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한대행 체제 반복 땐 경제 직격탄.. “대외 신인도 흔들릴 것”
추경 증액엔 유연 대응 시사.. “국채 시장 충격은 최소화해야”
“세율 인상 여력 없다.. 소득 기반 세원 확충이 유일한 해법”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설이 급부상한 가운데,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워싱턴 현장에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낮아지길 바란다”고 공개 발언했습니다.
사실상 정치 리스크가 경제 신뢰도에 미칠 파장을 우려하며 경고장을 날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추경 증액 요구에 대해서는 “원칙 내 유연 대응”을 시사했지만, 국가채무 부담과 국채 시장 충격을 함께 경고했습니다.
“세율 인상 여력은 없다”며 소득 기반 세원 확충만이 유일한 해법임을 강조한 최 부총리의 발언은, 경제 수장으로서 현실을 직시한 절박한 신호로 읽힙니다.
■ 권한대행 체제 반복에 대한 묵직한 경고
최상목 부총리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직후 가진 기자단 간담회에서, 한덕수 권한대행의 출마설에 대해 “대외 신인도 차원에서도 정치적 불확실성이 낮아지길 바란다”고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권한대행 체제 반복이 국내외 신뢰도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짚은 것으로 해석됩니다.
특히 “출마 관련 사전 언질은 없었다”며 기재부 내부조차 출마 가능성에 대한 확실한 정보를 공유받지 못했다는 사실을 조심스럽게 내비쳤습니다.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권한대행 체제가 이어질 경우, 경제 안정성에도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최 부총리는 직설적으로 경고한 것으로 읽힙니다.
■ 추경 증액엔 “원칙 지키되, 필요하면 열어야”
야당을 중심으로 국회에서는 12조 2,000억 원 규모의 추경안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최 부총리는 “당초 원칙에 부합하는 사업이라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혀 증액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다만 “규모 확대 자체보다 사업의 효과성과 재정 지속 가능성을 따져야 한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특히나 국채 발행 규모가 늘어날 경우, 국채 시장 충격과 국가채무 증가를 우려해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국채 시장과 재정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발언은, 무분별한 재정 확장 요구에 대한 경계심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 “증세는 해법 아니.. 결국 소득 늘려야”
최 부총리는 한국 경제를 둘러싼 구조적 문제를 솔직하게 진단했습니다.
“성장 잠재력이 약화되고 있어 전망조차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석하고서는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긴급 대응과 함께 장기적인 소득 기반 확충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조세부담률 문제와 관련해, “우리나라는 세율을 더 높일 여력이 많지 않다”며 증세를 통한 재정 확충론에 선을 그었습니다.
“결국은 국민 소득 자체를 키워 세원을 확장해야 한다”면서, 재정 확충의 해법을 근본적인 성장동력 복원에 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조기 대선까지 5주.. 경제 리스크 관리 ‘초긴장’
한덕수 권한대행이 실제 대선 출마를 선언할 경우, 대한민국은 조기 대선까지 약 5주간 최상목 부총리 체제로 국정을 운영해야 합니다.
앞서 탄핵 직후에도 임시 권한대행을 맡았던 최 부총리는, 이번에도 글로벌 경기 둔화, 대내 정치 혼란, 재정 부담이라는 삼중고를 감당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결국 이번 워싱턴 발언은 단순히 외교 메시지 수준이 아닌, 한국 경제를 압박하는 복합 리스크에 대한 최 부총리의 절박한 ‘최후 경고’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정국 불확실성과 정책 대응 방향 모두가 안갯속에 놓인 가운데, 향후 추이와 정부의 선택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경 증액엔 유연 대응 시사.. “국채 시장 충격은 최소화해야”
“세율 인상 여력 없다.. 소득 기반 세원 확충이 유일한 해법”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5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에서 열린 '동행기자단 간담회'에서 기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설이 급부상한 가운데,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워싱턴 현장에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낮아지길 바란다”고 공개 발언했습니다.
사실상 정치 리스크가 경제 신뢰도에 미칠 파장을 우려하며 경고장을 날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추경 증액 요구에 대해서는 “원칙 내 유연 대응”을 시사했지만, 국가채무 부담과 국채 시장 충격을 함께 경고했습니다.
“세율 인상 여력은 없다”며 소득 기반 세원 확충만이 유일한 해법임을 강조한 최 부총리의 발언은, 경제 수장으로서 현실을 직시한 절박한 신호로 읽힙니다.
■ 권한대행 체제 반복에 대한 묵직한 경고
최상목 부총리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직후 가진 기자단 간담회에서, 한덕수 권한대행의 출마설에 대해 “대외 신인도 차원에서도 정치적 불확실성이 낮아지길 바란다”고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권한대행 체제 반복이 국내외 신뢰도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짚은 것으로 해석됩니다.
특히 “출마 관련 사전 언질은 없었다”며 기재부 내부조차 출마 가능성에 대한 확실한 정보를 공유받지 못했다는 사실을 조심스럽게 내비쳤습니다.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권한대행 체제가 이어질 경우, 경제 안정성에도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최 부총리는 직설적으로 경고한 것으로 읽힙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5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에서 열린 '동행기자단 간담회'에서 기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 추경 증액엔 “원칙 지키되, 필요하면 열어야”
야당을 중심으로 국회에서는 12조 2,000억 원 규모의 추경안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최 부총리는 “당초 원칙에 부합하는 사업이라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혀 증액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다만 “규모 확대 자체보다 사업의 효과성과 재정 지속 가능성을 따져야 한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특히나 국채 발행 규모가 늘어날 경우, 국채 시장 충격과 국가채무 증가를 우려해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국채 시장과 재정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발언은, 무분별한 재정 확장 요구에 대한 경계심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 “증세는 해법 아니.. 결국 소득 늘려야”
최 부총리는 한국 경제를 둘러싼 구조적 문제를 솔직하게 진단했습니다.
“성장 잠재력이 약화되고 있어 전망조차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석하고서는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긴급 대응과 함께 장기적인 소득 기반 확충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조세부담률 문제와 관련해, “우리나라는 세율을 더 높일 여력이 많지 않다”며 증세를 통한 재정 확충론에 선을 그었습니다.
“결국은 국민 소득 자체를 키워 세원을 확장해야 한다”면서, 재정 확충의 해법을 근본적인 성장동력 복원에 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5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에서 열린 '동행기자단 간담회'에서 기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 조기 대선까지 5주.. 경제 리스크 관리 ‘초긴장’
한덕수 권한대행이 실제 대선 출마를 선언할 경우, 대한민국은 조기 대선까지 약 5주간 최상목 부총리 체제로 국정을 운영해야 합니다.
앞서 탄핵 직후에도 임시 권한대행을 맡았던 최 부총리는, 이번에도 글로벌 경기 둔화, 대내 정치 혼란, 재정 부담이라는 삼중고를 감당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결국 이번 워싱턴 발언은 단순히 외교 메시지 수준이 아닌, 한국 경제를 압박하는 복합 리스크에 대한 최 부총리의 절박한 ‘최후 경고’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정국 불확실성과 정책 대응 방향 모두가 안갯속에 놓인 가운데, 향후 추이와 정부의 선택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