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무자녀 신혼, 2015년 18%
지난해 30%.. “2배 정도 늘어”
소득 높을 수록.. 자녀 수도 적어
외벌이 유자녀 비중.. 점점 감소
지난해, 함께 벌면서 자녀가 없는 ‘딩크족’(DINK. Double Income, No Kids. 맞벌이 무자녀 기혼 부부)인 초혼 부부가 10쌍 중 3쌍 꼴로, 다른 부부 유형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년 전 10쌍 중 2쌍이 안됐던게, 더 늘었습니다. 소득이 높을 수록, 갖는 자녀 수는 더 적어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늘(18일) 통계청의 ‘2022년 신혼부부 통계 결과’, 지난해 혼인 신고를 한 지 5년이 되지 않은 초혼 신혼부부 81만 5,357쌍 가운데 둘이 벌면서 자녀를 갖지 않는 부부가 23만 4,066쌍(28.7%)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앞서 7년전인 2015년에는 초혼 신혼부부 중 이같은 ‘딩크족’이 21만 2,733쌍으로 18.0%를 차지했던게 2018년 21.7%, 2020년 25.8% 등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다, 지난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조사에서 맞벌이·유자녀 부부는 23만 2,459쌍으로 28.5%, 외벌이·유자녀 부부(18만 5,155쌍·22.7%), 외벌이·무자녀 부부(12만 6,531쌍·15.5%)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2015년 가장 흔한 신혼부부 유형이던 혼자 벌어 애를 키우는 외벌이·유자녀 부부 비중은 2018년 30.0%, 2020년 26.2% 등으로 꾸준히 줄었습니다.
반면 ‘딩크족’ 비중은 2021년 27.7%로 외벌이·유자녀 비중(24.3%)을 처음 역전했습니다.
이를 두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늘어, 자녀를 낳지 않아도 괜찮다는 인식이 확산된 결과라는 시각도 제기됩니다.
통계청의 ‘한국의 사회동향 2023’ 보고서에 따르면 20∼30대에서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2015년 27.7%에서 2020년 44.1%로 16.4%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맞벌이로 소득은 높지만 자녀를 갖지 않은 부부가 늘어, 초혼 신혼부부 역시도 소득이 높을 수록 평균 자녀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소득 구간별 평균 자녀 수는 연 소득이 1,000만 원 미만일 때 자녀 수는 0.77명,, 1,000만∼3,000만 원 미만은 0.71명, 3,000만∼5,000만원 미만은 0.72명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5,000만 원∼7,000만 원 미만은 0.66명, 7,000만∼1억 원 미만은 0.55명, 1억 원 이상은 0.57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맞벌이 부부 평균 소득은 8,433만 원으로 외벌이(4,994만 원) 1.7배로 나타났습니다.
자녀를 가진다 해도, 출산 시기는 점점 늦춰져 결혼생활 기간별로 5년치 이상일 때 첫째를 낳는 경우가 2012년 5.3%에서 지난해 11.5%로 2배 늘었습니다. 이는 결혼생활이 5년 미만인 신혼 때 자녀를 갖지 않은 경우가 늘어난다는 뜻으로도 해석됩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해 30%.. “2배 정도 늘어”
소득 높을 수록.. 자녀 수도 적어
외벌이 유자녀 비중.. 점점 감소
지난해, 함께 벌면서 자녀가 없는 ‘딩크족’(DINK. Double Income, No Kids. 맞벌이 무자녀 기혼 부부)인 초혼 부부가 10쌍 중 3쌍 꼴로, 다른 부부 유형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년 전 10쌍 중 2쌍이 안됐던게, 더 늘었습니다. 소득이 높을 수록, 갖는 자녀 수는 더 적어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늘(18일) 통계청의 ‘2022년 신혼부부 통계 결과’, 지난해 혼인 신고를 한 지 5년이 되지 않은 초혼 신혼부부 81만 5,357쌍 가운데 둘이 벌면서 자녀를 갖지 않는 부부가 23만 4,066쌍(28.7%)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앞서 7년전인 2015년에는 초혼 신혼부부 중 이같은 ‘딩크족’이 21만 2,733쌍으로 18.0%를 차지했던게 2018년 21.7%, 2020년 25.8% 등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다, 지난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조사에서 맞벌이·유자녀 부부는 23만 2,459쌍으로 28.5%, 외벌이·유자녀 부부(18만 5,155쌍·22.7%), 외벌이·무자녀 부부(12만 6,531쌍·15.5%)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2015년 가장 흔한 신혼부부 유형이던 혼자 벌어 애를 키우는 외벌이·유자녀 부부 비중은 2018년 30.0%, 2020년 26.2% 등으로 꾸준히 줄었습니다.
