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득, 비은퇴 가구 대비 45% 그쳐
3명 중 2명 “은퇴 후 자녀부양 존재”
자녀 결혼 비롯 교육비 등 부담 가중
국민연금 의존↑.. “공적 연금 한계”
50대 은퇴가구의 월 평균 소득이 258만 원에 불과했습니다. 은퇴를 하지 않은 가구 소득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도 안됐는데, 자녀 부양 등 뒤늦게 밀어 닥치는 비용 파고가 만만치 않았습니다. 가뜩이나 저출산, 고령화 시대 속에서 점점 늦어지는 자녀시대 결혼이며 온갖 비용을 감당한다는 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는 지적까지 나옵니다.
결혼이나 출산이 늦어지면서 ‘4050’세대 10명 중 7명(66.6%)이 은퇴 후 자녀부양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4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4050세대가 예상하는 은퇴 후 자녀 1인당 교육비는 평균 7,749만원, 결혼에 드는 비용이 1억 444만원에 달했습니다. 은퇴 시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퇴직급여(평균 1억 699만 원)만으로는 현실적으로 충당이 어려운 규모입니다.
은퇴 후 소득은 은퇴 이전 절반 이하에도 못미쳤습니다. 50대 이상 은퇴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3,105만원(월 평균 258만 원)으로 같은 연령인 비은퇴가구 소득(연 6,961만원, 월 평균 580만 원)의 45% 수준에 그쳤습니다. 보험개발원이 전국 30~75살 1,300명 가구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입니다.
더구나 은퇴 후 자녀 1인당 교육비(평균 7,749만 원)와 결혼 비용(1억 444만 원)은 3년 전 예상 자녀 교육비(6,989만원), 결혼비(1억 194만원)보다 각각 760만 원, 505만 원 상승한 수준으로 평균 1억 699만 원으로 추산되는 퇴직급여 수준으로는 현실적으로 충당이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두 비용을 합쳐 1억 8,000만 원이 넘는데 말이 결혼, 교육 비용이지 각종 예상경비와 준비까지 자잘한 부대 비용들까지 합친다면 2억은 훌쩍 넘길 것으로 보입니다.
더구나 이는 자녀가 1명일 때 비용이라, 자녀가 더 있다면 2배, 3배 더 들어갈 수 밖에 없어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반면 은퇴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3,105만 원으로, 같은 연령대의 비은퇴가구 연소득(6,961만 원)의 45% 수준에 그쳤습니다.
이처럼 은퇴 후에 소득이 급감하는 구조라, 고령자일 수록 허리띠를 졸라맬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0살 이상 전체 고령가구 평균 소비액은 연 2,720만 원(월 227만 원)으로 연령이 오를 수록 소비액도 줄었습니다.
다만 소비지출 항목은 의료비(60대 9.3%→80살 이상 19%)와 주거비(60대 13.3%→80살 이상 19.2%) 비중이 나이가 들수록 커졌습니다. 1인당 민간의료비 지출은 1,329달러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966달러)의 1.38배 수준에 달했습니다.
반면 부족한 노후소득을 보전할 대책은 미비하기만 합니다.
더구나 4050세대가 생각하는 노후준비 1순위는 ‘국민연금’(69%)이지만 현행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월평균 소득 대비 월 연금 수령액)이라야 국민연금에 40년 가입했을 때 40%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월평균 소득 대비 연금액 수준)을 40% 수준으로 끌어 올리려면 40년 간 꾸준히 보험료를 납입해야 하지만, 실제 가입 기간을 고려하면 소득대체율은 22% 정도 수준에 그치는 실정이라, 은퇴 전 월급이 400만 원이었다면 연금은 88만 원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결국 은퇴 전 월급이 100만 원이었다면 연금은 22만 원 수준이라는 얘기입니다.
2021년 기준 총 연금(국민연금+퇴직연금)의 소득대체율 역시 31.2%로 OECD 평균(57.6%)에 훨씬 못 미칩니다.
하지만 4050세대의 노후준비 방법 1순위는 공적연금(69%)이고, 사적연금을 활용하고 있다는 응답은 8%에 그쳤습니다.
실제 생애주기별로 봤을 때 소득 수준이 높은 4050세대에서 ‘노후준비를 약간이라도 했다’고 답한 사람은 10명 중 3명꼴에 불과했습니다.
2021년 기준 총 연금(국민연금+퇴직연금)의 소득대체율 역시 31.2%로 OECD 평균(57.6%)에 훨씬 못 미쳤습니다.
4050세대의 자산은 대부분 부동산으로 이들 세대의 자산의 76%가 주택 등 실물자산인데 이 가운데 93%가 부동산, 금융자산은 23%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60살 이상 고령자 대부분은 앞으로 자녀와 따로 살기를 희망했습니다. 60대는 80.7%가 자녀와 따로 살기를 바랬는데 70대는 77.2%, 80대는 65.4%로 나타났습니다.
보험개발원은 “공적연금만으로는 노후준비가 충분하지 못한 만큼 연금저축ㆍ저축성 보험 등 다양한 노후 소득원천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는 개인연금 세제혜택 강화를 검토하는 등 가입유인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올해 연금저축의 세액공제 한도가 40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확대됐고 세액공제율은 연봉 5,500만 원 초과일 경우 13.2%, 이하일 경우 16.5%입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3명 중 2명 “은퇴 후 자녀부양 존재”
자녀 결혼 비롯 교육비 등 부담 가중
국민연금 의존↑.. “공적 연금 한계”
50대 은퇴가구의 월 평균 소득이 258만 원에 불과했습니다. 은퇴를 하지 않은 가구 소득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도 안됐는데, 자녀 부양 등 뒤늦게 밀어 닥치는 비용 파고가 만만치 않았습니다. 가뜩이나 저출산, 고령화 시대 속에서 점점 늦어지는 자녀시대 결혼이며 온갖 비용을 감당한다는 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는 지적까지 나옵니다.
