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여성의 날’.. 英 이코노미스트 ‘유리천장 지수’
남녀 급여 격차 등 29개 국 중 29위, 12년째 ‘꼴찌’
“여성이 일하기 힘든 나라”.. 직장 내 ‘장애물’ 여전
노동현장 소외 비롯, 사회 권한·성별 격차 등 최악
여전히 우리나라 여성들은 ‘일이냐 가족이냐’ 양자택일 기로에서 선택을 강요받으면서, ‘워킹맘’으로서 입지를 보장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 사회진출이 늘면서 일·가정 양립의 구현을 내세우고 있다지만, 정작 현실상황이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일하는 여성의 환경을 평가하는 지표인 ‘유리천장 지수(The glass-ceiling index)’에서, 우리나라가 12년째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유리천장 지수’는 남녀 고등교육이나 소득 격차, 여성 노동 참여율, 고위직 여성 비율과 육아 비용, 남녀 육아휴직 현황 등 제반 세부지표를 종합해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가 매년 산출해 발표하는 지표입니다.
기업 내 양성평등 환경이 여전히 취약한데다, 일·가정 양립에 전제라 할 육아휴직 제도도 잘 지켜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일하는 여성을 위한 환경 개선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문입니다.
‘이코노미스트’가 ‘세계 여성의 날’을 이틀 앞둔 6일(현지시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9개 회원국 성평등 현황을 분석한 '유리천장 지수(glass-ceiling index)'를 내놓은데 따르면 한국이 29위로 꼴찌를 기록했습니다.
지수가 낮을 수록 일하는 여성의 환경이 전반적으로 열악하다는 뜻으로, 한국은 2013년 시작한 이코노미스트의 평가에서 12년 연속 꼴찌에 이름을 올리는 불명예를 안았습니다.
관련해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일본, 터키의 여성들은 여전히 직장에서 가장 큰 장애물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 지표는 대부분 바닥 수준을 면치 못했습니다.
우선 남녀 소득격차 부문에서 계속 최하위를 기록했습니다. 남녀간 급여 격차가 2016년 36.7%포인트(p)에서 지난해 31.2%p로 폭을 줄었지만 OECD 평균(11.9%p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또 관리직 여성 비율과 기업 내 여성 이사 비율도 각각 28위로 나타났습니다.
관리직 여성 비율은 한국이 16.3%로, OECD 평균(34.2%)의 절반도 못 미쳤습니다.
기업 내 여성 이사 비율도 OECD 평균이 32.5%, 한국 16.3%로 마찬가지 절반에 머물렀습니다.
여성 노동 참여율이나 남녀 고등교육 격차, 의회 여성 의석 비율 모두 27위로 대다수 부문에서 저평가를 받았습니다.
더 많은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을 돕기 위한 육아휴가 정책 등은 ‘관대하다’고 평가됐지만, 이마저도 활용 수준이 낮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여성 유급 육아휴직 사용가능 기간이 30.6주로 12위, 남성 유급 육아휴직 사용 가능 기간은 22.1주로 일본(31.1주)에 이어 2위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일본이 여성 경제활동 장려 차원에서 OECD에서 가장 긴 남성 육아휴직을 갖춰놓고도 실제 사용은 저조하다”고 평가했습니다.
결국 이같은 현실적 한계는 고스란히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 최근 통계청 발표만 봐도 지난해 전국 합계 출산율은 0.72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치열해지는 노동시장 경쟁에서 여성 직장인에게 임신과 출산, 육아문제는 자신의 임금과 커리어를 포기하게 만들면서, 노동 생산성을 떨어뜨릴 우려마저 높이고 있습니다.
임금·커리어보다 육아를 위해 경제 활동을 포기해야 할 상황으로 전환될 여지가 큰 만큼, 일과 출산, 육아를 병행하고자 하는 여성들에게 보다 다양한 선택의 기회가 주어지도록 지원 정책 고민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유리천장 지수에서 한국보다 하나 위인 일본은 2022년까지 종합지수 기준 28위를 기록하던 것이 지난해 27위로 한 단계 올라섰습니다. 2022년 27위였던 터키는 28위로 순위가 내려갔습니다.
