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금리 내려, 대출 더 늘 듯
매달 증가 “4조 원 육박할 수도”
전체 GDP보다 가계대출 많아
국내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이달까지 7개월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빚을 내서라도 집을 사려는 수요가 여전한 모습이라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 폭이 매월 확대되는 실정입니다.
더구나 대출금리가 주춤한 양상을 보이자, 자칫 가계 빚이 더 늘지 않을까 우려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29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27일 기준 689조 4,39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전월 말(686조 119억 원)과 비교해 3조4,271억 원 증가한 수준입니다.
그나마 가계대출 증가 폭은 10월(3조 6,825억 원)과 비교해 6.9%(2,554억 원) 감소했습니다. 가계대출 증가 폭이 축소된 건 신용대출이 크게 줄어든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 5대 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27일 기준 107조 9,198억 원으로 10월 말(107조 9,424억 원)보다 226억 원 줄었습니다. 은행 신용대출 금리가 7% 선에 다다르자 빚투(빚내서 투자) 수요가 줄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또 전세자금대출도 같은 기간 121조 7,043억 원에서 121조 3,765억 원으로 3,278억 원 줄었습니다.
반면 주담대 증가세가 이달도 지속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5대 은행 주담대 잔액은 10월 말 521조 2,264억 원에서 지난 27일 524조 9,138억 원으로 3조 6,874억 원 늘었습니다.
올 들어 월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던 지난달(3조 3,676억 원)을 웃도는 수준으로, 11월 말까지 3영업일이 남았는데 이같은 흐름이 이어지면 5대 은행 주담대 증가폭은 4조 원을 웃돌 가능성이 큽니다.
5대 은행에서 주담대가 한 달 4조 원 넘게 증가한 적은 2021년 9월 4조 27억 원이 마지막으로, 이후 진정세를 보이다 올 5월부터 주담대가 다시 늘었습니다. 5월 6,935억 원, 6월 1조 7,245억 원, 7월 1조 4,868억 원, 8월 2조 1,122억 원, 9월 2조 8,591억 원, 10월 3조 3,676억 원 등으로 매월 증가 폭이 빠르게 확대되는 모습입니다.
특히나 금융당국이 특례보금자리론 대상을 제한하고 은행들이 50년 주담대 판매를 사실상 종료하는 등 가계대출 관리에 고삐를 죄고 나섰지만, 주담대는 계속 불어나고 있다는데 있습니다.
또 이달 들어 대출 금리가 내림세로 접어들면서 자칫 증가세가 가팔라질 것이란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2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시중 예금은행의 10월 주담대 평균 금리(가중 평균·신규 취급액 기준)가 4.56%로 전달(4.35%) 대비 0.21% 포인트(p) 올랐습니다. 주담대 금리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기준금리 인상과 이에 따른 채권금리 상승에 따라 지난 6월(+0.05%p)부터 10월까지 5개월 연속 상승했습니다.
더구나 같은 기간 가계부채는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한은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5월부터 매달 5조 원 안팎 늘었습니다. 6월 가계대출 잔액이 1,062조 원으로 1,000조 원을 넘어서면서 통계 작성 이래 최대를 기록한데 이어 7월부터 10월까지 매달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우는 실정입니다.
금융당국이 일부 대출 규제 강화에 나섰지만 가계대출 증가세가 꺾일 기미를 보이지 않는 실정입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담대 잔액은 지난 24일 기준 524조 6,207억 원으로 지난달 말(521조 2,264억 원) 대비 3조 3,943억원 늘었습니다. 이는 지난달 3조 3,676억 원을 웃돌면서 올들어 가장 큰 폭 증가세를 기록했습니다.
더구나 이달 들어 주담대 금리가 하락세로, 고정금리 하단이 3%대까지 떨어져 주담대 수요가 다시 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내 가계대출 수준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우려할 만한 양상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국제금융협회(IIF) 가계부채 보고서에 따르면 올 3분기(7~9월) 우리나라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0.2%로 조사 대상국(34개 국) 가운데 유일하게 GDP 규모보다 가계부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집계한 주요 43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통계에서도 지난 1분기 말 기준 한국(101.5%)은 스위스(128%)와 호주(110.6%), 캐나다(101.9%)에 이은 4위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현재 가계부채가 당장 금융권의 부실을 야기할 정도가 아니라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가계 소비를 위축시키고 경제 활력을 떨어뜨릴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는 모습입니다.
관련해 한국금융연구원과 한국개발연구원 등에선 고금리에 따른 이자 부담으로 가계 소비 여력이 제약을 받아 내년 민간소비 증가율이 올해보다 0.1%p 낮아질 것이란 전망도 내놓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가계부채가 계속 쌓이면 소비 여력이 줄고 추세적으로 경제성장률을 떨어뜨릴 수 밖에 없다”면서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높은 2금융권 중 취약한 곳들은 부채 증가와 고금리에 따른 부실 위기를 겪을 가능성이 큰 만큼, 관리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달 증가 “4조 원 육박할 수도”
전체 GDP보다 가계대출 많아
국내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이달까지 7개월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빚을 내서라도 집을 사려는 수요가 여전한 모습이라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 폭이 매월 확대되는 실정입니다.