결혼이나 출산이 늦어지면서 ‘4050’세대 10명 중 7명(66.6%)이 은퇴 후 자녀부양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4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4050세대가 예상하는 은퇴 후 자녀 1인당 교육비는 평균 7,749만원, 결혼에 드는 비용이 1억 444만원에 달했습니다. 은퇴 시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퇴직급여(평균 1억 699만 원)만으로는 현실적으로 충당이 어려운 규모입니다.
은퇴 후 소득은 은퇴 이전 절반 이하에도 못미쳤습니다. 50대 이상 은퇴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3,105만원(월 평균 258만 원)으로 같은 연령인 비은퇴가구 소득(연 6,961만원, 월 평균 580만 원)의 45% 수준에 그쳤습니다. 보험개발원이 전국 30~75살 1,300명 가구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입니다.
더구나 은퇴 후 자녀 1인당 교육비(평균 7,749만 원)와 결혼 비용(1억 444만 원)은 3년 전 예상 자녀 교육비(6,989만원), 결혼비(1억 194만원)보다 각각 760만 원, 505만 원 상승한 수준으로 평균 1억 699만 원으로 추산되는 퇴직급여 수준으로는 현실적으로 충당이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두 비용을 합쳐 1억 8,000만 원이 넘는데 말이 결혼, 교육 비용이지 각종 예상경비와 준비까지 자잘한 부대 비용들까지 합친다면 2억은 훌쩍 넘길 것으로 보입니다.
더구나 이는 자녀가 1명일 때 비용이라, 자녀가 더 있다면 2배, 3배 더 들어갈 수 밖에 없어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반면 은퇴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3,105만 원으로, 같은 연령대의 비은퇴가구 연소득(6,961만 원)의 45% 수준에 그쳤습니다.
이처럼 은퇴 후에 소득이 급감하는 구조라, 고령자일 수록 허리띠를 졸라맬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0살 이상 전체 고령가구 평균 소비액은 연 2,720만 원(월 227만 원)으로 연령이 오를 수록 소비액도 줄었습니다.
다만 소비지출 항목은 의료비(60대 9.3%→80살 이상 19%)와 주거비(60대 13.3%→80살 이상 19.2%) 비중이 나이가 들수록 커졌습니다. 1인당 민간의료비 지출은 1,329달러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966달러)의 1.38배 수준에 달했습니다.
반면 부족한 노후소득을 보전할 대책은 미비하기만 합니다.
더구나 4050세대가 생각하는 노후준비 1순위는 ‘국민연금’(69%)이지만 현행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월평균 소득 대비 월 연금 수령액)이라야 국민연금에 40년 가입했을 때 40%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월평균 소득 대비 연금액 수준)을 40% 수준으로 끌어 올리려면 40년 간 꾸준히 보험료를 납입해야 하지만, 실제 가입 기간을 고려하면 소득대체율은 22% 정도 수준에 그치는 실정이라, 은퇴 전 월급이 400만 원이었다면 연금은 88만 원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결국 은퇴 전 월급이 100만 원이었다면 연금은 22만 원 수준이라는 얘기입니다.
2021년 기준 총 연금(국민연금+퇴직연금)의 소득대체율 역시 31.2%로 OECD 평균(57.6%)에 훨씬 못 미칩니다.
하지만 4050세대의 노후준비 방법 1순위는 공적연금(69%)이고, 사적연금을 활용하고 있다는 응답은 8%에 그쳤습니다.
실제 생애주기별로 봤을 때 소득 수준이 높은 4050세대에서 ‘노후준비를 약간이라도 했다’고 답한 사람은 10명 중 3명꼴에 불과했습니다.
2021년 기준 총 연금(국민연금+퇴직연금)의 소득대체율 역시 31.2%로 OECD 평균(57.6%)에 훨씬 못 미쳤습니다.
4050세대의 자산은 대부분 부동산으로 이들 세대의 자산의 76%가 주택 등 실물자산인데 이 가운데 93%가 부동산, 금융자산은 23%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60살 이상 고령자 대부분은 앞으로 자녀와 따로 살기를 희망했습니다. 60대는 80.7%가 자녀와 따로 살기를 바랬는데 70대는 77.2%, 80대는 65.4%로 나타났습니다.
보험개발원은 “공적연금만으로는 노후준비가 충분하지 못한 만큼 연금저축ㆍ저축성 보험 등 다양한 노후 소득원천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는 개인연금 세제혜택 강화를 검토하는 등 가입유인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올해 연금저축의 세액공제 한도가 40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확대됐고 세액공제율은 연봉 5,500만 원 초과일 경우 13.2%, 이하일 경우 16.5%입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대출 안 되지, 잔금 없지.. 이사는 무슨”.. 전국 아파트 입주율 ‘뚝’
- ∙ 숨 돌리나 했더니 “김장철 앞둔 배추·무 가격, 다시 상승 조짐“.. ‘금추’의 공포 재현되나?
- ∙ "명백한 영토 도발" 일본 섬마을 ‘독도영유권운동 집회’ 열어 비판 자초
- ∙ '2억 지방세 체납자' 가택 수색하자 현금 다발에 귀금속.. "나눠서 낼게요" 늑장도
- ∙ "수혈한 피만 32ℓ" 출산 후 대량 출혈 산모.. 극적 건강 회복
- ∙ 휘발유 “곧 1,700원대”.. 유류세 축소·국제 유가 급등, 서민 부담만 ‘이중고’
- ∙ 떡 먹다 목에 걸려 '컥'.. 길거리서 쓰러진 시민 구한 군의관 [삶맛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