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생두·원두 등 수입액 11억 1,000만 달러
5년 전 1.7배 수준↑.. “성인 1일 1.3잔 소비”
수입량·수입액 1위.. 최대 커피 생산국 '브라질’
“기후 변화 등 여파 생산량 감소에도 소비 여전”
우리나라, 세계 소비량 2배.. “시장 규모 확대”
커피 수입액이 2년 연속 10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기후 여건 등 여파로 커피 생산량은 줄고 단가 상승이 예상되지만 여전히 수입 규모는 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끊임없는 ‘커피 사랑’으로, 전세계 커피 소비량을 크게 웃도는 소비시장을 구축한 탓에, 시장 규모 역시 점점 커질 것이란 예상됩니다.
관세청은 지난해 생두와 원두를 합한 ‘커피’ 수입액이 11억 1,000만 달러, 우리 돈으로 1조 5,000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11일 밝혔습니다. 이는 5년 전인 2018년 6억 3,728만 8,000달러보다 1.7배, 약 2배에 달하는 액수입니다.
앞서 2022년 13억 498만 2,000달러일 때와 비교하면 다소 줄었지만 2년 연속 10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지난해 커피 수입량은 19만 3,000톤(t)으로 5년 전인 2018년보다 22% 많았습니다. 이는 성인 1명이 하루 1.3잔 정도 마시는 양입니다.
관련해 지난해의 경우도 우리나라 커피시장이 줄어들면서, 일각에선 소비 감소 전망이 나오기도 했지만 그렇지도 않다는 관측도 제기됩니다. 종전 코로나19 기간, 불안한 물류 여건으로 인해 사전에 기업들이 재고 비축에 주력했던데다 지난해는 물류가 안정되면서 기존 재고를 가동해 수입이 다소 줄어든게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로스팅하지 않은 생두의 경우 1년 가량 보관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난해 커피 수입량(19만 3,000t)을 국가별로 보면 브라질이 5만 378t으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수입한 커피 4분의 1 이상은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인 브라질에서 온 셈입니다.
이어 2위는 베트남(4만 1,449t)으로, 베트남은 주로 인스턴트 커피로 소비하는 로부스타 품종의 최대 생산국입니다. 다음은 콜롬비아(2만 7,882t), 에티오피아(1만 7,469t), 과테말라(9,249t), 미국(8,853t)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입액 순위는 국가별로 브라질, 콜롬비아, 미국, 스위스 등 순으로 수입액 순위와 수입량 순위에 차이가 있는 것은 해외 커피 브랜드를 통해 공급되는 원두 때문입니다.
스타벅스는 미국 본사에서 로스팅한 원두를 구입해 제품을 만듭니다.
우리나라의 커피 수입액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이처럼 커피 수입량이 꾸준히 늘어나는 것은, 기후변화 등 영향으로 인해 커피 생산량이 줄어 원두 가격도 오르고 있는데서 원인을 찾고 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로부스타 커피 가격의 경우은 최근 몇 년 사이 계속 올라 올 들어 사상 최고 수준까지 상승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아라비카 커피는 2022년에 급등했다가 지난해부터 다소 안정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커피 수입액은 볶았는지(로스팅), 카페인을 제거했는지(디카페인) 상관없이 커피 껍질과 커피를 함유한 커피 대용물 등을 모두 포함해 산출합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재배 가능 지역이 줄고 해충과 질병이 늘면서, 커피 생산량이 감소할 것이란 전망은 지속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제커피기구(ICO)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세계 커피 생산량은 연평균 1.6% 증가했지만, 2019년부터 2020년까지 2.5% 줄고 2020년부터 2021년까지는 0.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재배지역 감소 때문으로 2050년까지 50% 이상 감소하고, 특히 아라비카 커피는 85% 이상 감소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 커피 소비량은 지속 상승세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산업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은 405잔으로 152잔인 전세계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집계됐을 정도로, 지극한 ‘커피 사랑’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내 1인당 커피 소비량은 2018년 363잔에서 연평균 2.8% 늘어 2023년 기준 미국의 318잔보다 많은 소비량을 기록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22년 음료류 품목별 국내 판매액 중 전체 음료시장에서 커피류 비중은 30.8%로 탄산음료 25.5%보다 높았습니다.
커피에 대한 접근성이 높고,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는데다 바쁜 기업 문화와 사회여건 변화도 커피시장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코로나 19로 인해 집에서 내려마시는 커피 수요가 늘어나는 것을 비롯해 홈카페 트렌드와 소비자 취향 다양화로 커피 시장 성장세가 확산되면서 볶은 커피 시장의 경우엔 2018년 이후 연평균 17.4%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전 세계 커피 시장규모는 1,131억 5,260만 달러로 전년 대비 9% 늘었고, 2027년까지 연평균 4.3% 성장해 1,331억 5,750만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5년 전 1.7배 수준↑.. “성인 1일 1.3잔 소비”
수입량·수입액 1위.. 최대 커피 생산국 '브라질’
“기후 변화 등 여파 생산량 감소에도 소비 여전”
우리나라, 세계 소비량 2배.. “시장 규모 확대”
커피 수입액이 2년 연속 10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기후 여건 등 여파로 커피 생산량은 줄고 단가 상승이 예상되지만 여전히 수입 규모는 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끊임없는 ‘커피 사랑’으로, 전세계 커피 소비량을 크게 웃도는 소비시장을 구축한 탓에, 시장 규모 역시 점점 커질 것이란 예상됩니다.