더구나 대출금리가 주춤한 양상을 보이자, 자칫 가계 빚이 더 늘지 않을까 우려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29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27일 기준 689조 4,39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전월 말(686조 119억 원)과 비교해 3조4,271억 원 증가한 수준입니다.
그나마 가계대출 증가 폭은 10월(3조 6,825억 원)과 비교해 6.9%(2,554억 원) 감소했습니다. 가계대출 증가 폭이 축소된 건 신용대출이 크게 줄어든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 5대 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27일 기준 107조 9,198억 원으로 10월 말(107조 9,424억 원)보다 226억 원 줄었습니다. 은행 신용대출 금리가 7% 선에 다다르자 빚투(빚내서 투자) 수요가 줄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또 전세자금대출도 같은 기간 121조 7,043억 원에서 121조 3,765억 원으로 3,278억 원 줄었습니다.
반면 주담대 증가세가 이달도 지속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5대 은행 주담대 잔액은 10월 말 521조 2,264억 원에서 지난 27일 524조 9,138억 원으로 3조 6,874억 원 늘었습니다.
올 들어 월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던 지난달(3조 3,676억 원)을 웃도는 수준으로, 11월 말까지 3영업일이 남았는데 이같은 흐름이 이어지면 5대 은행 주담대 증가폭은 4조 원을 웃돌 가능성이 큽니다.
5대 은행에서 주담대가 한 달 4조 원 넘게 증가한 적은 2021년 9월 4조 27억 원이 마지막으로, 이후 진정세를 보이다 올 5월부터 주담대가 다시 늘었습니다. 5월 6,935억 원, 6월 1조 7,245억 원, 7월 1조 4,868억 원, 8월 2조 1,122억 원, 9월 2조 8,591억 원, 10월 3조 3,676억 원 등으로 매월 증가 폭이 빠르게 확대되는 모습입니다.
특히나 금융당국이 특례보금자리론 대상을 제한하고 은행들이 50년 주담대 판매를 사실상 종료하는 등 가계대출 관리에 고삐를 죄고 나섰지만, 주담대는 계속 불어나고 있다는데 있습니다.
또 이달 들어 대출 금리가 내림세로 접어들면서 자칫 증가세가 가팔라질 것이란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2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시중 예금은행의 10월 주담대 평균 금리(가중 평균·신규 취급액 기준)가 4.56%로 전달(4.35%) 대비 0.21% 포인트(p) 올랐습니다. 주담대 금리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기준금리 인상과 이에 따른 채권금리 상승에 따라 지난 6월(+0.05%p)부터 10월까지 5개월 연속 상승했습니다.
더구나 같은 기간 가계부채는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한은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5월부터 매달 5조 원 안팎 늘었습니다. 6월 가계대출 잔액이 1,062조 원으로 1,000조 원을 넘어서면서 통계 작성 이래 최대를 기록한데 이어 7월부터 10월까지 매달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우는 실정입니다.
금융당국이 일부 대출 규제 강화에 나섰지만 가계대출 증가세가 꺾일 기미를 보이지 않는 실정입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담대 잔액은 지난 24일 기준 524조 6,207억 원으로 지난달 말(521조 2,264억 원) 대비 3조 3,943억원 늘었습니다. 이는 지난달 3조 3,676억 원을 웃돌면서 올들어 가장 큰 폭 증가세를 기록했습니다.
더구나 이달 들어 주담대 금리가 하락세로, 고정금리 하단이 3%대까지 떨어져 주담대 수요가 다시 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내 가계대출 수준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우려할 만한 양상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국제금융협회(IIF) 가계부채 보고서에 따르면 올 3분기(7~9월) 우리나라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0.2%로 조사 대상국(34개 국) 가운데 유일하게 GDP 규모보다 가계부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집계한 주요 43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통계에서도 지난 1분기 말 기준 한국(101.5%)은 스위스(128%)와 호주(110.6%), 캐나다(101.9%)에 이은 4위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현재 가계부채가 당장 금융권의 부실을 야기할 정도가 아니라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가계 소비를 위축시키고 경제 활력을 떨어뜨릴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는 모습입니다.
관련해 한국금융연구원과 한국개발연구원 등에선 고금리에 따른 이자 부담으로 가계 소비 여력이 제약을 받아 내년 민간소비 증가율이 올해보다 0.1%p 낮아질 것이란 전망도 내놓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가계부채가 계속 쌓이면 소비 여력이 줄고 추세적으로 경제성장률을 떨어뜨릴 수 밖에 없다”면서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높은 2금융권 중 취약한 곳들은 부채 증가와 고금리에 따른 부실 위기를 겪을 가능성이 큰 만큼, 관리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