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초혼 연령 남 34.4살:여 32.4살
전국서 가장 높아.. 주거비 물가 원인
월세·전세자금 대출이자 부담도 가중
서울에 살 수록 지방보다 결혼을 하는 시기가 더 늦어진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높은 주택 가격에 고물가 여파가 더해진데다, 자금 부담까지 맞물려 결혼을 늦추는 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크단 분석입니다.
결혼 비용은 점점 커지는 반면 높아진 생활물가로 실질소득은 하락하면서 현실적으로 결혼까지 이르는게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1일 통계청의 ‘2023년 혼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의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와 여자가 각각 34.4살과 32.4살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전국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 34살, 여자 31.5살입니다.
서울 다음으로 남자 초혼 연령이 높은 곳은 부산·제주로 모두 34.3살이었습니다. 이어 전북 34.1살, 전남 34살, 세종 33.9살 등의 순이었습니다.
남자 평균 초혼 연령이 가장 낮은 울산·충북(33.4살)과 서울의 차이는 1살이었습니다.
여자 초혼 연령도 부산이 32살로 서울 다음 높았습니다. 이어 세종 31.8살, 제주 31.7살, 경남 31.3살, 경북 31.1살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자 평균 초혼 연령이 가장 낮은 충북·전남(30.8살)과 서울의 격차는 1.6살이였습니다.
서울의 평균 초혼 연령이 높은 대표 원인은 ‘높은 주거비와 물가' 가 꼽혔습니다.
생활비 수준이 높아 이에 따른 실질소득 하락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됩니다.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이 줄며 결혼을 늦춘 이들이 그만큼 많았다는 뜻입니다.
실제 국제 컨설팅업체 머서(Mercer)가 실시한 ‘2023년 도시 생활비 조사’ 결과 서울은 세계 227개 도시 중 생계비가 16번째로 비싼 도시에 선정됐습니다. 19위를 기록한 일본 도쿄보다도 높은 순위입니다.
‘한국의 사회동향 2023’에 따르면 전 연령대가 결혼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혼수 비용, 주거 마련 등 ‘결혼 자금 부족’(33.7%)을 꼽았습니다.
‘필요성 없음’ 17.3%, ‘출산·양육 부담’ 11.0%, ‘고용상태 불안정’ 10.2%, ‘결혼 상대 못 만남’ 9.7% 등 다른 사유 비중을 크게 뛰어넘는 수준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대 평균 임금 근로소득은 2022년 기준 255만 원입니다. 또한 2022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19~34살 청년 4,11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전체의 평균소득은 월 185만원입니다.
하지만 서울시 소규모주택에서 2023년 평균 월세 지출은 63.2만 원으로, 2년 간 월세 상승률은 15.8%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대적으로 낮은 소득에도 불구하고 이마저 30%를 주거비로 부담해야 할 정도라 자산 형성이 쉽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수
특히 주거비만 해도, 부모와 함께 거주하지 않을 경우엔 높은 월세나 전세자금 대출 이자 등 감당이 쉽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개발연구원(KDI) 분석을 보면 39살 이하 청년층 순자산은 2019년 평균 2억 2,000만 원에서 2022년 2억 6,000만 원으로 4,000만 원 증가하는데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40살 이상 중장년층 순자산은 평균 3억 8,000만 원에서 4억 9,000만 원으로 늘었습니다.
결국 이같은 요인들은 인구 이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국토부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22년 사이 15년간 20대는 주로 서울, 30대는 경기도로 이동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통계청 관계자는 “서울 초혼 연령이 해마다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면서 “명확한 인과관계를 설명하긴 쉽지 않지만 물가나 주거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국서 가장 높아.. 주거비 물가 원인
월세·전세자금 대출이자 부담도 가중
서울에 살 수록 지방보다 결혼을 하는 시기가 더 늦어진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높은 주택 가격에 고물가 여파가 더해진데다, 자금 부담까지 맞물려 결혼을 늦추는 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크단 분석입니다.
결혼 비용은 점점 커지는 반면 높아진 생활물가로 실질소득은 하락하면서 현실적으로 결혼까지 이르는게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1일 통계청의 ‘2023년 혼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의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와 여자가 각각 34.4살과 32.4살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전국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 34살, 여자 31.5살입니다.
서울 다음으로 남자 초혼 연령이 높은 곳은 부산·제주로 모두 34.3살이었습니다. 이어 전북 34.1살, 전남 34살, 세종 33.9살 등의 순이었습니다.
