과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제는 빚을 지고 있는 사람들의 ‘질적 위험’이 한국 경제의 뇌관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4분기 말 기준 가계대출 차주의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은 9,553만 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통계가 집계된 2012년 이후 최고치이자, 1년 전보다도 186만 원 늘어난 수치입니다.
더 심각한 건 예전보다 빌린 ‘차주’는 줄었는데, 잔액은 늘어났다는데 있습니다.
차주 수는 1년 새 11만 명이 줄었지만(1,979만 명→1,968만 명), 전체 대출 잔액은 오히려 27조 1,000억 원 증가(1,853조 3,000억 원)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대출을 끊은 사람이 늘어났다는 뜻이 아니라, 결국 ‘남아 있는 사람 부담이 커졌다는 신호’로 보고 있습니다.
즉, ‘돈을 빌릴 수 있는 사람들’의 어깨 위에 더 무거운 채무가 얹혔다는 말입니다.
■ 40대는 1억 넘는 은행빚.. 30대 이하도 역대 최고
연령대별로 봤을 때, 가장 위태로운 세대는 40대가 꼽혔습니다. 이들은 2023년 말 기준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이 1억 1,073만 원으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많고, 사상 최고치를 보였습니다. 이미 ‘억대 은행빚’이 일상화된 셈입니다.
30대 이하 역시 평균 7,436만 원으로, 역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사회초년생과 젊은 부부들이 자산 축적 초입에 이미 큰 금융 부담을 떠안았다는 점에서, 장기적으로 세대 간 자산 격차는 더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반면 50대와 60대 이상은 대출 규모가 소폭 줄었지만, 이는 상환 여력이 아니라 금융 탈락자의 증가와 맞닿아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합니다.
즉, ‘빚을 못 내는 고령자’가 늘어난 것일 뿐이라는 얘기입니다.
■ “가계부채 증가 멈췄다” 착시?.. ‘빚의 질’은 악화
문제는 정부와 금융당국이 자주 강조하는 ‘총량 관리’ 성과가, 이 수치만 보면 허상에 가깝다는 점입니다.
대출 규모가 줄었다는 것은 일견 안정처럼 보일 수 있지만, ‘개인별 부담’은 오히려 심화된 채로 구조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2020년 3분기 이후 전체 대출 잔액은 다시 증가 흐름을 보이고 있어, 부동산 시장 회복 국면이나 금리 인하 시 재차 급증할 위험성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해법은?.. “자산 불균형·청년 부담 해소에 초점 맞춰야”
전문가들은 단순히 대출을 규제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청년·중년층이 감당 가능한 ‘미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더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예전과 비슷한 빚 무게를 이제 더 적은 인원이 떠안고 있는 구조로 가고 있다”면서, 이는 가계부채의 ‘질적 악화’를 시사하는 경고 신호라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주거, 일자리, 자산 형성 경로가 불안정한 상황에서의 규제 강화는 자칫 ‘금융 고립’만 초래할 수 있다”라며, 현재 정책의 방향에도 우려를 표했습니다.
이에따라 “이제는 가계부채의 ‘총량’보다 ‘질’을, 대출자의 ‘수’보다 ‘남겨진 부담’을 들여다봐야 할 때”라고 강조해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30대도 ‘7,000만 원 기본’.. 세대별 금융 스트레스, 한계점 넘본다

국내 가계대출이 다시 ‘질적인 위기’ 문턱에 다다랐습니다. 대출을 끌어쓴 사람 수는 줄었지만, 남은 차주들의 부담은 오히려 더 커졌습니다.
‘인구 감소로 가계부채가 안정되고 있다’는 낙관론은 착시에 불과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제는 빚을 지고 있는 사람들의 ‘질적 위험’이 한국 경제의 뇌관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4분기 말 기준 가계대출 차주의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은 9,553만 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통계가 집계된 2012년 이후 최고치이자, 1년 전보다도 186만 원 늘어난 수치입니다.
