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 막고 언론 비하한 끝에.. 권력은 ‘조치’를 경고했다
기자의 손목을 끌어 제지하며 “지라시”라 몰아세운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이번엔 “비상한 조치”를 언급하며 언론 보도에 노골적인 경고를 날렸습니다.
국민의힘은 해당 사안을 “과도하지 않았다”, “해프닝”이라고 축소하며 선을 그었고,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불편했다면 대응하면 될 일”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내놓았습니다.
명백한 물리적 제지에도 사과는 없었고, 오히려 취재 제한을 시사하는 태도까지 더해지며 언론계의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 “해프닝”이라는 말 뒤에 감춰진 것
권 원내대표는 지난 16일 국회에서 자신에게 질문하던 '뉴스타파' 기자의 손목을 잡아 수십 미터를 강제로 끌고 간 장면이 영상으로 공개되며 폭행 논란에 휘말렸습니다.
당시 그는 “뉴스타파는 언론이 아니라 지라시”라는 발언도 함께 남긴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18일 한 방송사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 사안에 대해 “과도한 폭력은 아니었다”라며 “국회에는 출입기자 룰이 있고, 그에 따라 일어난 해프닝”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기자가 불편했다면 그에 맞게 대응하면 될 일”이라고 밝혀, 문제의 책임을 피해자인 기자 쪽으로 돌리는 듯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국회 출입기자 사이에는 특정 정치인을 취재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할 ‘룰’이나 물리력 사용을 정당화할 수 있는 규범은 존재하지 읺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영상으로 공개된 해당 장면에는 기자의 행동이 위협적이거나 무례한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는 게 지배적인 의견이기도 합니다.
■ 보도에 불만? 이젠 “비상한 조치”까지
그럼에도 권 원내대표는 18일 국민의힘 원내대책회의에서 다시금 언론을 겨냥했습니다.
그는 “국민의힘을 폄하하고 깎아내리는 보도가 자행되고 있다”라며 “특정 언론사를 오늘은 언급하지 않겠지만, 이런 보도가 계속되면 비상한 조치도 취할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이후 기자들과의 문답에서 “비상한 조치란 정석적인 절차일 것”이라며 “공정보도가 훼손된다면 취재에 협조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비판 보도를 이어가는 언론사에 대한 취재 제한이나 응답 거부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입니다.
■ 언론계 “이중의 위협.. 묵과할 수 없어”
언론계에서는 해당 사안이 단순한 물리적 접촉을 넘어, 언론의 비판 기능 자체를 위협하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17일 성명을 통해 “유력 정치인이라도 질문하는 기자를 억지로 끌어낼 권리는 없다”라며 “언론 자유를 무시하고 기자에게 폭력을 행사한 권성동 원내대표는 공식 사과하고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나야 한다”라고 촉구했습니다.
뉴스타파 역시 권 원내대표를 폭행·체포치상·상해·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한 상태입니다.
사건은 현재 영등포경찰서에서 수사 중이며, 영상 자료와 당시 현장 목격자 진술을 토대로 조사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질문은 막았고, 언론을 비하했으며, 보도에 보복을 예고했습니다.
그 모든 행위는 영상과 발언으로 명확히 남아 있습니다.
더는 ‘해프닝’이라는 말로 덮을 수만은 없습니다.
이것은 단순 언쟁이 아니라, 권력이 언론을 제지한 구체적 장면입니다.
그리고 그 장면은 지금, 책임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권성동 원내대표가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회의실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민의힘)
기자의 손목을 끌어 제지하며 “지라시”라 몰아세운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이번엔 “비상한 조치”를 언급하며 언론 보도에 노골적인 경고를 날렸습니다.
국민의힘은 해당 사안을 “과도하지 않았다”, “해프닝”이라고 축소하며 선을 그었고,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불편했다면 대응하면 될 일”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내놓았습니다.
명백한 물리적 제지에도 사과는 없었고, 오히려 취재 제한을 시사하는 태도까지 더해지며 언론계의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 “해프닝”이라는 말 뒤에 감춰진 것
권 원내대표는 지난 16일 국회에서 자신에게 질문하던 '뉴스타파' 기자의 손목을 잡아 수십 미터를 강제로 끌고 간 장면이 영상으로 공개되며 폭행 논란에 휘말렸습니다.
당시 그는 “뉴스타파는 언론이 아니라 지라시”라는 발언도 함께 남긴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18일 한 방송사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 사안에 대해 “과도한 폭력은 아니었다”라며 “국회에는 출입기자 룰이 있고, 그에 따라 일어난 해프닝”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기자가 불편했다면 그에 맞게 대응하면 될 일”이라고 밝혀, 문제의 책임을 피해자인 기자 쪽으로 돌리는 듯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국회 출입기자 사이에는 특정 정치인을 취재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할 ‘룰’이나 물리력 사용을 정당화할 수 있는 규범은 존재하지 읺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영상으로 공개된 해당 장면에는 기자의 행동이 위협적이거나 무례한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는 게 지배적인 의견이기도 합니다.

질문을 던지던 기자의 손목을 붙잡은 채 이동하는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 (뉴스타파 유튜브 캡처)
■ 보도에 불만? 이젠 “비상한 조치”까지
그럼에도 권 원내대표는 18일 국민의힘 원내대책회의에서 다시금 언론을 겨냥했습니다.
그는 “국민의힘을 폄하하고 깎아내리는 보도가 자행되고 있다”라며 “특정 언론사를 오늘은 언급하지 않겠지만, 이런 보도가 계속되면 비상한 조치도 취할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이후 기자들과의 문답에서 “비상한 조치란 정석적인 절차일 것”이라며 “공정보도가 훼손된다면 취재에 협조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비판 보도를 이어가는 언론사에 대한 취재 제한이나 응답 거부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입니다.
■ 언론계 “이중의 위협.. 묵과할 수 없어”
언론계에서는 해당 사안이 단순한 물리적 접촉을 넘어, 언론의 비판 기능 자체를 위협하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17일 성명을 통해 “유력 정치인이라도 질문하는 기자를 억지로 끌어낼 권리는 없다”라며 “언론 자유를 무시하고 기자에게 폭력을 행사한 권성동 원내대표는 공식 사과하고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나야 한다”라고 촉구했습니다.
뉴스타파 역시 권 원내대표를 폭행·체포치상·상해·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한 상태입니다.
사건은 현재 영등포경찰서에서 수사 중이며, 영상 자료와 당시 현장 목격자 진술을 토대로 조사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기자의 손목을 움켜잡은 권성동 원내대표의 손. 마이크를 든 채 질문하던 기자에 대한 물리적 제지는 영상으로 고스란히 남았고, 이후 나온 ‘지라시’ 발언과 ‘비상한 조치’ 언급은 그 장면의 의미를 더 분명하게 만들고 있다. (뉴스타파 유튜브 캡처)
질문은 막았고, 언론을 비하했으며, 보도에 보복을 예고했습니다.
그 모든 행위는 영상과 발언으로 명확히 남아 있습니다.
더는 ‘해프닝’이라는 말로 덮을 수만은 없습니다.
이것은 단순 언쟁이 아니라, 권력이 언론을 제지한 구체적 장면입니다.
그리고 그 장면은 지금, 책임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