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의사들, 장교 아닌 일반병 입대"
"예비역 제도 마련 없이는 위기 불가피"
"저는 군에서 행복하게 잘 지내는 중"
최근 군의관 후보생을 상대로 한 강연에서 국내 의료체계를 강하게 비판한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이 이번에는 군 의료체계 혁신 필요성에 대해 소신 발언을 이어갔습니다.
이국종 원장은 지난 21일 공개된 한국국방연구원 유튜브 영상에서 "의사가 됐으면 당연히 군장교로 가야 한다 생각했는데, 이제 젊은 의사들이 일반병으로 오고 있다"며 현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이어 "저희 부대만 해도 의사들이 이병으로 들어온다"라며 "그러면 의사 업무를 시키는 게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이들 또한 빨리 복무를 마치고 나갈 테니 단순 업무를 달라고 한다"고 현장의 어려움을 말했다.
이 원장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비역 제도'를 대안으로 꼽았습니다.
이 원장은 "(미국에서) 나를 가르친 교수님은 네 번이나 파병됐는데 항공모함뿐 아니라 전방작전 기지까지 헬기 타고 이동해서 다친 군인들을 살려냈다"며 "전역해도 국가의 부름이 있다면 콜업돼 현장에 배치되고, 이런 예비역 제도가 잘 마련되지 않으면 굉장히 큰 위기가 닥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군 의료'라고 하면 다른 것 같지만, 일반인이나 군인 치료하는 프로토콜이 큰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며 "결국 민간 의료의 고도화된 부분을 군 의료와 공유하면서 점점 경계를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인구 감소의 여파로 의료 자원이 줄어드는 상황에 대한 우려도 나타냈습니다.
이 원장은 "병사뿐 아니라 장교 자원, 조종사 자원, 의사 자원, 간호사 자원이 다 없어진다"며 "효율적으로 운영할 생각을 해야 한다. 군 의료와 민간 의료로 갈라지고, 정부 각 부처마다 병원 따로 만들면 관리가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어디로든 달려가는 군의 특별 그룹을 제외하고는 국가 전체 의료 자원의 틀로 봐야지 군 의료만 따로 발전시키기는 어렵다"라며 "의료라는 자산을 냉정하게 큰 틀에서 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청년 국군 장병을 위해 해줄 말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젊은 세대들에게 감히 무슨 얘기를 드린다기보다는, 제가 많이 배운다"고 답했습니다.
이 원장은 "젊은 친구들이 몇 달만 있어도 확 성장하는 것을 보면 기분이 좋다"며 "그래서 저는 군에서 행복하게 잘 지내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이 병원장은 최근 군의관 후보생을 상대로 한 강연에서 "한평생 외상외과에서 일했는데, 바뀌는 건 하나도 없더라"며 "탈조선하라"는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지만, 국방부는 이번 일을 문제 삼지 않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예비역 제도 마련 없이는 위기 불가피"
"저는 군에서 행복하게 잘 지내는 중"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 (사진, 한국국방연구원 유튜브 갈무리)
최근 군의관 후보생을 상대로 한 강연에서 국내 의료체계를 강하게 비판한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이 이번에는 군 의료체계 혁신 필요성에 대해 소신 발언을 이어갔습니다.
이국종 원장은 지난 21일 공개된 한국국방연구원 유튜브 영상에서 "의사가 됐으면 당연히 군장교로 가야 한다 생각했는데, 이제 젊은 의사들이 일반병으로 오고 있다"며 현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이어 "저희 부대만 해도 의사들이 이병으로 들어온다"라며 "그러면 의사 업무를 시키는 게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이들 또한 빨리 복무를 마치고 나갈 테니 단순 업무를 달라고 한다"고 현장의 어려움을 말했다.
이 원장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비역 제도'를 대안으로 꼽았습니다.
이 원장은 "(미국에서) 나를 가르친 교수님은 네 번이나 파병됐는데 항공모함뿐 아니라 전방작전 기지까지 헬기 타고 이동해서 다친 군인들을 살려냈다"며 "전역해도 국가의 부름이 있다면 콜업돼 현장에 배치되고, 이런 예비역 제도가 잘 마련되지 않으면 굉장히 큰 위기가 닥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군 의료'라고 하면 다른 것 같지만, 일반인이나 군인 치료하는 프로토콜이 큰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며 "결국 민간 의료의 고도화된 부분을 군 의료와 공유하면서 점점 경계를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인구 감소의 여파로 의료 자원이 줄어드는 상황에 대한 우려도 나타냈습니다.
이 원장은 "병사뿐 아니라 장교 자원, 조종사 자원, 의사 자원, 간호사 자원이 다 없어진다"며 "효율적으로 운영할 생각을 해야 한다. 군 의료와 민간 의료로 갈라지고, 정부 각 부처마다 병원 따로 만들면 관리가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어디로든 달려가는 군의 특별 그룹을 제외하고는 국가 전체 의료 자원의 틀로 봐야지 군 의료만 따로 발전시키기는 어렵다"라며 "의료라는 자산을 냉정하게 큰 틀에서 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청년 국군 장병을 위해 해줄 말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젊은 세대들에게 감히 무슨 얘기를 드린다기보다는, 제가 많이 배운다"고 답했습니다.
이 원장은 "젊은 친구들이 몇 달만 있어도 확 성장하는 것을 보면 기분이 좋다"며 "그래서 저는 군에서 행복하게 잘 지내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이 병원장은 최근 군의관 후보생을 상대로 한 강연에서 "한평생 외상외과에서 일했는데, 바뀌는 건 하나도 없더라"며 "탈조선하라"는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지만, 국방부는 이번 일을 문제 삼지 않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