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2차 제주형 재난긴급생활지원금이 제주도민 모두에게 1인당 10만원씩 현금으로 지급됩니다.
제주자치도는 오는 24일부터 신청 접수에 들어가, 추석 이전에 지급을 마칠 방침입니다.
안수경 기잡니다.
(리포트)
1차 제주형 재난지원금은 제주도민 40% 정도에게만 지급됐습니다.
정기적인 급여를 받는 직장인과 공무원 등이 제외됐었습니다.
하지만 2차 제주형 재난긴급생활지원금은 제주도민 모두에게 지원됩니다.
지난달 29일 기준 제주에 주민등록이 돼 있으면 지급 대상이 됩니다.
제주도 도민 67만여 명에다 제주에 등록된 외국인 2만9천여명 등 69만 9천여 명에게 지급됩니다.
1차때보다 3배 정도 많습니다.
현대성 제주자치도 기획조정실장
(싱크)-(자막)"동거인은 별도 신청할 수 있도록 했고. 세대주 밑에 있는 세대원, 동거인을 제외한 세대원에 대해서는 세대주가 신청하도록 했습니다."
지원 액수도 달라집니다.
1차 때는 세대당 최대 50만원까지 였지만, 2차 지원금은 가족 1인당 10만원씩 제한을 두지 않고 지급됩니다.
선불카드 형태로 지원할 경우 읍면주민들의 불편이 크기 때문에, 전액 현금으로 지원됩니다.
지원금 신청은 오는 24일부텁니다.
먼저 2주간 온라인 신청을 받은 후, 다음달 7일부터 온라인과 현장방문 접수를 동시에 실시할 예정입니다.
지원금 신청은 1차때 처럼 마스크 5부제 방식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제주자치도는 다음달 27일까지 신청 접수를 받고, 2차 제주형 재난지원금 698억원을 다음달안에 지원할 방침입니다.
현대성 제주자치도 기획조정실장
(싱크)-(자막)"2차 지원금은 추석 전에 신속히 지급해서 가계 경제에 도움이 되고, 지역 경제에 충격도 좀 완화할 수 있도록."
영상취재 윤인수
논란을 거듭한 끝에 2차 재난긴급생활지원금이 모든 도민들에게 지원되면서, 침체된 서민 경제에 다소 숨통이 트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JIBS 안수경입니다.
JIBS 안수경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차 제주형 재난긴급생활지원금이 제주도민 모두에게 1인당 10만원씩 현금으로 지급됩니다.
제주자치도는 오는 24일부터 신청 접수에 들어가, 추석 이전에 지급을 마칠 방침입니다.
안수경 기잡니다.
(리포트)
1차 제주형 재난지원금은 제주도민 40% 정도에게만 지급됐습니다.
정기적인 급여를 받는 직장인과 공무원 등이 제외됐었습니다.
하지만 2차 제주형 재난긴급생활지원금은 제주도민 모두에게 지원됩니다.
지난달 29일 기준 제주에 주민등록이 돼 있으면 지급 대상이 됩니다.
제주도 도민 67만여 명에다 제주에 등록된 외국인 2만9천여명 등 69만 9천여 명에게 지급됩니다.
1차때보다 3배 정도 많습니다.
현대성 제주자치도 기획조정실장
(싱크)-(자막)"동거인은 별도 신청할 수 있도록 했고. 세대주 밑에 있는 세대원, 동거인을 제외한 세대원에 대해서는 세대주가 신청하도록 했습니다."
지원 액수도 달라집니다.
1차 때는 세대당 최대 50만원까지 였지만, 2차 지원금은 가족 1인당 10만원씩 제한을 두지 않고 지급됩니다.
선불카드 형태로 지원할 경우 읍면주민들의 불편이 크기 때문에, 전액 현금으로 지원됩니다.
지원금 신청은 오는 24일부텁니다.
먼저 2주간 온라인 신청을 받은 후, 다음달 7일부터 온라인과 현장방문 접수를 동시에 실시할 예정입니다.
지원금 신청은 1차때 처럼 마스크 5부제 방식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제주자치도는 다음달 27일까지 신청 접수를 받고, 2차 제주형 재난지원금 698억원을 다음달안에 지원할 방침입니다.
현대성 제주자치도 기획조정실장
(싱크)-(자막)"2차 지원금은 추석 전에 신속히 지급해서 가계 경제에 도움이 되고, 지역 경제에 충격도 좀 완화할 수 있도록."
영상취재 윤인수
논란을 거듭한 끝에 2차 재난긴급생활지원금이 모든 도민들에게 지원되면서, 침체된 서민 경제에 다소 숨통이 트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JIBS 안수경입니다.
JIBS 안수경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관광 줄고 소비는 식었다” 만들어도 팔 곳 없어.. 제주 산업 “이러다 무너진다”
- ∙︎ “헌재는 말이 없고, 시간만 흐른다”.. 탄핵심판은 멈췄고, 정치권 ‘4월 18일’로 치닫는다
- ∙︎ 尹 탄핵 선고 늦추라던 與, "헌재 결단 내려라" 돌연 선회.. 왜?
- ∙︎ 오영훈 "비싼 제주관광?.. 1인 10만 원 갈치구이가 대표 사례"
- ∙︎ "아메리카노 200원 인상".. 원두값에 저가 커피 10년 만에 굴복
- ∙︎ 침묵의 방패, '임명 보류' 고수하는 한덕수.. 野는 “재탄핵” 벼르며 D-데드라인 압박
- ∙︎ 경찰관은 119, 소방관은 112로.. 사건 초기에 진화한다
- ∙ 비박 적발에 수사했더니.. 산방산 무단 입산 성공 후기 버젓이
- ∙ “기부 취소합니다”.. 산불 피해마저 갈라진 SNS, 애도보다 진영 싸움
- ∙ “총탄핵? 이건 쿠데타”., 권성동, 이재명·김어준 포함 72명 ‘내란죄’ 고발 예고
- ∙ “SNS에도, 논평에도 없더니”.. 산불 현장에 매일 나오는 사람 ‘하나’ 있었다
- ∙ “전국은 움직였다, 하지만 제주는 떠났다”.. 19개월째 ‘인구 빠지는 섬’, 지금 “제주는 비워지는 중”
- ∙ 이재명, 산불현장서 또 위협.. “암살 제보 이어 실물 접촉까지, 경호는 뚫렸다”
- ∙ 산불 피해견 사료 도난..."새벽 6시 청년 대여섯 명이 실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