더 심각한 건 예전보다 빌린 ‘차주’는 줄었는데, 잔액은 늘어났다는데 있습니다.
차주 수는 1년 새 11만 명이 줄었지만(1,979만 명→1,968만 명), 전체 대출 잔액은 오히려 27조 1,000억 원 증가(1,853조 3,000억 원)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대출을 끊은 사람이 늘어났다는 뜻이 아니라, 결국 ‘남아 있는 사람 부담이 커졌다는 신호’로 보고 있습니다.
즉, ‘돈을 빌릴 수 있는 사람들’의 어깨 위에 더 무거운 채무가 얹혔다는 말입니다.

■ 40대는 1억 넘는 은행빚.. 30대 이하도 역대 최고
연령대별로 봤을 때, 가장 위태로운 세대는 40대가 꼽혔습니다. 이들은 2023년 말 기준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이 1억 1,073만 원으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많고, 사상 최고치를 보였습니다. 이미 ‘억대 은행빚’이 일상화된 셈입니다.
30대 이하 역시 평균 7,436만 원으로, 역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사회초년생과 젊은 부부들이 자산 축적 초입에 이미 큰 금융 부담을 떠안았다는 점에서, 장기적으로 세대 간 자산 격차는 더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반면 50대와 60대 이상은 대출 규모가 소폭 줄었지만, 이는 상환 여력이 아니라 금융 탈락자의 증가와 맞닿아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합니다.
즉, ‘빚을 못 내는 고령자’가 늘어난 것일 뿐이라는 얘기입니다.
■ “가계부채 증가 멈췄다” 착시?.. ‘빚의 질’은 악화
문제는 정부와 금융당국이 자주 강조하는 ‘총량 관리’ 성과가, 이 수치만 보면 허상에 가깝다는 점입니다.
대출 규모가 줄었다는 것은 일견 안정처럼 보일 수 있지만, ‘개인별 부담’은 오히려 심화된 채로 구조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2020년 3분기 이후 전체 대출 잔액은 다시 증가 흐름을 보이고 있어, 부동산 시장 회복 국면이나 금리 인하 시 재차 급증할 위험성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해법은?.. “자산 불균형·청년 부담 해소에 초점 맞춰야”
전문가들은 단순히 대출을 규제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청년·중년층이 감당 가능한 ‘미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더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예전과 비슷한 빚 무게를 이제 더 적은 인원이 떠안고 있는 구조로 가고 있다”면서, 이는 가계부채의 ‘질적 악화’를 시사하는 경고 신호라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주거, 일자리, 자산 형성 경로가 불안정한 상황에서의 규제 강화는 자칫 ‘금융 고립’만 초래할 수 있다”라며, 현재 정책의 방향에도 우려를 표했습니다.
이에따라 “이제는 가계부채의 ‘총량’보다 ‘질’을, 대출자의 ‘수’보다 ‘남겨진 부담’을 들여다봐야 할 때”라고 강조해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기부 취소합니다”.. 산불 피해마저 갈라진 SNS, 애도보다 진영 싸움
- ∙ “SNS에도, 논평에도 없더니”.. 산불 현장에 매일 나오는 사람 ‘하나’ 있었다
- ∙ “총탄핵? 이건 쿠데타”., 권성동, 이재명·김어준 포함 72명 ‘내란죄’ 고발 예고
- ∙ 고사리 캐다 실종된 80대.. 휴대전화 GPS 추적으로 찾아
- ∙ 축제 바가지 논란에 놀란 제주도 "메뉴판에 사진 넣어라"
- ∙ “재산은 4분의 1, 빚은 두 배”.. 혼자 감당하는 ‘한부모의 나라’
- ∙ “전국은 골프에 빠졌는데, 제주는 왜 혼자 식었나?”.. 국내 최하위 기록한 ‘골프의 섬’의 추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