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를 움직이는 동력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인구지형이 급변하며 제주가 쪼그라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노년층은 늘고 청년들의 혼인, 출산이 급격히 줄고 있습니다. 곳곳에서 경험해 본 적 없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인구소멸 위기의 그림자가 짙어진 제주의 현실을 조명합니다.]
2017년 제주의 합계 출산율은 초저출생 수준인 1.3명. 제주는 초저출생 수준으로 한 번 내려가면 회복이 불가능하다는 가설인 ‘저출생 함정’에 갇혔습니다. 2021년부터는 출산율 0명대를 기록해 가임기 여성이 평균 단 한 명의 아이를 낳지 않는 지역이 됐습니다.
“사정이 여의치 않으니까 딩크(의도적으로 아이를 갖지 않는 경우)로 살려고” “결혼 연령이 늦어지니까 출산 건강이 걱정되니까 자연스럽게 출산을 하지 않게 되는...” 등 출산을 하지 않겠단 부부들의 단념과 체념이 나온 지 오래입니다.
생명이 태어나지 않는 국가. 아기를 낳지 않는 사회. 지난해 3분기 합계 출산율 0.7명이라는 지표가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이미 사회 곳곳에서 저출산 여파로 구멍 난 곳이 여기저기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 아기 울음소리 사라진지 오래
“저출산 문제가 있다는 걸 저희는 직접적으로 체감을 하게 되죠.”
아기울음이 처음 나오는 곳, 병원에서부터 저출산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지난 1일 ‘별별이(태명)’ 출산을 도운 제주시 한 산부인과 역시 마찬가집니다. 이 산부인과 관계자는 “출산이 줄어드는 게 체감이 된다. 분만이 하향곡선을 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습니다.
2007년 6,178명이었던 제주의 출생아 수는 앞자리가 반토막 나 2022년에 3,600명을 기록했습니다. 41% 급감한 수치입니다. 다둥이 가정도 없어지고 있습니다. 2022년 첫째 아이 출생 감소율은 30% 수준입니다. 둘째, 셋째는 각각 35.6%, 51.9% 줄어 더 심각합니다.
지난해 3분기 합계 출산율은 0.7명으로 1년 전보다 0.1명 줄었습니다. 2009년 이후 3분기 기준 최저치입니다. 제주 합계 출산율은 2017년 저출생 함정 가설의 기준인 1.3명을 기록한 후 2018년 1.2명, 2019년 1.1명, 2021년부터는 0.9명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뉴욕타임스 “한국은 사라지나?”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마저 “한국은 소멸하나(Is south korea disappearing?)”란 칼럼으로 심각한 저출산 문제를 조명했습니다.
칼럼에서 한국은 가파른 인구 절벽 문제로 경제적 쇠퇴를 겪고 서유럽 등에서 사회 불안정 요소로 꼽히는 이민자를 대거 수용하는 것을 두고 선택의 고민에 빠질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내놓았습니다.
분만 취약지로 분류된 서귀포시를 볼까요. 서귀포의료원은 2014년 정부 지원을 받아 분만 사업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에 힘입어 2015년 6.75%였던 관내 분만율은 지속 상승했고, 2018년 30%, 2019년 36%, 2021년에는 43%까지 올랐습니다.
이 수치는 서귀포시에 사는 엄마 10명 중 4명의 아기 분만을 서귀포의료원이 담당하고 있다는 나름 의미 있는 수치입니다. 그런데 저출산 문제가 맞물리면서 서귀포시 등록 출생아 수도 덩달아 줄었고, 이 관내 분만율이 함께 떨어지고 있습니다.
40%를 훌쩍 넘었던 관내 분만율. 이제 30%대 진입을 앞둔 ‘암울한’ 상황입니다.
저출산 여파 때문인지 산부인과 수마저 줄고 있습니다. 2019년 23곳이었던 산부인과는 지난해 3분기 21곳으로 2곳 감소했습니다. 이런 흐름이 지속된다면 산부인과는 요양병원으로 간판을 바꾸고 어린이집, 유치원은 점차 사라질지도 모릅니다.
