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급여.. 울산 > 서울 > 세종 > 경기
제주 ‘최하’.. “울산과 1,166만 원 격차‘
상위 1% “연 3억 이상 벌어”.. 수도권
쏠림 심화.. 전체 절반 이상 “서울 살아”
전국 17개 시도 중 직장인 평균 급여가 가장 높은 곳은 울산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제주는 가장 급여 수준이 낮아 1위인 울산과 연간 급여 차이가 1,200만 원에 달했습니다. 울산에 이어 월급을 가장 많이 받는 서울은, 대신 증가 폭이 가팔랐습니다.
더구나 상위권 근로소득자만 보면, 1% 수준의 직장인 절반 상당이 서울에 몰린 것으로 파악됐을 만큼 집중도가 높았습니다. 지역별 경제적 보상 수준의 차이가 극심해, 수도권 집중 현상이 더 심화되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20일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시도별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원천징수 의무자 소재 기준)에 따르면 2022년 울산에 있는 근로자의 1인당 총급여액은 평균 4,736만 원으로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습니다.
현대자동차 생산공장 등 대기업이 입주한 영향으로 풀이되는데, 울산은 2021년(4,501만 원)에 이어 2년 연속 평균 급여가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제주는 1인당 급여가 평균 3,570만 원으로 17개 시도 중 가장 낮았습니다. 1위인 울산과 격차는 1,166만 원에 달했습니다. 2021년 제주(3,418만 원)와 울산(4,501만 원)의 격차인 1,084만 원보다 더 차이가 벌어졌습니다.
근로자 평균 급여가 두 번째로 높은 곳은 서울(4,683만 원)로, 서울은 특히 2년 전 대비 급여 증가 폭이 511만 원(12.3%)로 가장 컸습니다.
이어 공무원이 많이 거주하는 세종(4,492만 원), 경기(4,281만원)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평균 급여가 4,000만 원이 안되는 곳은 최하위인 제주 외에 강원(3,577만 원), 대구(3,580만 원), 전북(3,586만 원), 부산(3,639만 원), 광주(3,667만 원), 충북(3,829만 원) 등 10개 지역으로 파악됐습니다.
총급여액은 연말정산 등 각종 공제 기준이 되는 소득으로, 연간 근로소득에서 식대 등 비과세소득을 차감한 값을 말합니다.
관련해 양 의원은 “지역 간 소득격차가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지역별 성장동력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기업 유치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지역별 월급 수준 격차와 마찬가지로, 상위 근로소득자들의 수도권 집중현상도 확인된 바 있습니다.
앞서 지난해 10월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광역자치단체별 상위 1% 근로소득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귀속 근로소득 기준 상위 1% 근로소득자가 19만 9,591명으로 이들이 받은 총급여는 63조 3,295억 원, 1인당 평균 급여는 3억 1,700만 원을 집계됐습니다.
특히 이들 상위 1% 근로소득자 가운데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직장에 다니는 경우가 전체 77.1%(15만 3,932명), 10명 중 8명 정도로 나타났습니다. 그만큼 양질의 일자리가 수도권에 몰려 있고, 지역 간 불균형 문제가 심각하다는 대목으로 해석됩니다.
또한 17개 광역자치단체별 상위 1% 근로소득자는 서울이 8만 8,885명(44.5%)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경기(5만 9,460명. 29.8%), 부산(7,656명. 3.8%) 순이며 지역적 특수성을 가진 세종(461명)을 제외하면 제주(1,146명)가 고소득 근로자가 가장 적었습니다.
인구수를 고려한, 10만 명당 상위 1% 근로소득자 수도 수도권이 가장 많았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상위 1% 근로소득자는 서울이 938명으로 가장 많고 경기(436명), 울산(263명), 부산(230명), 대전(205명)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강원(114명), 전북(121명), 세종(126명), 전남(149명) 등은 인구 대비 고소득 근로자가 적은 지역으로 꼽혔습니다.
당시 김회재 의원은 “국가균형발전을 이루지 못하면 대한민국의 미래도 보장받을 수 없다”면서 “지역 내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정책 지원과 함께 기업에 다니는 청년들의 정주 여건 강화를 위한 대책 추진이 시급하다”고 주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주 ‘최하’.. “울산과 1,166만 원 격차‘
상위 1% “연 3억 이상 벌어”.. 수도권
쏠림 심화.. 전체 절반 이상 “서울 살아”
전국 17개 시도 중 직장인 평균 급여가 가장 높은 곳은 울산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제주는 가장 급여 수준이 낮아 1위인 울산과 연간 급여 차이가 1,200만 원에 달했습니다. 울산에 이어 월급을 가장 많이 받는 서울은, 대신 증가 폭이 가팔랐습니다.
