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아파트 입주율 63%.. ‘규제 완화' 영향
지역별 양극화 '뚜렷'..서울 등 오르고 지방 하락
주택매매 정체, 세입자 미확보.. 물량 적체 예고
입주시기 등 지연 잇따라 "다방면 고민 뒤따라야"
잇따른 부동산 규제 완화책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일부 지역 상승세로 이어지는 모습입니다.
상대적으로 수도권과 지방간 아파트 가격 체감 격차는 계속 벌어지는 양상입니다.
기존 집이 팔리기엔 좀처럼 거래 수요가 생기지 않는데다, 세입자마저 구하지 못하면서 적체 물량 해소에 한계를 겪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분양 물량들은 ‘대기 중’입니다.
팔리지 못한 아파트의 입주율은 역대 최저까지 떨어지고 건설사 등은 잔금 지급에 어려움을 겪는 악순환까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분양가엔 더 조정이 필요해 보이고, 실수요자들의 어떻게 움직일지 거래시장 추이는 더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아파트 입주율 63.3%.. 10곳 중 4곳 '깜깜'
오늘(21일)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아파트 입주전망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3.3%로 전월 대비 3.3%포인트(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곳 중 6곳은 주인이 들어갔지만, 4곳은 여전히 비어있다는 얘기입니다.
이렇듯 주택시장 침체로 아파트 입주율이 60%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지역 격차가 심합니다.
수도권과 지방 아파트 입주율이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아파트 입주율은 지난해 중순 80%대를 유지했던게 하반기부터 감소하면서 11월 66.2%까지 떨어졌습니다.
그러던 것이 2022년 12월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에 따른 기대감이 반영되며 71.17%로 올라섰다가, 올 들어 두 달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는 실정입니다.
■ 수도권 "급매물 중심 해소".. 지방권 "입주율 모두 하락"
지역별 격차가 두드러졌습니다.
서울(79.2→79.7)과 인천·경기권(73.2→75.8)은 입주율이 오른 반면 지방은 모두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수도권(75.2→77.1)도 상승했지만 5대 광역시(65.8→60.6)는 하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강원권(60.0→52.0), 대전·충청권(66.5→59.7), 광주·전라권(61.6→59.3), 대구·부산·경상권(64.9→62.7)에서 입주율이 모두 하락했습니다.
제주 역시 전달(71.0)보다 9포인트(p) 떨어진 63.0으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이처럼 입주율 차이는 주택거래 회복 흐름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은 대대적인 규제 완화 분위기에 힘입어 급매물이 빠르게 소진돼 거래량이 늘면서 하락 폭이 축소됐기 때문입니다.
규제지역 전면 해제, 전매제한 기간이나 다주택자 규제 그리고 무주택자 대출규제와 부동산 관련 세제 등의 대거 완화 계획 발표 등 연이은 정책 완화 흐름이 거래 분위기를 만드는데 힘을 실어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 외 지방을 중심으로는 상대적으로 수요 이탈이 두드러지고 적체 매물만 쌓이며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정책 효과가 극히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 입주전망치 '상승' 예상.. 수도권, 일부 지방 등
그나마 입주 전망치는 밝게 보고 있습니다.
이달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전월 72.1에서 80.2로 올랐습니다.
수도권이 67.5에서 71.0으로, 도지역은 71.2에서 87.3으로 상승 전망됐습니다.
광역시는 75.7에서 75.4로 하락세가 예상됐습니다.
제주는 전달(64.7)보다 크게 오른 77.7로 상승세를 내다봤습니다.
■ 주택 거래 등 안돼.. 세입자 등 수요 끊겨
지난달 미입주 사유 중 기존 주택매매 지연이 44.4%로 절반에 달했습니다.
전달 41.7%였던게 2.7%p 상승했습니다.
이어 세입자 미확보가 33.3%, 잔금대출 미확보가 14.3%, 분양권 매도 지연 등 순으로 전달보다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비중은 전달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습니다.
■ 입주물량 '줄대기'.. 전세 약세 우려
쏟아지는 입주 물량도 걱정을 더합니다.
