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세대’ 대부분 ‘자녀=비용’ 인식↑
무자녀 희망 비율, 미혼녀 > 미혼남
기혼녀 > 기혼남.. “양육비 등 부담↑”
부모 육아휴직 사용.. 업무 공유 필요
“의료서비스·주거환경 지원 등 중요”
‘2040’세대 가운데 결혼하지 않은 여성 5명 중 1명, 남자는 7명 중 1명이 ‘아이 낳을 생각이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미혼 여성 21%, 미혼 남성의 14%가 그렇게 답했는데, 결혼 유무와 상관 없이 상당수가 자녀 성장기에 돈이 많이 든다는 데 공감했습니다.
이같은 초저출산 양상 우려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일·가정 양립’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지만, 실제 유기적인 연계가 쉽지 않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가임기 미혼여성 대부분 여전히 임신·출산을 사실상 ‘경력단절’과 마찬가지로 여기는 데다, ‘아이’로 인한 부부나 가족관계의 개선 역시도 현실적인 장벽이 견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분기별 합계출산율이 ‘0.6명대’(지난해 4분기 기준 0.64명)로 급락한 가운데, 사회구조적인 변화가 없이는 유의미한 반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 사회의 저출산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제1차 국민인구행태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습니다.
조사는 지난해 10월 23일부터 11월 13일 전국에 거주하는 만 20∼44살 남녀 2,000명(미·기혼 남녀 각 500명)을 대상으로 결혼·출산 관련 행태에 대해 전화 설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조사 결과, 무자녀를 희망하는 비율은 ‘미혼 여성’(21.3%), ‘미혼 남성’(13.7%) 그리고 ‘기혼 여성’(6.5%), ‘기혼 남성’(5.15%_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협회 측은 “미혼 여성의 5분의 1 정도가 무자녀를 선호하고, 미혼 남성 역시도 기혼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수 자녀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미래 출산 가능성이 있는 미혼 남녀의 이같은 가치관은 현재의 초저출산 현상을 장기간 지속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자녀를 낳았을 때 느끼는 개인적 성취와 부부 유대감, 비용과 성장 환경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 ‘부모는 자녀를 키우며 정신적으로 성장한다’와 ‘자녀의 성장은 인생의 가장 큰 기쁨이다’라는 데에 각각 92.3%와 83.0%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부 유대감에 있어선 82.7%가 ‘자녀는 부부관계를 안정적으로 만들어준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만큼이나 양육 비용과 앞으로 자녀가 살아가야할 미래 등 성장 환경에 대한 우려가 컸습니다. ‘2040’세대 대부분 자녀를 ‘비용’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드러냈습니다. 응답자 96%가 “자녀는 성장기 비용이 많이 든다”고 답해, 사실상 대다수가 자녀의 존재를 ‘비용’으로 인식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또 ‘자녀들이 겪게 될 미래가 걱정된다’는 응답도 88.8%에 달했습니다. 이어 ‘자녀는 여성 경력에 제약이 된다’(77.6%), ‘부모의 자유에 제약을 준다’(72.8%) 순으로 높은 공감도를 나타냈습니다.
평균 희망 자녀 수는 기혼 남성이 1.79명, 기혼 여성 1.71명, 미혼 남성 1.63명, 미혼 여성 1.43명 등의 순으로 많았습니다.
출산 후 아이를 키울 때 가장 이상적인 육아휴직 배분 방식은 ‘엄마·아빠 반반씩 사용’을 꼽는 비율이 ‘미혼 여성’(77.2%)이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미혼 남성’(64.9%), ‘기혼 여성’(70.9%), ‘기혼 남성’(60.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동료 육아휴직 때 업무 공유 의향에 대해 67.9%가 긍정적(다소 있음+매우 있음)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미취학 아동의 양육비를 부담해야 할 주체는 ‘부모+정부’(30.6%) 비중이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부모’(26.7%), ‘정부’(22.4%) 순이었습니다.
국가 책임 정도는 ‘적절한 의료서비스 지원’(94.6%)이 가장 높고 ‘여성의 일‧가정 양립 지원’(90.9%), ‘남성의 일‧가정 양립 지원’(89.8%), ‘적절한 주거환경 지원’(89.0%), ‘청년 일자리 지원’(85.7%), ‘부부가 원하는 수의 자녀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84.9%)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 ‘2023년 출생·사망 통계’와 ‘2023년 12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 명으로 전년(24만 9,200명)보다 1만 1,200명(7.7%) 감소하면서 지난해에 이어 또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4분기 합계출산율은 0.65명으로 사상 처음 0.6명대로 내려앉았습니다.