■ 어쩌다 이 지경이 됐나
전문가들은 이상적인 자녀, 가족의 규모, 삶에 대한 인식 변화 등 사회학적인 요소부터 꼽습니다. 내가 100세까지도 살 수 있는 시대에 아이를 꼭 가져야 하는지부터 혼자서도 행복, 가치있게 살 수 있다는 사회적 인식이 자리하게 됐다는 겁니다.
경제학적인 부문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경제적 양육 부담입니다. 안정적인 고용과 주거, 삶의 질이 보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경제적인 부담이 필요한 양육을 배제시키는 겁니다. 이런 요인들이 겹쳐 둘째, 셋째는 고사하고 자녀를 아예 갖지 않는 사회가 되가고 있습니다.
고지영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제주를 비롯해 우리나라는 정부의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개입 없이는 출산율 회복이 불가능해졌다”고 상황을 진단했습니다.
이어 고 위원은 “초혼, 초산 연령은 점점 높아져 각각 31세, 32세를 넘었는데, 만혼을 지양하도록 하는 정책 등 청년의 결혼, 출산 동기 부여를 강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이 설계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정용기 (brave@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17년 제주의 합계 출산율은 초저출생 수준인 1.3명. 제주는 초저출생 수준으로 한 번 내려가면 회복이 불가능하다는 가설인 ‘저출생 함정’에 갇혔습니다. 2021년부터는 출산율 0명대를 기록해 가임기 여성이 평균 단 한 명의 아이를 낳지 않는 지역이 됐습니다.
“사정이 여의치 않으니까 딩크(의도적으로 아이를 갖지 않는 경우)로 살려고” “결혼 연령이 늦어지니까 출산 건강이 걱정되니까 자연스럽게 출산을 하지 않게 되는...” 등 출산을 하지 않겠단 부부들의 단념과 체념이 나온 지 오래입니다.
생명이 태어나지 않는 국가. 아기를 낳지 않는 사회. 지난해 3분기 합계 출산율 0.7명이라는 지표가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이미 사회 곳곳에서 저출산 여파로 구멍 난 곳이 여기저기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 아기 울음소리 사라진지 오래
“저출산 문제가 있다는 걸 저희는 직접적으로 체감을 하게 되죠.”
아기울음이 처음 나오는 곳, 병원에서부터 저출산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지난 1일 ‘별별이(태명)’ 출산을 도운 제주시 한 산부인과 역시 마찬가집니다. 이 산부인과 관계자는 “출산이 줄어드는 게 체감이 된다. 분만이 하향곡선을 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습니다.
2007년 6,178명이었던 제주의 출생아 수는 앞자리가 반토막 나 2022년에 3,600명을 기록했습니다. 41% 급감한 수치입니다. 다둥이 가정도 없어지고 있습니다. 2022년 첫째 아이 출생 감소율은 30% 수준입니다. 둘째, 셋째는 각각 35.6%, 51.9% 줄어 더 심각합니다.
지난해 3분기 합계 출산율은 0.7명으로 1년 전보다 0.1명 줄었습니다. 2009년 이후 3분기 기준 최저치입니다. 제주 합계 출산율은 2017년 저출생 함정 가설의 기준인 1.3명을 기록한 후 2018년 1.2명, 2019년 1.1명, 2021년부터는 0.9명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뉴욕타임스 “한국은 사라지나?”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마저 “한국은 소멸하나(Is south korea disappearing?)”란 칼럼으로 심각한 저출산 문제를 조명했습니다.
칼럼에서 한국은 가파른 인구 절벽 문제로 경제적 쇠퇴를 겪고 서유럽 등에서 사회 불안정 요소로 꼽히는 이민자를 대거 수용하는 것을 두고 선택의 고민에 빠질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내놓았습니다.
분만 취약지로 분류된 서귀포시를 볼까요. 서귀포의료원은 2014년 정부 지원을 받아 분만 사업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에 힘입어 2015년 6.75%였던 관내 분만율은 지속 상승했고, 2018년 30%, 2019년 36%, 2021년에는 43%까지 올랐습니다.