부동산 R114에 따르면, 다음 달 41개 단지, 2만6,665가구(임대 포함) 아파트가 입주할 예정으로, 올해 월 평균 입주 물량인 2만9,742가구는 밑돌지만 4월 기준 2018년(2만 9,841가구) 이후, 5년 내 가장 큰 규모입니다.
임대가 3가구 중 1가구 꼴인 7,875가구(29.5%)로 올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경기가 1만1,253가구로 가장 많고, 대구(3,498가구), 부산(3,018가구), 대전(1,747가구), 경북(1,717가구) 순으로 입주 물량이 많지만, 추가 물량들이 이어져 전세 약세를 심화시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자칫 물량들만 쌓이면서, 역전세난에 입주까지 차질을 빚을 수 있단 얘기입니다.
■ 입주시기 등 지연 잇따라.. 대출 등 대책 고민 병행해야
최근엔 시공사의 공사 지연과 공사비 갈등까지 불거지면서 입주 시기가 지연되는 단지가 잇따르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당초 1월 입주 예정이던 경북지역 1,700여 단지 아파트의 경우 공사 지연 등으로 인해 다음 달 입주 예정인가 하면, 이달 입주 예정인 서귀포지역 85가구 단지 아파트도 다음 달로 미뤄졌습니다.
전문가들은 "임차인을 못구한데다 대출도 어려워 입주가 늦어지는 것은 물론, 최근 공사가 늦거나 비용 등 문제들이 맞물려 시기가 밀리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면서 "입주 시기를 계속 확인하는 것은 물론, 자금은 물론 이사일정과 함께 여러 가능한 대책들을 미리 고민해 두는게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 (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역별 양극화 '뚜렷'..서울 등 오르고 지방 하락
주택매매 정체, 세입자 미확보.. 물량 적체 예고
입주시기 등 지연 잇따라 "다방면 고민 뒤따라야"
잇따른 부동산 규제 완화책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일부 지역 상승세로 이어지는 모습입니다.
상대적으로 수도권과 지방간 아파트 가격 체감 격차는 계속 벌어지는 양상입니다.
기존 집이 팔리기엔 좀처럼 거래 수요가 생기지 않는데다, 세입자마저 구하지 못하면서 적체 물량 해소에 한계를 겪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분양 물량들은 ‘대기 중’입니다.
팔리지 못한 아파트의 입주율은 역대 최저까지 떨어지고 건설사 등은 잔금 지급에 어려움을 겪는 악순환까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분양가엔 더 조정이 필요해 보이고, 실수요자들의 어떻게 움직일지 거래시장 추이는 더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아파트 입주율 63.3%.. 10곳 중 4곳 '깜깜'
오늘(21일)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아파트 입주전망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3.3%로 전월 대비 3.3%포인트(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곳 중 6곳은 주인이 들어갔지만, 4곳은 여전히 비어있다는 얘기입니다.
이렇듯 주택시장 침체로 아파트 입주율이 60%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지역 격차가 심합니다.
수도권과 지방 아파트 입주율이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아파트 입주율은 지난해 중순 80%대를 유지했던게 하반기부터 감소하면서 11월 66.2%까지 떨어졌습니다.
그러던 것이 2022년 12월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에 따른 기대감이 반영되며 71.17%로 올라섰다가, 올 들어 두 달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는 실정입니다.
■ 수도권 "급매물 중심 해소".. 지방권 "입주율 모두 하락"
지역별 격차가 두드러졌습니다.
서울(79.2→79.7)과 인천·경기권(73.2→75.8)은 입주율이 오른 반면 지방은 모두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수도권(75.2→77.1)도 상승했지만 5대 광역시(65.8→60.6)는 하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강원권(60.0→52.0), 대전·충청권(66.5→59.7), 광주·전라권(61.6→59.3), 대구·부산·경상권(64.9→62.7)에서 입주율이 모두 하락했습니다.
제주 역시 전달(71.0)보다 9포인트(p) 떨어진 63.0으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이처럼 입주율 차이는 주택거래 회복 흐름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은 대대적인 규제 완화 분위기에 힘입어 급매물이 빠르게 소진돼 거래량이 늘면서 하락 폭이 축소됐기 때문입니다.
