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복열씨가 제보한 '두줄촉수' 와 아열대 어종들 © JIBS 제주방송
시청자가 잡은 ‘시뻘건 고기’
지난 21일 시청자 양복열씨가 제주 북서쪽 차귀도에서 낚시를 하다 보내 온 사진입니다.
몸 전체가 붉은 색인 고기를 처음 본다며 어떤 종인지 문의를 해 왔습니다.
이 고기는 '두줄촉수'라는 아열대 어종입니다.
아열대 어종은 국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어종과 달리 두줄촉수처럼 색상이 화려하고 특이한 형체를 갖고 있는게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대만과 동중국해 남쪽, 일본 오키나와 인근에 주로 서식하는 아열대 어종인 두줄촉수가 제주 남쪽도 아닌 북쪽 바다에서 그것도 낚시객에게 어떻게 잡히게 된 걸까요?
왜 제주 바다에 아열대 어종?
아열대 어종이 제주 바다에서 간간이 보이기 시작한건 20년도 더 됐습니다.
문제는 갈수록 아열대 어종 포획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겁니다.
제주 바다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해 온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조사 결과, 지난 2013년 제주 인근에서 확인됐던 아열대 어종은 44종이었지만, 지난해 조사에선 83종으로 2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아열대 어종 개체수 급격히 증가
심각한 건 아열대 어종이 다양해진 것 만이 아니라, 개체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겁니다.
제주수산연구소가 실제 바다로 나가 어획 실태 조사를 했더니, 아열대 어종 출현율이 50%를 넘어섰습니다.
제주바다에서 고기 10마리를 잡으면 5마리는 아열대 어종이라는 겁니다.
게다가 제주에서 확인되는 아열대 어종 가운데 식용이 가능한 어종은 5종 정도에 불과해, 어민들은 애써 잡은 고기 상당량을 버려야 하는 상황을 맞고 있습니다.
제주 바다 수온 매년 상승
이처럼 제주 바다에 아열대 어종이 자리를 잡고 서식하게 된 건 당연히 바다 수온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보통 평균 수온이 18에서 20도 정도로 6개월 동안 이어지는 해역을 아열대 바다로 분류하는데, 이 기준을 적용하면 이미 제주 남쪽 해역은 물론 제주도 북쪽 추자도 주변까지 포함됩니다.
특히 제주는 아열대 바다 수온이 최대 9개월 가량 유지되고, 겨울철 바다 수온도 최근엔 15로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제주 해역은 사실상 이미 아열대 해역으로 변해 있다는 얘깁니다.
제주 바다 수온이 높게 유지되면서, 대만과 오키나와에서 여름 난류를 타고 제주 해역으로 왔던 아열대 어종들이 제주에 정착해 번식하면서 개체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제주 바다의 어종지도까지 바꿔 놓고 있는 겁니다.
바다 아열대화 전국으로 확산 양상
바다 환경의 변화는 제주 해역을 거쳐, 이미 남해와 동해까자 빠르게 확산돼 가고 있습니다.
제주 해역에서 발견되던 철갑둥어, 청줄돔, 노랑가시복 같은 아열대 어종들이 남해와 동해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어종이 돼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바다는 빠르게 아열대 해역으로 바뀌는 반면, 그에 대한 대비는 부족한게 사실입니다.
그나마 10년쯤 전부터 아열대성 어류 뿐 아니라 아열대 해조류와 산호류가 바다 생태에 미치는 영향, 토착 어류와 먹이 사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바다 아열대화는 어민들의 생계와 직결되고, 국민 식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환경 변화입니다.
생선이 국민들의 중요한 먹을거리 중 하나인 만큼, 적어도 늘어나는 아열대성 어류가 식용이 가능한지,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점은 있는지, 짧은 기간에 확인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선 궁금증을 풀어줄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요구됩니다.
JIBS 제주방송 강석창(ksc064@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 21일 시청자 양복열씨가 제주 북서쪽 차귀도에서 낚시를 하다 보내 온 사진입니다.
몸 전체가 붉은 색인 고기를 처음 본다며 어떤 종인지 문의를 해 왔습니다.
이 고기는 '두줄촉수'라는 아열대 어종입니다.
아열대 어종은 국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어종과 달리 두줄촉수처럼 색상이 화려하고 특이한 형체를 갖고 있는게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대만과 동중국해 남쪽, 일본 오키나와 인근에 주로 서식하는 아열대 어종인 두줄촉수가 제주 남쪽도 아닌 북쪽 바다에서 그것도 낚시객에게 어떻게 잡히게 된 걸까요?
왜 제주 바다에 아열대 어종?
아열대 어종이 제주 바다에서 간간이 보이기 시작한건 20년도 더 됐습니다.
문제는 갈수록 아열대 어종 포획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겁니다.
제주 바다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해 온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조사 결과, 지난 2013년 제주 인근에서 확인됐던 아열대 어종은 44종이었지만, 지난해 조사에선 83종으로 2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아열대 어종 개체수 급격히 증가
심각한 건 아열대 어종이 다양해진 것 만이 아니라, 개체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겁니다.
제주수산연구소가 실제 바다로 나가 어획 실태 조사를 했더니, 아열대 어종 출현율이 50%를 넘어섰습니다.
제주바다에서 고기 10마리를 잡으면 5마리는 아열대 어종이라는 겁니다.
게다가 제주에서 확인되는 아열대 어종 가운데 식용이 가능한 어종은 5종 정도에 불과해, 어민들은 애써 잡은 고기 상당량을 버려야 하는 상황을 맞고 있습니다.
제주 바다 수온 매년 상승
이처럼 제주 바다에 아열대 어종이 자리를 잡고 서식하게 된 건 당연히 바다 수온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보통 평균 수온이 18에서 20도 정도로 6개월 동안 이어지는 해역을 아열대 바다로 분류하는데, 이 기준을 적용하면 이미 제주 남쪽 해역은 물론 제주도 북쪽 추자도 주변까지 포함됩니다.
특히 제주는 아열대 바다 수온이 최대 9개월 가량 유지되고, 겨울철 바다 수온도 최근엔 15로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제주 해역은 사실상 이미 아열대 해역으로 변해 있다는 얘깁니다.
제주 바다 수온이 높게 유지되면서, 대만과 오키나와에서 여름 난류를 타고 제주 해역으로 왔던 아열대 어종들이 제주에 정착해 번식하면서 개체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제주 바다의 어종지도까지 바꿔 놓고 있는 겁니다.
바다 아열대화 전국으로 확산 양상
바다 환경의 변화는 제주 해역을 거쳐, 이미 남해와 동해까자 빠르게 확산돼 가고 있습니다.
제주 해역에서 발견되던 철갑둥어, 청줄돔, 노랑가시복 같은 아열대 어종들이 남해와 동해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어종이 돼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바다는 빠르게 아열대 해역으로 바뀌는 반면, 그에 대한 대비는 부족한게 사실입니다.
그나마 10년쯤 전부터 아열대성 어류 뿐 아니라 아열대 해조류와 산호류가 바다 생태에 미치는 영향, 토착 어류와 먹이 사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바다 아열대화는 어민들의 생계와 직결되고, 국민 식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환경 변화입니다.
생선이 국민들의 중요한 먹을거리 중 하나인 만큼, 적어도 늘어나는 아열대성 어류가 식용이 가능한지,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점은 있는지, 짧은 기간에 확인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선 궁금증을 풀어줄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요구됩니다.
JIBS 제주방송 강석창(ksc064@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