관세청은 지난해 생두와 원두를 합한 ‘커피’ 수입액이 11억 1,000만 달러, 우리 돈으로 1조 5,000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11일 밝혔습니다. 이는 5년 전인 2018년 6억 3,728만 8,000달러보다 1.7배, 약 2배에 달하는 액수입니다.
앞서 2022년 13억 498만 2,000달러일 때와 비교하면 다소 줄었지만 2년 연속 10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지난해 커피 수입량은 19만 3,000톤(t)으로 5년 전인 2018년보다 22% 많았습니다. 이는 성인 1명이 하루 1.3잔 정도 마시는 양입니다.
관련해 지난해의 경우도 우리나라 커피시장이 줄어들면서, 일각에선 소비 감소 전망이 나오기도 했지만 그렇지도 않다는 관측도 제기됩니다. 종전 코로나19 기간, 불안한 물류 여건으로 인해 사전에 기업들이 재고 비축에 주력했던데다 지난해는 물류가 안정되면서 기존 재고를 가동해 수입이 다소 줄어든게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로스팅하지 않은 생두의 경우 1년 가량 보관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난해 커피 수입량(19만 3,000t)을 국가별로 보면 브라질이 5만 378t으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수입한 커피 4분의 1 이상은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인 브라질에서 온 셈입니다.
이어 2위는 베트남(4만 1,449t)으로, 베트남은 주로 인스턴트 커피로 소비하는 로부스타 품종의 최대 생산국입니다. 다음은 콜롬비아(2만 7,882t), 에티오피아(1만 7,469t), 과테말라(9,249t), 미국(8,853t)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입액 순위는 국가별로 브라질, 콜롬비아, 미국, 스위스 등 순으로 수입액 순위와 수입량 순위에 차이가 있는 것은 해외 커피 브랜드를 통해 공급되는 원두 때문입니다.
스타벅스는 미국 본사에서 로스팅한 원두를 구입해 제품을 만듭니다.
우리나라의 커피 수입액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이처럼 커피 수입량이 꾸준히 늘어나는 것은, 기후변화 등 영향으로 인해 커피 생산량이 줄어 원두 가격도 오르고 있는데서 원인을 찾고 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로부스타 커피 가격의 경우은 최근 몇 년 사이 계속 올라 올 들어 사상 최고 수준까지 상승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아라비카 커피는 2022년에 급등했다가 지난해부터 다소 안정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커피 수입액은 볶았는지(로스팅), 카페인을 제거했는지(디카페인) 상관없이 커피 껍질과 커피를 함유한 커피 대용물 등을 모두 포함해 산출합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재배 가능 지역이 줄고 해충과 질병이 늘면서, 커피 생산량이 감소할 것이란 전망은 지속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제커피기구(ICO)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세계 커피 생산량은 연평균 1.6% 증가했지만, 2019년부터 2020년까지 2.5% 줄고 2020년부터 2021년까지는 0.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재배지역 감소 때문으로 2050년까지 50% 이상 감소하고, 특히 아라비카 커피는 85% 이상 감소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 커피 소비량은 지속 상승세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산업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은 405잔으로 152잔인 전세계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집계됐을 정도로, 지극한 ‘커피 사랑’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내 1인당 커피 소비량은 2018년 363잔에서 연평균 2.8% 늘어 2023년 기준 미국의 318잔보다 많은 소비량을 기록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22년 음료류 품목별 국내 판매액 중 전체 음료시장에서 커피류 비중은 30.8%로 탄산음료 25.5%보다 높았습니다.
커피에 대한 접근성이 높고,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는데다 바쁜 기업 문화와 사회여건 변화도 커피시장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코로나 19로 인해 집에서 내려마시는 커피 수요가 늘어나는 것을 비롯해 홈카페 트렌드와 소비자 취향 다양화로 커피 시장 성장세가 확산되면서 볶은 커피 시장의 경우엔 2018년 이후 연평균 17.4%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전 세계 커피 시장규모는 1,131억 5,260만 달러로 전년 대비 9% 늘었고, 2027년까지 연평균 4.3% 성장해 1,331억 5,750만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영상] "모텔서 쉬라고" 처음 본 만취 여성 끌고 간 30대 실형
- ∙ “그래서 ‘내란 공범’이라 불리는 것”.. 나경원 발언의 파장과 민주당의 반격
- ∙ 애들 장난인 줄 알았더니.. 상품 숨겼다가 바코드 찢고 '슬쩍'
- ∙ 어묵 1개 5000원?.. 집회 현장 폭리 노점상 "선 넘었다" 뭇매
- ∙ 라면으로 크리스마스트리를?...이색기부 눈길
- ∙ "회사 짤리면 얼마 못 버티는데.." 직장인 10명 중 4명 내년 "실직 가능성"
- ∙ “저를 지키지 마세요, 제가 여러분을 지키겠습니다”.. 146일 만에 사퇴한 한동훈, 보수의 미래에 던진 화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