규제지역 전면 해제, 전매제한 기간이나 다주택자 규제 그리고 무주택자 대출규제와 부동산 관련 세제 등의 대거 완화 계획 발표 등 연이은 정책 완화 흐름이 거래 분위기를 만드는데 힘을 실어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 외 지방을 중심으로는 상대적으로 수요 이탈이 두드러지고 적체 매물만 쌓이며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정책 효과가 극히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 입주전망치 '상승' 예상.. 수도권, 일부 지방 등
그나마 입주 전망치는 밝게 보고 있습니다.
이달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전월 72.1에서 80.2로 올랐습니다.
수도권이 67.5에서 71.0으로, 도지역은 71.2에서 87.3으로 상승 전망됐습니다.
광역시는 75.7에서 75.4로 하락세가 예상됐습니다.
제주는 전달(64.7)보다 크게 오른 77.7로 상승세를 내다봤습니다.
■ 주택 거래 등 안돼.. 세입자 등 수요 끊겨
지난달 미입주 사유 중 기존 주택매매 지연이 44.4%로 절반에 달했습니다.
전달 41.7%였던게 2.7%p 상승했습니다.
이어 세입자 미확보가 33.3%, 잔금대출 미확보가 14.3%, 분양권 매도 지연 등 순으로 전달보다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비중은 전달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습니다.
■ 입주물량 '줄대기'.. 전세 약세 우려
쏟아지는 입주 물량도 걱정을 더합니다.
부동산 R114에 따르면, 다음 달 41개 단지, 2만6,665가구(임대 포함) 아파트가 입주할 예정으로, 올해 월 평균 입주 물량인 2만9,742가구는 밑돌지만 4월 기준 2018년(2만 9,841가구) 이후, 5년 내 가장 큰 규모입니다.
임대가 3가구 중 1가구 꼴인 7,875가구(29.5%)로 올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경기가 1만1,253가구로 가장 많고, 대구(3,498가구), 부산(3,018가구), 대전(1,747가구), 경북(1,717가구) 순으로 입주 물량이 많지만, 추가 물량들이 이어져 전세 약세를 심화시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자칫 물량들만 쌓이면서, 역전세난에 입주까지 차질을 빚을 수 있단 얘기입니다.
■ 입주시기 등 지연 잇따라.. 대출 등 대책 고민 병행해야
최근엔 시공사의 공사 지연과 공사비 갈등까지 불거지면서 입주 시기가 지연되는 단지가 잇따르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당초 1월 입주 예정이던 경북지역 1,700여 단지 아파트의 경우 공사 지연 등으로 인해 다음 달 입주 예정인가 하면, 이달 입주 예정인 서귀포지역 85가구 단지 아파트도 다음 달로 미뤄졌습니다.
전문가들은 "임차인을 못구한데다 대출도 어려워 입주가 늦어지는 것은 물론, 최근 공사가 늦거나 비용 등 문제들이 맞물려 시기가 밀리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면서 "입주 시기를 계속 확인하는 것은 물론, 자금은 물론 이사일정과 함께 여러 가능한 대책들을 미리 고민해 두는게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 (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제주, 닫히는 하늘길 “비싼 항공권, 자리 없나요?” 1) 좌석 부족과 가격 폭등 “끝없는 악순환”
- ∙ "임대 아파트의 현실".. 주차장에 포르쉐부터 BMW까지 수두룩
- ∙ 호텔 주차장에서 비극적 추락사.. 법원 “유족에 9억 5,000만 원 배상”
- ∙ "갑자기 쓰러져" 제주공항 착륙 여객기서 심정지 온 승객 숨져
- ∙ 여친 잠꼬대에 화나 둔기 '퍽퍽'.. 신고는 "넘어져 머리 다쳤다"
- ∙ “휘발유·경유 또 올라?”… 끝 모를 유가 상승, 연말까지 계속되나
- ∙ 농민들은 이상고온 피해로 막막한데....'농업재해 포함 법안' 거부권이 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