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해제, 서울은 대기”.. 정치 후폭풍 대비? 치안은 아직 긴장 속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하루 만에, 경찰이 전국 비상근무를 해제했습니다.
그러나 서울은 예외였습니다. ‘을호비상’에서 ‘경계 강화’로 한 단계 낮췄지만, 여전히 경찰력은 대기 중입니다.
전국은 평온으로 돌아가는 반면, 아직 서울은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는 것으로도 보입니다.
경찰청은 5일 오후 6시 40분부로 서울을 제외한 전국의 비상근무를 종료한다고 밝혔습니다.
서울 지역은 현재 ‘을호비상’에서 ‘경계 강화’로 단계가 낮춰졌으며, 향후 치안 상황을 고려해 완전 해제를 검토할 방침입니다.
앞서 경찰은 탄핵심판 선고 전날인 3일부터 전국에 ‘을호비상’을 발령했으며, 선고 당일인 4일에는 전국 경찰서에 ‘갑호비상’을 내려 전 인력 동원 체제에 돌입했습니다.
모두 338개 기동대 소속 약 2만 명이 동원됐고, 이 중 1만 4,000명은 서울에 집중 배치됐습니다.
경찰은 선고 당일 오후 6시, ‘갑호비상’을 해제하고 서울은 ‘을호비상’, 그 외 지역은 통상 근무로 전환했습니다.
이후 하루가 지난 5일 오후, 경찰청은 다시 전국 비상근무를 해제하며 서울의 대응 단계도 ‘경계 강화’로 낮췄습니다.
‘경계 강화’는 정식 비상단계는 아니지만, 경찰 인력은 여전히 출동 대기와 긴급연락 체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다만 연가 중지 등은 해제돼 일부 평시 체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풀이됩니다.
경찰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서울은 정치적, 사회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경계 수준을 유지하는 중이며 “상황 안정 여부를 판단해 비상근무 완전 해제를 검토할 예정”으로 전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경찰의 이번 조정이 사실상 치안 정상화 수순이지만, 서울에 한해 경계 단계를 유지한 것은 파면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집회나 돌발 상황을 염두에 둔 조치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윤 전 대통령 파면이라는 헌정사상 초유의 사태를 맞아, 경찰력 또한 정치적 격랑의 중심에서 조심스럽게 퇴장 수순을 밟는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하루 만에, 경찰이 전국 비상근무를 해제했습니다.
그러나 서울은 예외였습니다. ‘을호비상’에서 ‘경계 강화’로 한 단계 낮췄지만, 여전히 경찰력은 대기 중입니다.
전국은 평온으로 돌아가는 반면, 아직 서울은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는 것으로도 보입니다.
경찰청은 5일 오후 6시 40분부로 서울을 제외한 전국의 비상근무를 종료한다고 밝혔습니다.
서울 지역은 현재 ‘을호비상’에서 ‘경계 강화’로 단계가 낮춰졌으며, 향후 치안 상황을 고려해 완전 해제를 검토할 방침입니다.
앞서 경찰은 탄핵심판 선고 전날인 3일부터 전국에 ‘을호비상’을 발령했으며, 선고 당일인 4일에는 전국 경찰서에 ‘갑호비상’을 내려 전 인력 동원 체제에 돌입했습니다.
모두 338개 기동대 소속 약 2만 명이 동원됐고, 이 중 1만 4,000명은 서울에 집중 배치됐습니다.
경찰은 선고 당일 오후 6시, ‘갑호비상’을 해제하고 서울은 ‘을호비상’, 그 외 지역은 통상 근무로 전환했습니다.
이후 하루가 지난 5일 오후, 경찰청은 다시 전국 비상근무를 해제하며 서울의 대응 단계도 ‘경계 강화’로 낮췄습니다.
‘경계 강화’는 정식 비상단계는 아니지만, 경찰 인력은 여전히 출동 대기와 긴급연락 체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다만 연가 중지 등은 해제돼 일부 평시 체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풀이됩니다.
경찰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서울은 정치적, 사회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경계 수준을 유지하는 중이며 “상황 안정 여부를 판단해 비상근무 완전 해제를 검토할 예정”으로 전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경찰의 이번 조정이 사실상 치안 정상화 수순이지만, 서울에 한해 경계 단계를 유지한 것은 파면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집회나 돌발 상황을 염두에 둔 조치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윤 전 대통령 파면이라는 헌정사상 초유의 사태를 맞아, 경찰력 또한 정치적 격랑의 중심에서 조심스럽게 퇴장 수순을 밟는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