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곳 이상 금융기관 대출 30대 이하 젊은층 46만 명
전체 취약자추 10명 중 4명...전체 연체율도 증가
금융기관 여러 곳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이면서 신용등급과 소득이 낮은 30대 이하 청년층이 지난해 한 해에만 4만 명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30대 이하 청년층 취약차주는 46만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전체 취약차주(126만 명)의 36.5%에 달하는 비중입니다.
지난 한 해 전체 증가한 취약차주는 모두 6만 명인데, 이 가운데 30대 이하가 4만 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이 같은 30대 이하 취약차주의 증가세는 최근 5년 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한국은행은 3곳 이상의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7~10등급) 또는 저소득(하위 30%)인 대출자를 취약차주로 분류합니다.
지난해 말 전체 가계 취약차주 대출 규모는 93조 9천억 원으로, 1년 전(92조8천억원)과 비교해 1조1천억원 증가했습니다.
한편, 가계 금융건전성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인 연체율도 다시 악화되는 추세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년 동안 전 연령대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상승한 가운데, 다중채무자 연체액은 6조 4천억 원으로 1년 동안 1조 3천억 원이 늘었습니다.
연체율 증가율은 25%에 달했습니다.
이 같은 연체율 상승 추세는 근 15년간 최저수준이었던 지난해 가계 대출 연체율이 코로나19 금융지원에 의한 안정효과 즉 '코로나 착시'가 종료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코로나19 대응에 따른 대출잔액 증가와 만기연장, 상환유예 등의 금융지원에 의한 일시적 연체율 안정세가 끝나가는 시점에 연체 리스크가 심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뒤따릅니다.
진선미 의원은 "고금리 추세에서 취약차주의 대출과 연체가 늘면서 청년층과 노년층을 중심으로 이자부담이 크게 높아질 우려가 큰 상황이다"라며 "고금리의 물가안정 순기능은 체감되지 않고 공공요금 인상, 외식비용 등의 생계 부담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제시한 국민의 이자부담을 낮추는 민생금융 위기대응책 시행에 즉각 나서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취약자추 10명 중 4명...전체 연체율도 증가

금융기관 여러 곳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이면서 신용등급과 소득이 낮은 30대 이하 청년층이 지난해 한 해에만 4만 명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30대 이하 청년층 취약차주는 46만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전체 취약차주(126만 명)의 36.5%에 달하는 비중입니다.
지난 한 해 전체 증가한 취약차주는 모두 6만 명인데, 이 가운데 30대 이하가 4만 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이 같은 30대 이하 취약차주의 증가세는 최근 5년 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한국은행은 3곳 이상의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7~10등급) 또는 저소득(하위 30%)인 대출자를 취약차주로 분류합니다.
지난해 말 전체 가계 취약차주 대출 규모는 93조 9천억 원으로, 1년 전(92조8천억원)과 비교해 1조1천억원 증가했습니다.
한편, 가계 금융건전성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인 연체율도 다시 악화되는 추세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년 동안 전 연령대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상승한 가운데, 다중채무자 연체액은 6조 4천억 원으로 1년 동안 1조 3천억 원이 늘었습니다.
연체율 증가율은 25%에 달했습니다.
이 같은 연체율 상승 추세는 근 15년간 최저수준이었던 지난해 가계 대출 연체율이 코로나19 금융지원에 의한 안정효과 즉 '코로나 착시'가 종료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코로나19 대응에 따른 대출잔액 증가와 만기연장, 상환유예 등의 금융지원에 의한 일시적 연체율 안정세가 끝나가는 시점에 연체 리스크가 심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뒤따릅니다.
진선미 의원은 "고금리 추세에서 취약차주의 대출과 연체가 늘면서 청년층과 노년층을 중심으로 이자부담이 크게 높아질 우려가 큰 상황이다"라며 "고금리의 물가안정 순기능은 체감되지 않고 공공요금 인상, 외식비용 등의 생계 부담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제시한 국민의 이자부담을 낮추는 민생금융 위기대응책 시행에 즉각 나서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기부 취소합니다”.. 산불 피해마저 갈라진 SNS, 애도보다 진영 싸움
- ∙ “SNS에도, 논평에도 없더니”.. 산불 현장에 매일 나오는 사람 ‘하나’ 있었다
- ∙ “총탄핵? 이건 쿠데타”., 권성동, 이재명·김어준 포함 72명 ‘내란죄’ 고발 예고
- ∙ 고사리 캐다 실종된 80대.. 휴대전화 GPS 추적으로 찾아
- ∙ 축제 바가지 논란에 놀란 제주도 "메뉴판에 사진 넣어라"
- ∙ “재산은 4분의 1, 빚은 두 배”.. 혼자 감당하는 ‘한부모의 나라’
- ∙ “전국은 골프에 빠졌는데, 제주는 왜 혼자 식었나?”.. 국내 최하위 기록한 ‘골프의 섬’의 추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