더구나 상위권 근로소득자만 보면, 1% 수준의 직장인 절반 상당이 서울에 몰린 것으로 파악됐을 만큼 집중도가 높았습니다. 지역별 경제적 보상 수준의 차이가 극심해, 수도권 집중 현상이 더 심화되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국세청 자료
20일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시도별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원천징수 의무자 소재 기준)에 따르면 2022년 울산에 있는 근로자의 1인당 총급여액은 평균 4,736만 원으로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습니다.
현대자동차 생산공장 등 대기업이 입주한 영향으로 풀이되는데, 울산은 2021년(4,501만 원)에 이어 2년 연속 평균 급여가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제주는 1인당 급여가 평균 3,570만 원으로 17개 시도 중 가장 낮았습니다. 1위인 울산과 격차는 1,166만 원에 달했습니다. 2021년 제주(3,418만 원)와 울산(4,501만 원)의 격차인 1,084만 원보다 더 차이가 벌어졌습니다.
근로자 평균 급여가 두 번째로 높은 곳은 서울(4,683만 원)로, 서울은 특히 2년 전 대비 급여 증가 폭이 511만 원(12.3%)로 가장 컸습니다.
이어 공무원이 많이 거주하는 세종(4,492만 원), 경기(4,281만원)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평균 급여가 4,000만 원이 안되는 곳은 최하위인 제주 외에 강원(3,577만 원), 대구(3,580만 원), 전북(3,586만 원), 부산(3,639만 원), 광주(3,667만 원), 충북(3,829만 원) 등 10개 지역으로 파악됐습니다.
총급여액은 연말정산 등 각종 공제 기준이 되는 소득으로, 연간 근로소득에서 식대 등 비과세소득을 차감한 값을 말합니다.
관련해 양 의원은 “지역 간 소득격차가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지역별 성장동력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기업 유치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지역별 월급 수준 격차와 마찬가지로, 상위 근로소득자들의 수도권 집중현상도 확인된 바 있습니다.
앞서 지난해 10월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광역자치단체별 상위 1% 근로소득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귀속 근로소득 기준 상위 1% 근로소득자가 19만 9,591명으로 이들이 받은 총급여는 63조 3,295억 원, 1인당 평균 급여는 3억 1,700만 원을 집계됐습니다.
특히 이들 상위 1% 근로소득자 가운데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직장에 다니는 경우가 전체 77.1%(15만 3,932명), 10명 중 8명 정도로 나타났습니다. 그만큼 양질의 일자리가 수도권에 몰려 있고, 지역 간 불균형 문제가 심각하다는 대목으로 해석됩니다.
또한 17개 광역자치단체별 상위 1% 근로소득자는 서울이 8만 8,885명(44.5%)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경기(5만 9,460명. 29.8%), 부산(7,656명. 3.8%) 순이며 지역적 특수성을 가진 세종(461명)을 제외하면 제주(1,146명)가 고소득 근로자가 가장 적었습니다.
인구수를 고려한, 10만 명당 상위 1% 근로소득자 수도 수도권이 가장 많았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상위 1% 근로소득자는 서울이 938명으로 가장 많고 경기(436명), 울산(263명), 부산(230명), 대전(205명)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강원(114명), 전북(121명), 세종(126명), 전남(149명) 등은 인구 대비 고소득 근로자가 적은 지역으로 꼽혔습니다.
당시 김회재 의원은 “국가균형발전을 이루지 못하면 대한민국의 미래도 보장받을 수 없다”면서 “지역 내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정책 지원과 함께 기업에 다니는 청년들의 정주 여건 강화를 위한 대책 추진이 시급하다”고 주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팥 갈게 블렌더 집 가져가도 돼요?" 진상 손님.. 사장은 '황당'
- ∙ “그래서 ‘내란 공범’이라 불리는 것”.. 나경원 발언의 파장과 민주당의 반격
- ∙ “비상계엄이 통치행위?” 윤상현 ‘후폭풍’.. 제명 청원 6만 명 돌파.. 하다하다 ‘몽둥이가 답’ 역풍까지
- ∙ 한라산 관음사 코스 오르다 심정지.. 50대 관광객 숨져
- ∙ 라면으로 크리스마스트리를?...이색기부 눈길 [삶맛세상]
- ∙ "회사 짤리면 얼마 못 버티는데.." 직장인 10명 중 4명 내년 "실직 가능성"
- ∙ “무너진 공권력과 난동의 대가”.. 그래서, 윤상현 “몽둥이가 답?” 어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