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1분기 경제 성장률 공개
3분기 만에 또 뒷걸음질
건설·설비투자도 악화
2월 전망치 대비 -0.4p '뚝'
한국 경제가 건설·설비투자와 민간소비 등 내수 부진 속에 전분기보다 뒷걸음질했습니다.
한국은행은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0.2%로 집계됐다고 오늘(24일) 발표했습니다.
한은의 지난 2월 공식 전망치(0.2%)보다 0.4%p 낮은 수준입니다.
지난해 2분기 -0.2% 성장률을 기록한 데 이어 세 분기 만에 다시 역성장을 기록한 것입니다.
더욱이 그 사이 뚜렷한 반등의 기미를 보이지 못해, 올해 초 한은이 예상했던 성장률 1.5%도 사수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한은은 앞서 1분기 역성장 가능성을 예상하면서 그 요인으로 국내 정치의 불안 장기화와 미국발 관세전쟁, 역대 최대 산불 피해, 건설 경기 악화 등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실제 1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민간과 정부를 망라한 내수 소비와 수출입 성과, 건설·설비투자가 모두 후퇴했습니다.
민간소비는 오락문화·의료 등 서비스 소비 부진으로 전분기 대기 0.1% 줄었습니다. 정부소비 역시 건강보험 급여비 지출이 줄어 0.1% 감소했습니다.
특히, 건설투자의 경우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3.2% 크게 줄었습니다. 설비투자도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를 중심으로 2.1% 감소했습니다.
수출은 화학제품, 기계, 장비 등이 힘을 쓰지 못하며 1.1% 감소했습니다. 수입도 원유, 천연가스 등 에너지류를 중심으로 2.0% 줄었습니다.
한편,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22일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당초 지난 1월 전망치 2.0%에서 1.0%로 낮춰 잡았습니다. 이 같은 하향치는 세계 주요 선진국 중 가장 큰 것입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3분기 만에 또 뒷걸음질
건설·설비투자도 악화
2월 전망치 대비 -0.4p '뚝'

한국 경제가 건설·설비투자와 민간소비 등 내수 부진 속에 전분기보다 뒷걸음질했습니다.
한국은행은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0.2%로 집계됐다고 오늘(24일) 발표했습니다.
한은의 지난 2월 공식 전망치(0.2%)보다 0.4%p 낮은 수준입니다.
지난해 2분기 -0.2% 성장률을 기록한 데 이어 세 분기 만에 다시 역성장을 기록한 것입니다.
더욱이 그 사이 뚜렷한 반등의 기미를 보이지 못해, 올해 초 한은이 예상했던 성장률 1.5%도 사수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한은은 앞서 1분기 역성장 가능성을 예상하면서 그 요인으로 국내 정치의 불안 장기화와 미국발 관세전쟁, 역대 최대 산불 피해, 건설 경기 악화 등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실제 1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민간과 정부를 망라한 내수 소비와 수출입 성과, 건설·설비투자가 모두 후퇴했습니다.
민간소비는 오락문화·의료 등 서비스 소비 부진으로 전분기 대기 0.1% 줄었습니다. 정부소비 역시 건강보험 급여비 지출이 줄어 0.1% 감소했습니다.
특히, 건설투자의 경우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3.2% 크게 줄었습니다. 설비투자도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를 중심으로 2.1% 감소했습니다.
수출은 화학제품, 기계, 장비 등이 힘을 쓰지 못하며 1.1% 감소했습니다. 수입도 원유, 천연가스 등 에너지류를 중심으로 2.0% 줄었습니다.
한편,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22일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당초 지난 1월 전망치 2.0%에서 1.0%로 낮춰 잡았습니다. 이 같은 하향치는 세계 주요 선진국 중 가장 큰 것입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