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없는 예산편성 뭇매..역점 사업도 지적
(앵커)
사상 첫 7조원대의 제주자치도 내년 예산안에 대한 도의회 심사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각종 동의절차를 거치지 않는 등 예산편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하창훈 기잡니다.
(리포트)
지난달 말 제주자치도는 공공주택 7천호 공급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오는 2026년까지 임대주택과 분양주택 7천호를 공급해 서민들의 내 집 마련 꿈 실현에 힘쓴다는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내년 예산 심사 과정에서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공공이 발주하고 민간업체가 건축을 하면 요율 등이 적용돼 예상보다 분양가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제주자치도가 공공부지 매입 비용으로 100억 원을 편성했지만, 절차를 이행하지 않은 실수를 저질렀다고 꼬집기도 했습니다.
현지홍 / 더불어민주당 도의원
"원래 예산 편성 절차가 공유재산 심사를 받고 예산 편성해서 의회에 제출해야 되잖아요. (맞습니다.) 그걸 어기신 거잖아요."
중앙버스차로제 확대도 지적됐습니다.
제주자치도가 신속성 등을 이유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6천억 원 이상 투입되고도 효과가 적은 버스준공영제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 설계도면을 볼 때 가로수나 인도 등이 대폭 줄어드는데, 사람 중심보다는 버스 이동 단축에만 신경쓰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양영식 / 더불어민주당 도의원
"21m 도로에서 저기 뭡니까? 버스전용차로 26m가 이렇게 되고 있는데, 자전거 도로나 인도가 사라지는거 아닙니까?"
수도권 기업 제주 이전엔 신중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지난 9월 투자협약을 맺은 업체의 모기업에 대한 평가가 좋지 않다며, 자칫 제주의 이미지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일부 사업의 경우 부서별로 중복되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고의숙 / 교육의원
"투자유치과, 관광정책과, 그리고 제주관광공사, ICC제주의 역할들이 이 사업 진행하는데 명확히 정립되지 않았다. 그래서 중복되는 부분들이 예산상에도 보인다."
예산결산위원회 회차마다 제주자치도 예산과 사업에 대한 적잖은 지적사항이 나오면서, 오는 14일까지 이어지는 예결위의 증감액 조정은 어떻게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JIBS 하창훈입니다.
영상취재 강효섭
제주방송 하창훈 (chha@jibs.co.kr) 강효섭(muggin@jibs.co.kr)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