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카드 400여 명 설문조사
아는 사이 8만 원.. 친하면 17만
3촌 이내, '100만 원 이하' 43%
신혼여행 해외 80%, 국내 20%
우리나라 사람들은 결혼식 축의금으로 얼마를 내는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할까요.
오늘(26일) KB국민카드가 내놓은 고객 패널 4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알고 지내는 사이'에 평균 8만 원을, '친한 사이'에 평균 17만 원을 낸다고 답했습니다.
축의금 세부 금액대를 보면 '알고 지내는 사이'에는 △5만 원 이하 53% △5만 원 초과 10만 원 이하 44% △10만 원 초과 20만 원 이하 2% △20만 원 초과 1% 등으로 조사됐습니다.
'친한 사이'에서는 △5만 원 초과 10만 원 이하 52% △10만 원 초과 20만 원 이하 29% △20만 원 초과 30만 원 이하 13% △5만 원 이하 3% △30만 원 초과 3% 순이었습니다.
촌수를 기준으로는 3촌 이내 결혼식의 경우 축의금으로 △10만 원 이하 5% △20만 원 이하 6% △30만 원 이하 11% △50만 원 이하 27% △100만 원 이하 43% △100만 원 초과 8%로 답변해 평균 90만 원을 냈습니다.
4촌 이상은 △10만 원 이하 32% △20만 원 이하 29% △30만 원 이하 25% △50만 원 이하 11% △100만 원 이하 2% △100만 원 초과 1%로 평균 26만 원을 낸다고 밝혔습니다.
동반 하객 여부와 결혼식장 식대도 축의금 액수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결혼식장에 갈 때 동반자가 있으면 축의금을 더 낸다'는 응답은 76%, '식사비가 비싼 곳이면 축의금을 더 낸다'는 61%로 집계됐습니다.
결혼하는 회원의 가구·가전·음식점 업종에서 발생한 매출금액을 결혼식 당월부터 12개월 전까지의 (13개월 간) 매출금액에서 차지하는 월별 비중 추이로 분석한 결과, 가구·가전 업종 매출은 결혼식 4~5개월 전부터 본격적으로 준비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결혼식을 알리는 인사로 추정되는 음식점 업종 매출은 결혼식 2개월 전부터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월별 음식점 매출 비중은 결혼식 당월이 13%로 가장 높았습니다. 결혼식 1개월 전 10%, 2개월 전 9%로 결혼식과 가까울수록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올해 신혼여행지를 보면 해외가 80%, 국내(제주 포함)가 20%로 꼽혔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는 사이 8만 원.. 친하면 17만
3촌 이내, '100만 원 이하' 43%
신혼여행 해외 80%, 국내 20%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우리나라 사람들은 결혼식 축의금으로 얼마를 내는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할까요.
오늘(26일) KB국민카드가 내놓은 고객 패널 4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알고 지내는 사이'에 평균 8만 원을, '친한 사이'에 평균 17만 원을 낸다고 답했습니다.
축의금 세부 금액대를 보면 '알고 지내는 사이'에는 △5만 원 이하 53% △5만 원 초과 10만 원 이하 44% △10만 원 초과 20만 원 이하 2% △20만 원 초과 1% 등으로 조사됐습니다.
'친한 사이'에서는 △5만 원 초과 10만 원 이하 52% △10만 원 초과 20만 원 이하 29% △20만 원 초과 30만 원 이하 13% △5만 원 이하 3% △30만 원 초과 3% 순이었습니다.
촌수를 기준으로는 3촌 이내 결혼식의 경우 축의금으로 △10만 원 이하 5% △20만 원 이하 6% △30만 원 이하 11% △50만 원 이하 27% △100만 원 이하 43% △100만 원 초과 8%로 답변해 평균 90만 원을 냈습니다.
4촌 이상은 △10만 원 이하 32% △20만 원 이하 29% △30만 원 이하 25% △50만 원 이하 11% △100만 원 이하 2% △100만 원 초과 1%로 평균 26만 원을 낸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동반 하객 여부와 결혼식장 식대도 축의금 액수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결혼식장에 갈 때 동반자가 있으면 축의금을 더 낸다'는 응답은 76%, '식사비가 비싼 곳이면 축의금을 더 낸다'는 61%로 집계됐습니다.
결혼하는 회원의 가구·가전·음식점 업종에서 발생한 매출금액을 결혼식 당월부터 12개월 전까지의 (13개월 간) 매출금액에서 차지하는 월별 비중 추이로 분석한 결과, 가구·가전 업종 매출은 결혼식 4~5개월 전부터 본격적으로 준비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결혼식을 알리는 인사로 추정되는 음식점 업종 매출은 결혼식 2개월 전부터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월별 음식점 매출 비중은 결혼식 당월이 13%로 가장 높았습니다. 결혼식 1개월 전 10%, 2개월 전 9%로 결혼식과 가까울수록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올해 신혼여행지를 보면 해외가 80%, 국내(제주 포함)가 20%로 꼽혔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기내 선반 속 보조배터리, ‘화재 위험’ 막을 수 있을까?”.. 항공사 안전 대책 시작됐지만, 논란 여전
- ∙︎ 제주자치도의회 후원회 설치 도의원 7명뿐
- ∙︎ 그 ‘필리핀 이모’, 혹시 했는데 역시? “전국 확대 난항”.. 서울만 인기, 사업 지속 가능할까?
- ∙︎ [자막뉴스] 월동무 '언 피해' 우려...수확 시기까지 앞당겨
- ∙︎ 제주도민 절반 이상 '나홀로' 혹은 '2인 가구'
- ∙︎ “출산 후 2주에 300만 원”.. 산후조리원, ‘선택 아닌 필수’가 된 이유
- ∙︎ '서부지법 습격' 피의자에 영치금 보낸 김용현 "애국전사 풀려나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