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학진흥원, 세종 문신 정종소 시권 공개
"1447년 때 작성된 답안지 온전한 형태 보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공무원 답안지’가 공개됐습니다.
얼마나 오래됐냐하면 15세기 조선시대로 거슬러갑니다.
특히 조선시대 때 작성된 이 답안지 원본이 온전한 형태로 발견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조선 세종대인 1447년(세종 29)의 문과중시의 시권(답안지)의 원본 2건을 온전한 형태로 발견했다고 어제(18일) 밝혔습니다.
문과중시는 조선 시대에 10년마다 현재의 공무원을 뜻하는 문신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과거시험으로, 임금이 참관했었다고 합니다.
이 답안지의 주인공은 문과중시에 응시해 급제한 문신 정종소(鄭從韶)의 것입니다. 당시 동기생은 성삼문, 신숙주, 박팽년, 정창손 등 당대 명망 있는 인사들입니다.
정종소는 다섯 명의 형제가 있었는데 이 중 세 명이나 문과에 급제할 정도로 당대에 큰 명성을 얻은 집안이었습니다.
정종소의 현손은 호수 정세아(鄭世雅)로 임진왜란 당시 큰 공을 세운 의병입니다. 이번에 곤개된 시권이 바로 정세아의 집안인 경북 영천 영일정씨 호수종택이 기탁한 자료입니다.
임진왜란 이전의 문과 시권은 현재까지 그 사례가 12건밖에 확인되지 않을 정도로 희소성이 높은 자료라는 게 한국국학진흥원 설명입니다.
그동안 알려진 가장 이른 시기의 문과 시권은 보물로 지정된 중종 때인 1507년 충재 권벌(1478~1548)이 작성한 문과 전시(殿試, 고려와 조선시대 과거에서 왕이 시행하던 최종시험) 시권입니다.
이번에 발견한 시권은 이보다 60년 앞선 것으로, 시권 원본을 온전한 형태로 발견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습니다.
해당 자료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성호 교수가 한국국학진흥원 자료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발견했습니다.
그가 내용을 치밀하게 분석해 한국국학진흥원 등재학술지 ‘국학연구’ 52집에 수록했습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62만여 점에 이르는 민간기록유산을 보유한 기관입니다. 한국국학진흥원 관계자는 “소장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RFID(반도체칩 내장 데이터 인식시스템)를 도입했고 이 과정에 가치 있는 자료가 추가로 발굴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정용기 (brave@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447년 때 작성된 답안지 온전한 형태 보존"
한국국학진흥원이 공개한 세종 문과중시 정종소 시권 (사진, 한국국학진흥원)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공무원 답안지’가 공개됐습니다.
얼마나 오래됐냐하면 15세기 조선시대로 거슬러갑니다.
특히 조선시대 때 작성된 이 답안지 원본이 온전한 형태로 발견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조선 세종대인 1447년(세종 29)의 문과중시의 시권(답안지)의 원본 2건을 온전한 형태로 발견했다고 어제(18일) 밝혔습니다.
문과중시는 조선 시대에 10년마다 현재의 공무원을 뜻하는 문신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과거시험으로, 임금이 참관했었다고 합니다.
이 답안지의 주인공은 문과중시에 응시해 급제한 문신 정종소(鄭從韶)의 것입니다. 당시 동기생은 성삼문, 신숙주, 박팽년, 정창손 등 당대 명망 있는 인사들입니다.
정종소는 다섯 명의 형제가 있었는데 이 중 세 명이나 문과에 급제할 정도로 당대에 큰 명성을 얻은 집안이었습니다.
정종소의 현손은 호수 정세아(鄭世雅)로 임진왜란 당시 큰 공을 세운 의병입니다. 이번에 곤개된 시권이 바로 정세아의 집안인 경북 영천 영일정씨 호수종택이 기탁한 자료입니다.
임진왜란 이전의 문과 시권은 현재까지 그 사례가 12건밖에 확인되지 않을 정도로 희소성이 높은 자료라는 게 한국국학진흥원 설명입니다.
그동안 알려진 가장 이른 시기의 문과 시권은 보물로 지정된 중종 때인 1507년 충재 권벌(1478~1548)이 작성한 문과 전시(殿試, 고려와 조선시대 과거에서 왕이 시행하던 최종시험) 시권입니다.
이번에 발견한 시권은 이보다 60년 앞선 것으로, 시권 원본을 온전한 형태로 발견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습니다.
해당 자료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성호 교수가 한국국학진흥원 자료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발견했습니다.
그가 내용을 치밀하게 분석해 한국국학진흥원 등재학술지 ‘국학연구’ 52집에 수록했습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62만여 점에 이르는 민간기록유산을 보유한 기관입니다. 한국국학진흥원 관계자는 “소장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RFID(반도체칩 내장 데이터 인식시스템)를 도입했고 이 과정에 가치 있는 자료가 추가로 발굴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정용기 (brave@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