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개 지방의대 합격, 절반 이상이 지역학생
지역인재특별전형 효과..일부 의무비율 못채워
졸업 후 상당수, 수도권 등지 취업·개업 나서
정착 유인책 시급.. "종합 양성정책 설계 필요"
비수도권 26개 의과대학 합격자 가운데 해당 지역 출신 학생이 절반 이상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26개 지방의대는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이외 지역에 위치한 의과대학을 말합니다. 강원권, 대구·경북권, 부산·울산·경남권, 제주권, 충청권, 호남권 등 6개 권역으로 구분됩니다.
이들 지역 출신 학생 합격자가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면서 의료인력 부족에 시달리는 지역 의료계 활로가 될지 주목되지만, 정작 졸업 후 상당수가 지역보다는 수도권 등지 병원 취업이나 개업에 나서는 것으로 파악돼 유인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오늘(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현영(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학년도 비수도권 26개 의과대학 합격자 2,066명 중 52.4%인 1,082명이 해당 지역 출신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해당 지역 의대가 공고한 지역인재 특별전형 모집인원 963명보다 119명 많은 수준으로 17년째 3,058명으로 동결된 전체 의대 정원의 35.4%에 해당합니다.
지역의대별 지역출신 합격자 비율은 부산대학교 81.6%, 동아대학교 80.4%, 전남대학교 77.2%, 조선대학교 64.1%, 경상국립대학교 63.3% 순으로 높았습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가톨릭관동대학교 의대 등 강원권 2곳은 지역 출신 합격자 비율이 각각 18.6%, 14%로 의무 비율 20%는 못 채웠습니다.
지역 출신 의대 합격자는 집계가 시작된 2018년 721명, 2019년 845명, 2020년 889명, 2021년 856명, 2022년 947명, 2023년 1,082명 등 꾸준한 증가세로 나타났습니다.
2018~2023년 6년간 26개 지역 의대 전체 합격자 1만 1,741명 중 절반 가까운 45.5%인 5,340명이 지역 출신으로 해당 지역 의대에 합격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역 의대에 해당 지역 학생이 많이 들어간건 2015년 제정된 지방대학·지역 균형 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덕이라는 평가입니다
지역인재들의 수도권 이탈을 막고 지역 거주 학생이 지역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로 도입됐는데, 특별 전형 도입 초반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충청, 호남은 전체 합격자의 30%, 강원과 제주는 전체의 15%를 지역 출신으로 선발하도록 권고하는 수준이던 게 2023학년도부터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충청, 호남은 전체 40%, 강원과 제주는 20% 이상을 지역 출신 학생으로 뽑도록 의무화됐습니다.
지역인재 전형으로 지역의대에 가려면 고등학교 입학부터 졸업까지 해당 지역에서 마쳐야 하지만 일부 지역별 달리 운용되기도 합니다. 전북대는 학생의 부모가 전북 지역에 거주해야 하는 조건이 있습니다.
지역인재 특별전형이 시행되기 이전까지만 해도 지방대학들은 인재 유출 대책에 고심해 왔습니다.
특히 지방대학 병원마다 다른 지역 학생을 선발해 육성해놓고 졸업 후 상당수가 지역 의료기관 대신 수도권 병원을 택하면서 우수 의료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처럼 우수 의료 인재들이 서울 등 수도권 유출이 심화되면서 '의료인력 공동화 현상'까지 불거져 지방대학들이 자구책으로 지역인재 특별전형을 앞다퉈 신설하게 됐습니다.
반면 이같은 특별전형 도입으로 지역 출신들의 합격 비율은 높였지만, 마찬가지로 졸업 후 지역 정착까진 기대이상의 효과를 높이지 못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김원이(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2017~2021년 비수도권 의학계열(의대·치대·한의대 등) 졸업자 중 근무지가 파악된 1만 3.743명 가운데 43.1%(5,923명)가 해당 지역을 떠나 서울·인천·경기 지역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고 지난 5년 간 자신이 졸업한 지역에 취업한 경우는 30.3%(4,171명)로 집계됐습니다.
때문에 수도권 유출 인재를 끌어들이고 지역 간 의료 균형을 유도하기 위해선 입학에서 나아가 면허 취득과 정주까지 포괄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나옵니다.
관련해 일본의 지역 틀 선발제도와 같이 '지역의사제' 도입이나 공공의과대학을 설립해 지역 공공의료기관에서 일정 기간 의무 복무할 의사를 양성하자는 주문이 나오지만 ‘강제 복무’ 성격 탓에 직업 선택권을 침해할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
관련해 대한의사협회는 지역의사제, 공공의대 요구 모두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복지부는 현재 40% 수준인 비수도권 일부 권역의 지역인재 전형 비율을 50%까지 확대한다는 의지를 갖고 있고, 보다 종합적인 대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신현형 의원은 "지역 출신 의대생 선발에 이어 전공의 선발과 수련 과정까지 지역에서 책임지고 담당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의료계와 소통하고 지원해야 한다"면서 "지역 출신 의대생이 의사면허와 전문의 취득 후에 지역에 남아 공헌함으로써 지역의료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보다 정교하게 의사 양성정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 (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역인재특별전형 효과..일부 의무비율 못채워
졸업 후 상당수, 수도권 등지 취업·개업 나서
정착 유인책 시급.. "종합 양성정책 설계 필요"
비수도권 26개 의과대학 합격자 가운데 해당 지역 출신 학생이 절반 이상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26개 지방의대는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이외 지역에 위치한 의과대학을 말합니다. 강원권, 대구·경북권, 부산·울산·경남권, 제주권, 충청권, 호남권 등 6개 권역으로 구분됩니다.
