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식한 수준까진 아니지만 애매한 '그 무언가'를 조금이나마 긁어줄 수 있도록 준비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모습도 많이 보이지만, 집안과 지역의 특색이 강하게 반영되는 것 중의 하나가 경조사 문화입니다.
지난 '제주 ZOOM'에서 제주에서는 주말 오전에 결혼식을 하고, 하루 종일 또는 3일에 걸쳐 잔치를 진행한다는 이야기를 전해드렸었는데요.
이 잔치 때문에 청첩장에는 날짜와 장소, 시간이 다양하게 적혀있기도 했죠.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안타까운 소식을 접하게 되는 '부고'에도 뭔가 살짝 다른게 있습니다.
다른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입관과 발인 날짜, 장소만 적혀있는데, 제주에서는 '일포' 날짜가 추가됩니다.
어릴 적부터 보고 자란 제주 토박이들에게는 익숙하지만, 다른 지역에서 이주한 사람들은 처음 들었을 때 "일포가 뭔가요?"라며 질문을 던지기도 합니다.
■ "일포가 언제꽈?"
문자나 전화로 부고 연락을 받으면 제주사람들은 가장 먼저 이 말을 꺼냅니다.
그리고 이 날짜에 맞춰서 조문하는데요. 일포는 발인 전, 문상객을 받는 날입니다.
다른 지방에서는 상제들이 상복을 입는 성복이 끝난 다음날부터 상여가 나가는 발인 전날까지 문상객을 받지만, 제주에서는 성복을 했더라도 일포가 아니면 문상을 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3일간 장례를 치르기 때문에 부고를 받으면, 다음날에 일포, 그다음 날에 발인이 이뤄지지만, 이틀 뒤에 일포로 날짜를 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 일포 날짜를 먼저 확인합니다.
■ "왜 일포가 있는건가요? 언제부터 있었나요?"
결혼식처럼 오전부터 늦은 저녁까지 하루종일 또는 오후부터 늦은 저녁까지 손님을 받고, 시신을 넣을 수 있는 의례관이 있다면 장례식장 뿐만 아니라 마을회관이나 종교시설 등 다양한 장소에서 문상객을 맞이하기도 하는데요.
일손이 모자라기 때문에 주변 지인들은 하던 일을 멈추고 달려가서 음식을 만들거나 손님상을 차리는 것 등을 도와주곤 합니다.
성읍리에서 전통 장례를 주관하며 행상소리를 전승해온 송순원 씨(86)는 "일포날에는 동네사람들이 모여서 돼지를 잡고, 제물 준비를 하고, 떡과 음식을 만들었다" 고 전했습니다.
언제부터 시작됐는지 정확하게 설명하는 자료는 없습니다.
2009년에 발표된 <제주도 농촌사회 상례문화의 특징과 변화 연구> 논문에서는 "전통사회에서 장례를 치르기 위한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일포날에 동네 주민들이 모여서 문상하면서 장례 준비를 하던 전통이 고착화되면서 현대에 들어와서도 일포날에 문상하는 것이 올바른 예의라는 관습이 지속된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 "왜 서귀포에서는 밥이 아니라 국수가 나오나요?"
제주 장례식에는 또 다른 특징이 있습니다.
문상객들에게 제공하는 음식이 지역마다 다른데요.
제주시에서는 성게미역국이나 몸국과 함께 밥을 제공하지만, 서귀포에서는 멸치국수가 테이블에 올라옵니다.
처음부터 달랐던 건 아닙니다.
1970년대 군사정권 하에서 전통적인 관혼상제의 의례를 간소화하는 '가정의례준칙'이 시행되면서 결혼식 잔치 등 집안일에 돼지를 도축하는 행위가 금지됐기 때문인데요.
남부지방에서는 돼지를 잡아서 몸국을 대접하는 풍습을 국수로 대체하자는 분위기가 컸고 지금까지 이어져왔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서귀포에서도 밥과 국이 나오기도 하는데요. 가족들끼리 상의해서 음식을 결정하기 때문에 국수만 제공되던 문화는 조금씩 사라지고 있습니다.
한편, 장례식장에서 팥죽을 받는 경우도 있는데요.
요리 전문가와 장례지도사 등 전문가들은 "입관하는 날 잡귀를 쫓기 위해 팥죽을 먹는 문화가 있는데, 사돈이 직접 준비해서 가져온다"라며 "원래는 상주와 일가친척만 먹는데, 음식이 남게 되면 문상객들에게 주는 경우도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 "답례품을 준비해야 된다던데 맞나요?"
제주의 한 커뮤니티에서 간혹 이런 질문이 올라옵니다.
다른 지역에서 살다가 제주사람과 결혼했다는 여성은 "결혼식에만 답례품이 있는 줄 알았다"라며 어떤 걸 준비해야 하는지 물었습니다.
답례품은 휴지나 라면, 상품권 등 다양하고, 일포에 오는 문상객, 일을 도와준 지인 등에게 전달하는 편인데요.
언제부터 전달하기 시작했는지에 대해서 설명하는 자료는 없지만, 함께 장례를 준비하고, 고인을 명복을 빌어준 문상객들의 고마움을 전달하기 위해 생겨난 것이라는 분석이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강은희 (eunhee@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영상] "모텔서 쉬라고" 처음 본 만취 여성 끌고 간 30대 실형
- ∙ “내란을 국민이 용납하겠나”.. 윤석열 탄핵 정국, 이재명 “헌재 신속 심판이 해법”
- ∙ 애들 장난인 줄 알았더니.. 상품 숨겼다가 바코드 찢고 '슬쩍'
- ∙ 어묵 1개 5000원?.. 집회 현장 폭리 노점상 "선 넘었다" 뭇매
- ∙ "회사 짤리면 얼마 못 버티는데.." 직장인 10명 중 4명 내년 "실직 가능성"
- ∙ “저를 지키지 마세요, 제가 여러분을 지키겠습니다”.. 146일 만에 사퇴한 한동훈, 보수의 미래에 던진 화두
- ∙ 매일우유 '갈색 액체', 양잿물 성분...식약처, 영업정지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