관련해 협회 측은 “2040의 가치관과 태도가 저출산 문제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다”면서 “조사결과를 면밀히 분석하고, 이들의 변화가 한국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저출산 대책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무자녀 희망 비율, 미혼녀 > 미혼남
기혼녀 > 기혼남.. “양육비 등 부담↑”
부모 육아휴직 사용.. 업무 공유 필요
“의료서비스·주거환경 지원 등 중요”
‘2040’세대 가운데 결혼하지 않은 여성 5명 중 1명, 남자는 7명 중 1명이 ‘아이 낳을 생각이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미혼 여성 21%, 미혼 남성의 14%가 그렇게 답했는데, 결혼 유무와 상관 없이 상당수가 자녀 성장기에 돈이 많이 든다는 데 공감했습니다.
이같은 초저출산 양상 우려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일·가정 양립’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지만, 실제 유기적인 연계가 쉽지 않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가임기 미혼여성 대부분 여전히 임신·출산을 사실상 ‘경력단절’과 마찬가지로 여기는 데다, ‘아이’로 인한 부부나 가족관계의 개선 역시도 현실적인 장벽이 견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분기별 합계출산율이 ‘0.6명대’(지난해 4분기 기준 0.64명)로 급락한 가운데, 사회구조적인 변화가 없이는 유의미한 반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 사회의 저출산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제1차 국민인구행태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습니다.
조사는 지난해 10월 23일부터 11월 13일 전국에 거주하는 만 20∼44살 남녀 2,000명(미·기혼 남녀 각 500명)을 대상으로 결혼·출산 관련 행태에 대해 전화 설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조사 결과, 무자녀를 희망하는 비율은 ‘미혼 여성’(21.3%), ‘미혼 남성’(13.7%) 그리고 ‘기혼 여성’(6.5%), ‘기혼 남성’(5.15%_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협회 측은 “미혼 여성의 5분의 1 정도가 무자녀를 선호하고, 미혼 남성 역시도 기혼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수 자녀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미래 출산 가능성이 있는 미혼 남녀의 이같은 가치관은 현재의 초저출산 현상을 장기간 지속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습니다.
통계청 제공
자녀를 낳았을 때 느끼는 개인적 성취와 부부 유대감, 비용과 성장 환경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 ‘부모는 자녀를 키우며 정신적으로 성장한다’와 ‘자녀의 성장은 인생의 가장 큰 기쁨이다’라는 데에 각각 92.3%와 83.0%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부 유대감에 있어선 82.7%가 ‘자녀는 부부관계를 안정적으로 만들어준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만큼이나 양육 비용과 앞으로 자녀가 살아가야할 미래 등 성장 환경에 대한 우려가 컸습니다. ‘2040’세대 대부분 자녀를 ‘비용’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드러냈습니다. 응답자 96%가 “자녀는 성장기 비용이 많이 든다”고 답해, 사실상 대다수가 자녀의 존재를 ‘비용’으로 인식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또 ‘자녀들이 겪게 될 미래가 걱정된다’는 응답도 88.8%에 달했습니다. 이어 ‘자녀는 여성 경력에 제약이 된다’(77.6%), ‘부모의 자유에 제약을 준다’(72.8%) 순으로 높은 공감도를 나타냈습니다.
평균 희망 자녀 수는 기혼 남성이 1.79명, 기혼 여성 1.71명, 미혼 남성 1.63명, 미혼 여성 1.43명 등의 순으로 많았습니다.
통계청 제공
출산 후 아이를 키울 때 가장 이상적인 육아휴직 배분 방식은 ‘엄마·아빠 반반씩 사용’을 꼽는 비율이 ‘미혼 여성’(77.2%)이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미혼 남성’(64.9%), ‘기혼 여성’(70.9%), ‘기혼 남성’(60.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동료 육아휴직 때 업무 공유 의향에 대해 67.9%가 긍정적(다소 있음+매우 있음)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통계청 제공
미취학 아동의 양육비를 부담해야 할 주체는 ‘부모+정부’(30.6%) 비중이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부모’(26.7%), ‘정부’(22.4%) 순이었습니다.
국가 책임 정도는 ‘적절한 의료서비스 지원’(94.6%)이 가장 높고 ‘여성의 일‧가정 양립 지원’(90.9%), ‘남성의 일‧가정 양립 지원’(89.8%), ‘적절한 주거환경 지원’(89.0%), ‘청년 일자리 지원’(85.7%), ‘부부가 원하는 수의 자녀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84.9%)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 ‘2023년 출생·사망 통계’와 ‘2023년 12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 명으로 전년(24만 9,200명)보다 1만 1,200명(7.7%) 감소하면서 지난해에 이어 또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4분기 합계출산율은 0.65명으로 사상 처음 0.6명대로 내려앉았습니다.
관련해 협회 측은 “2040의 가치관과 태도가 저출산 문제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다”면서 “조사결과를 면밀히 분석하고, 이들의 변화가 한국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저출산 대책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