남자 평균 초혼 연령이 가장 낮은 울산·충북(33.4살)과 서울의 차이는 1살이었습니다.
여자 초혼 연령도 부산이 32살로 서울 다음 높았습니다. 이어 세종 31.8살, 제주 31.7살, 경남 31.3살, 경북 31.1살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자 평균 초혼 연령이 가장 낮은 충북·전남(30.8살)과 서울의 격차는 1.6살이였습니다.
서울의 평균 초혼 연령이 높은 대표 원인은 ‘높은 주거비와 물가' 가 꼽혔습니다.
생활비 수준이 높아 이에 따른 실질소득 하락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됩니다.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이 줄며 결혼을 늦춘 이들이 그만큼 많았다는 뜻입니다.
실제 국제 컨설팅업체 머서(Mercer)가 실시한 ‘2023년 도시 생활비 조사’ 결과 서울은 세계 227개 도시 중 생계비가 16번째로 비싼 도시에 선정됐습니다. 19위를 기록한 일본 도쿄보다도 높은 순위입니다.
‘한국의 사회동향 2023’에 따르면 전 연령대가 결혼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혼수 비용, 주거 마련 등 ‘결혼 자금 부족’(33.7%)을 꼽았습니다.
‘필요성 없음’ 17.3%, ‘출산·양육 부담’ 11.0%, ‘고용상태 불안정’ 10.2%, ‘결혼 상대 못 만남’ 9.7% 등 다른 사유 비중을 크게 뛰어넘는 수준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대 평균 임금 근로소득은 2022년 기준 255만 원입니다. 또한 2022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19~34살 청년 4,11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전체의 평균소득은 월 185만원입니다.
하지만 서울시 소규모주택에서 2023년 평균 월세 지출은 63.2만 원으로, 2년 간 월세 상승률은 15.8%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대적으로 낮은 소득에도 불구하고 이마저 30%를 주거비로 부담해야 할 정도라 자산 형성이 쉽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수
특히 주거비만 해도, 부모와 함께 거주하지 않을 경우엔 높은 월세나 전세자금 대출 이자 등 감당이 쉽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개발연구원(KDI) 분석을 보면 39살 이하 청년층 순자산은 2019년 평균 2억 2,000만 원에서 2022년 2억 6,000만 원으로 4,000만 원 증가하는데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40살 이상 중장년층 순자산은 평균 3억 8,000만 원에서 4억 9,000만 원으로 늘었습니다.
결국 이같은 요인들은 인구 이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국토부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22년 사이 15년간 20대는 주로 서울, 30대는 경기도로 이동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통계청 관계자는 “서울 초혼 연령이 해마다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면서 “명확한 인과관계를 설명하긴 쉽지 않지만 물가나 주거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지지율 20%대 회복” 尹 대통령.. 국정 동력, 마지노선은 지킬 수 있을까?
- ∙︎ [자막뉴스] 곳곳에서 콜록.. 호흡기 질환 유행 비상
- ∙︎ '제주서 또 선박 사고' 해상서 어선 뒤집혀.. 선장 1명 실종 [영상]
- ∙︎ 한라산서 라면 먹고 양심 '툭'.. 쓰레기 주웠더니 하루에 1.5t
- ∙︎ “사계절 언제든 제주를 만끽할 수 있도록”.. 베트남 가족여행 시장 공략 ‘박차’
- ∙︎ 이재명 선거법 위반 1심 '징역형 집유'.. 의원직 상실형
- ∙︎ 2025학년도 정시, 입시 셈법 "복잡하네".. ‘쉽게 출제된 수능’에 변수 '속출'
- ∙ “대출 안 되지, 잔금 없지.. 이사는 무슨”.. 전국 아파트 입주율 ‘뚝’
- ∙ 숨 돌리나 했더니 “김장철 앞둔 배추·무 가격, 다시 상승 조짐“.. ‘금추’의 공포 재현되나?
- ∙ "명백한 영토 도발" 일본 섬마을 ‘독도영유권운동 집회’ 열어 비판 자초
- ∙ '2억 지방세 체납자' 가택 수색하자 현금 다발에 귀금속.. "나눠서 낼게요" 늑장도
- ∙ "수혈한 피만 32ℓ" 출산 후 대량 출혈 산모.. 극적 건강 회복
- ∙ 휘발유 “곧 1,700원대”.. 유류세 축소·국제 유가 급등, 서민 부담만 ‘이중고’
- ∙ 임플란트 장비가 기도에.. 119헬기 타고 300㎞ 떨어진 제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