반면 ‘딩크족’ 비중은 2021년 27.7%로 외벌이·유자녀 비중(24.3%)을 처음 역전했습니다.
이를 두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늘어, 자녀를 낳지 않아도 괜찮다는 인식이 확산된 결과라는 시각도 제기됩니다.
통계청의 ‘한국의 사회동향 2023’ 보고서에 따르면 20∼30대에서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2015년 27.7%에서 2020년 44.1%로 16.4%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맞벌이로 소득은 높지만 자녀를 갖지 않은 부부가 늘어, 초혼 신혼부부 역시도 소득이 높을 수록 평균 자녀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소득 구간별 평균 자녀 수는 연 소득이 1,000만 원 미만일 때 자녀 수는 0.77명,, 1,000만∼3,000만 원 미만은 0.71명, 3,000만∼5,000만원 미만은 0.72명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5,000만 원∼7,000만 원 미만은 0.66명, 7,000만∼1억 원 미만은 0.55명, 1억 원 이상은 0.57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맞벌이 부부 평균 소득은 8,433만 원으로 외벌이(4,994만 원) 1.7배로 나타났습니다.
자녀를 가진다 해도, 출산 시기는 점점 늦춰져 결혼생활 기간별로 5년치 이상일 때 첫째를 낳는 경우가 2012년 5.3%에서 지난해 11.5%로 2배 늘었습니다. 이는 결혼생활이 5년 미만인 신혼 때 자녀를 갖지 않은 경우가 늘어난다는 뜻으로도 해석됩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모터보트서 작업하던 60대 선장 실종
- ∙︎ [자막뉴스] '수능 끝' 홀가분한 발걸음.. "지난해보다 쉬워"
- ∙︎ “제주의 유니크베뉴, 웰니스와 만나”.. 기업을 위한 ‘비움’ 그리고 ‘재충전’의 특별한 초대, 어디에서 만날 수 있을까
- ∙︎ "고향 앞으로 전진" 멸종위기 애기뿔소똥구리 100형제 방사
- ∙︎ [2025 수능] "중간 중간 어려운 문제가 꽤" 시험 끝난 수험생들 '홀가분 반 아쉬움 반'
- ∙︎ “중국 무비자 특수 잡는다”.. 복합리조트 매출 1,400억 육박, 투숙객 '열 명 중 일곱' 외국인 “더 늘어”
- ∙︎ [2025수능] 시험 조금 뒤 마무리.. 1교시 결시율 8.9%
- ∙ “대출 안 되지, 잔금 없지.. 이사는 무슨”.. 전국 아파트 입주율 ‘뚝’
- ∙ 숨 돌리나 했더니 “김장철 앞둔 배추·무 가격, 다시 상승 조짐“.. ‘금추’의 공포 재현되나?
- ∙ "명백한 영토 도발" 일본 섬마을 ‘독도영유권운동 집회’ 열어 비판 자초
- ∙ '2억 지방세 체납자' 가택 수색하자 현금 다발에 귀금속.. "나눠서 낼게요" 늑장도
- ∙ "수혈한 피만 32ℓ" 출산 후 대량 출혈 산모.. 극적 건강 회복
- ∙ 휘발유 “곧 1,700원대”.. 유류세 축소·국제 유가 급등, 서민 부담만 ‘이중고’
- ∙ 떡 먹다 목에 걸려 '컥'.. 길거리서 쓰러진 시민 구한 군의관 [삶맛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