이들 지역 출신 학생 합격자가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면서 의료인력 부족에 시달리는 지역 의료계 활로가 될지 주목되지만, 정작 졸업 후 상당수가 지역보다는 수도권 등지 병원 취업이나 개업에 나서는 것으로 파악돼 유인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오늘(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현영(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학년도 비수도권 26개 의과대학 합격자 2,066명 중 52.4%인 1,082명이 해당 지역 출신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해당 지역 의대가 공고한 지역인재 특별전형 모집인원 963명보다 119명 많은 수준으로 17년째 3,058명으로 동결된 전체 의대 정원의 35.4%에 해당합니다.
지역의대별 지역출신 합격자 비율은 부산대학교 81.6%, 동아대학교 80.4%, 전남대학교 77.2%, 조선대학교 64.1%, 경상국립대학교 63.3% 순으로 높았습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가톨릭관동대학교 의대 등 강원권 2곳은 지역 출신 합격자 비율이 각각 18.6%, 14%로 의무 비율 20%는 못 채웠습니다.
지역 출신 의대 합격자는 집계가 시작된 2018년 721명, 2019년 845명, 2020년 889명, 2021년 856명, 2022년 947명, 2023년 1,082명 등 꾸준한 증가세로 나타났습니다.
2018~2023년 6년간 26개 지역 의대 전체 합격자 1만 1,741명 중 절반 가까운 45.5%인 5,340명이 지역 출신으로 해당 지역 의대에 합격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역 의대에 해당 지역 학생이 많이 들어간건 2015년 제정된 지방대학·지역 균형 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덕이라는 평가입니다
지역인재들의 수도권 이탈을 막고 지역 거주 학생이 지역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로 도입됐는데, 특별 전형 도입 초반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충청, 호남은 전체 합격자의 30%, 강원과 제주는 전체의 15%를 지역 출신으로 선발하도록 권고하는 수준이던 게 2023학년도부터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충청, 호남은 전체 40%, 강원과 제주는 20% 이상을 지역 출신 학생으로 뽑도록 의무화됐습니다.
지역인재 전형으로 지역의대에 가려면 고등학교 입학부터 졸업까지 해당 지역에서 마쳐야 하지만 일부 지역별 달리 운용되기도 합니다. 전북대는 학생의 부모가 전북 지역에 거주해야 하는 조건이 있습니다.
지역인재 특별전형이 시행되기 이전까지만 해도 지방대학들은 인재 유출 대책에 고심해 왔습니다.
특히 지방대학 병원마다 다른 지역 학생을 선발해 육성해놓고 졸업 후 상당수가 지역 의료기관 대신 수도권 병원을 택하면서 우수 의료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처럼 우수 의료 인재들이 서울 등 수도권 유출이 심화되면서 '의료인력 공동화 현상'까지 불거져 지방대학들이 자구책으로 지역인재 특별전형을 앞다퉈 신설하게 됐습니다.
반면 이같은 특별전형 도입으로 지역 출신들의 합격 비율은 높였지만, 마찬가지로 졸업 후 지역 정착까진 기대이상의 효과를 높이지 못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김원이(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2017~2021년 비수도권 의학계열(의대·치대·한의대 등) 졸업자 중 근무지가 파악된 1만 3.743명 가운데 43.1%(5,923명)가 해당 지역을 떠나 서울·인천·경기 지역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고 지난 5년 간 자신이 졸업한 지역에 취업한 경우는 30.3%(4,171명)로 집계됐습니다.
때문에 수도권 유출 인재를 끌어들이고 지역 간 의료 균형을 유도하기 위해선 입학에서 나아가 면허 취득과 정주까지 포괄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나옵니다.
관련해 일본의 지역 틀 선발제도와 같이 '지역의사제' 도입이나 공공의과대학을 설립해 지역 공공의료기관에서 일정 기간 의무 복무할 의사를 양성하자는 주문이 나오지만 ‘강제 복무’ 성격 탓에 직업 선택권을 침해할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
관련해 대한의사협회는 지역의사제, 공공의대 요구 모두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복지부는 현재 40% 수준인 비수도권 일부 권역의 지역인재 전형 비율을 50%까지 확대한다는 의지를 갖고 있고, 보다 종합적인 대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신현형 의원은 "지역 출신 의대생 선발에 이어 전공의 선발과 수련 과정까지 지역에서 책임지고 담당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의료계와 소통하고 지원해야 한다"면서 "지역 출신 의대생이 의사면허와 전문의 취득 후에 지역에 남아 공헌함으로써 지역의료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보다 정교하게 의사 양성정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 (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대출 안 되지, 잔금 없지.. 이사는 무슨”.. 전국 아파트 입주율 ‘뚝’
- ∙ "문 열린 호텔 옆방 몰래" 잠든 女 성추행한 30대.. 동종 전과도
- ∙ 숨 돌리나 했더니 “김장철 앞둔 배추·무 가격, 다시 상승 조짐“.. ‘금추’의 공포 재현되나?
- ∙ "명백한 영토 도발" 일본 섬마을 ‘독도영유권운동 집회’ 열어 비판 자초
- ∙ "비싼 크루즈로 제주도 와서 편의점 식사"
- ∙ 고개 숙인 윤석열 대통령 "제 주변의 일로 국민에 걱정과 염려 드렸다"
- ∙ '2억 지방세 체납자' 가택 수색하자 현금 다발에 귀금속.. "나눠서 낼게요" 늑장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