상위권은 주로 북유럽 국가로, 아이슬란드가 2년 연속 1위에 올랐고 2위 스웨덴, 3위 노르웨이였습니다. 아이슬란드는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 비율이 남성보다 21.4%p 높고 여성의 노동참여율의 경우 남성과 격차가 5%p 미만으로 OECD 평균(14.8%p)보다 적었습니다. 남녀 급여 격차도 9.7%p 30%p대인 우리나라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남녀 급여 격차 등 29개 국 중 29위, 12년째 ‘꼴찌’
“여성이 일하기 힘든 나라”.. 직장 내 ‘장애물’ 여전
노동현장 소외 비롯, 사회 권한·성별 격차 등 최악
여전히 우리나라 여성들은 ‘일이냐 가족이냐’ 양자택일 기로에서 선택을 강요받으면서, ‘워킹맘’으로서 입지를 보장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 사회진출이 늘면서 일·가정 양립의 구현을 내세우고 있다지만, 정작 현실상황이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일하는 여성의 환경을 평가하는 지표인 ‘유리천장 지수(The glass-ceiling index)’에서, 우리나라가 12년째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유리천장 지수’는 남녀 고등교육이나 소득 격차, 여성 노동 참여율, 고위직 여성 비율과 육아 비용, 남녀 육아휴직 현황 등 제반 세부지표를 종합해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가 매년 산출해 발표하는 지표입니다.
기업 내 양성평등 환경이 여전히 취약한데다, 일·가정 양립에 전제라 할 육아휴직 제도도 잘 지켜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일하는 여성을 위한 환경 개선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문입니다.
‘이코노미스트’가 ‘세계 여성의 날’을 이틀 앞둔 6일(현지시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9개 회원국 성평등 현황을 분석한 '유리천장 지수(glass-ceiling index)'를 내놓은데 따르면 한국이 29위로 꼴찌를 기록했습니다.
OECD 회원국 유리천장 지수 순위 (이코노미스트)
지수가 낮을 수록 일하는 여성의 환경이 전반적으로 열악하다는 뜻으로, 한국은 2013년 시작한 이코노미스트의 평가에서 12년 연속 꼴찌에 이름을 올리는 불명예를 안았습니다.
관련해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일본, 터키의 여성들은 여전히 직장에서 가장 큰 장애물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 지표는 대부분 바닥 수준을 면치 못했습니다.
우선 남녀 소득격차 부문에서 계속 최하위를 기록했습니다. 남녀간 급여 격차가 2016년 36.7%포인트(p)에서 지난해 31.2%p로 폭을 줄었지만 OECD 평균(11.9%p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또 관리직 여성 비율과 기업 내 여성 이사 비율도 각각 28위로 나타났습니다.
관리직 여성 비율은 한국이 16.3%로, OECD 평균(34.2%)의 절반도 못 미쳤습니다.
기업 내 여성 이사 비율도 OECD 평균이 32.5%, 한국 16.3%로 마찬가지 절반에 머물렀습니다.
여성 노동 참여율이나 남녀 고등교육 격차, 의회 여성 의석 비율 모두 27위로 대다수 부문에서 저평가를 받았습니다.
더 많은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을 돕기 위한 육아휴가 정책 등은 ‘관대하다’고 평가됐지만, 이마저도 활용 수준이 낮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여성 유급 육아휴직 사용가능 기간이 30.6주로 12위, 남성 유급 육아휴직 사용 가능 기간은 22.1주로 일본(31.1주)에 이어 2위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일본이 여성 경제활동 장려 차원에서 OECD에서 가장 긴 남성 육아휴직을 갖춰놓고도 실제 사용은 저조하다”고 평가했습니다.
결국 이같은 현실적 한계는 고스란히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 최근 통계청 발표만 봐도 지난해 전국 합계 출산율은 0.72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치열해지는 노동시장 경쟁에서 여성 직장인에게 임신과 출산, 육아문제는 자신의 임금과 커리어를 포기하게 만들면서, 노동 생산성을 떨어뜨릴 우려마저 높이고 있습니다.
임금·커리어보다 육아를 위해 경제 활동을 포기해야 할 상황으로 전환될 여지가 큰 만큼, 일과 출산, 육아를 병행하고자 하는 여성들에게 보다 다양한 선택의 기회가 주어지도록 지원 정책 고민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유리천장 지수에서 한국보다 하나 위인 일본은 2022년까지 종합지수 기준 28위를 기록하던 것이 지난해 27위로 한 단계 올라섰습니다. 2022년 27위였던 터키는 28위로 순위가 내려갔습니다.
상위권은 주로 북유럽 국가로, 아이슬란드가 2년 연속 1위에 올랐고 2위 스웨덴, 3위 노르웨이였습니다. 아이슬란드는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 비율이 남성보다 21.4%p 높고 여성의 노동참여율의 경우 남성과 격차가 5%p 미만으로 OECD 평균(14.8%p)보다 적었습니다. 남녀 급여 격차도 9.7%p 30%p대인 우리나라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