이 수치는 서귀포시에 사는 엄마 10명 중 4명의 아기 분만을 서귀포의료원이 담당하고 있다는 나름 의미 있는 수치입니다. 그런데 저출산 문제가 맞물리면서 서귀포시 등록 출생아 수도 덩달아 줄었고, 이 관내 분만율이 함께 떨어지고 있습니다.
40%를 훌쩍 넘었던 관내 분만율. 이제 30%대 진입을 앞둔 ‘암울한’ 상황입니다.
저출산 여파 때문인지 산부인과 수마저 줄고 있습니다. 2019년 23곳이었던 산부인과는 지난해 3분기 21곳으로 2곳 감소했습니다. 이런 흐름이 지속된다면 산부인과는 요양병원으로 간판을 바꾸고 어린이집, 유치원은 점차 사라질지도 모릅니다.
■ 어쩌다 이 지경이 됐나
전문가들은 이상적인 자녀, 가족의 규모, 삶에 대한 인식 변화 등 사회학적인 요소부터 꼽습니다. 내가 100세까지도 살 수 있는 시대에 아이를 꼭 가져야 하는지부터 혼자서도 행복, 가치있게 살 수 있다는 사회적 인식이 자리하게 됐다는 겁니다.
경제학적인 부문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경제적 양육 부담입니다. 안정적인 고용과 주거, 삶의 질이 보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경제적인 부담이 필요한 양육을 배제시키는 겁니다. 이런 요인들이 겹쳐 둘째, 셋째는 고사하고 자녀를 아예 갖지 않는 사회가 되가고 있습니다.
고지영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제주를 비롯해 우리나라는 정부의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개입 없이는 출산율 회복이 불가능해졌다”고 상황을 진단했습니다.
이어 고 위원은 “초혼, 초산 연령은 점점 높아져 각각 31세, 32세를 넘었는데, 만혼을 지양하도록 하는 정책 등 청년의 결혼, 출산 동기 부여를 강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이 설계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정용기 (brave@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모터보트서 작업하던 60대 선장 실종
- ∙︎ [자막뉴스] '수능 끝' 홀가분한 발걸음.. "지난해보다 쉬워"
- ∙︎ “제주의 유니크베뉴, 웰니스와 만나”.. 기업을 위한 ‘비움’ 그리고 ‘재충전’의 특별한 초대, 어디에서 만날 수 있을까
- ∙︎ "고향 앞으로 전진" 멸종위기 애기뿔소똥구리 100형제 방사
- ∙︎ [2025 수능] "중간 중간 어려운 문제가 꽤" 시험 끝난 수험생들 '홀가분 반 아쉬움 반'
- ∙︎ “중국 무비자 특수 잡는다”.. 복합리조트 매출 1,400억 육박, 투숙객 '열 명 중 일곱' 외국인 “더 늘어”
- ∙︎ [2025수능] 시험 조금 뒤 마무리.. 1교시 결시율 8.9%
- ∙ “대출 안 되지, 잔금 없지.. 이사는 무슨”.. 전국 아파트 입주율 ‘뚝’
- ∙ 숨 돌리나 했더니 “김장철 앞둔 배추·무 가격, 다시 상승 조짐“.. ‘금추’의 공포 재현되나?
- ∙ "명백한 영토 도발" 일본 섬마을 ‘독도영유권운동 집회’ 열어 비판 자초
- ∙ '2억 지방세 체납자' 가택 수색하자 현금 다발에 귀금속.. "나눠서 낼게요" 늑장도
- ∙ "수혈한 피만 32ℓ" 출산 후 대량 출혈 산모.. 극적 건강 회복
- ∙ 휘발유 “곧 1,700원대”.. 유류세 축소·국제 유가 급등, 서민 부담만 ‘이중고’
- ∙ 떡 먹다 목에 걸려 '컥'.. 길거리서 쓰러진 시민 구한 군의관 [삶맛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