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중 40% 이상 “집 밖에서”
교통 등 ‘이동’ 소요.. 2시간 30분
경기·서울·세종’ 집 밖 시간 가장↑
‘4050’세대 이동거리 > ‘2030’
지역별, 제주 32.4㎞ “가장 짧아”
하루 24시간, 집 밖에서 보내는 시간이 10시간(600분) 정도로 이 가운데 4분의 1은 도로 등 길 위를 이동하거나 지하철·버스를 이용하며 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나마 사회 인프라 시설이 집적된 신도시의 경우, 이같은 이동 시간이 평균보다 더 짧았습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이동 거리는 길고, 청년층은 상대적으로 짧았습니다.
여성 활동시간은 남성 80% 수준인데다, 이동 거리는 절반 정도에 불과했지만, 그만큼 육아 참여 비중이 높은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9일 국토연구원이 내놓은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통해 본 우리 사회의 활동시·공간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개인이 집을 나서 귀가할 때까지인 ‘활동시간’은 평균 10.3시간으로 이 가운데 이동 시간이 2.5시간으로 집계됐습니다. 하루 중 이동시간이 24.3%로 4분의 1 정도를 차지했다는 의미입니다.
연령대별 활동 시간은 20대부터 50대까지가 9.7시간(580분)에서 9.8시간(586분)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다만 이동 거리는 ‘2030’세대가 31.4㎞, 4050세대가 44.5㎞로 중년층이 더 길었습니다.
특히 20대 이동 거리는 29.4km로 가장 낮았습니다. 이동 거리가 가장 긴 50대의 61% 수준, 60대의 66%에 그쳤고 70대 이상(30.4㎞)보다도 짧았습니다.
이에 대해 국토연구원은 사회생활이 한창인 중년층이 상대적으로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해 이동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더불어 출산율 감소로 청년층이 감소하긴 했지만, 고령화와 경제활동 기간 연장 등으로 인해 교통수요가 일정 기간 증가할수 있는 것으로 봤습니다.
성별로 분류하면 남성 활동 시간·이동 거리는 10.2시간(612분)·49㎞, 여성은 8.8시간(529분)·24㎞로 여성 활동시간이 남성의 86% 그리고 이동 거리는 절반 수준을 나타났습니다.
보고서에선 남성이 여성보다 일상적인 활동 공간이 넓고, 직장 등 활동지와 주거지간 거리가 긴 때문으로 풀이했습니다.
더불어 여성의 육아 참여가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많다는 점 역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광역자치단체별로 제주·강원·전북·충북·대전 등 5곳의 하루 활동 시간이 10시간(600분) 이하로 나타났고 경기·서울·세종 그리고 충남 등이 10.3시간(620분)이 넘었습니다.
지역별로 활동 시간은 수도권 10.2시간(622분), 지방광역시 10시간(608분)을 다소 넘는 수준으로, 수도권이 지방광역시에 비해 14분 많고 이동거리는 3km 적어 수도권 공간 이용이 지방에 비해 콤팩트했습니다.
이동거리는 제주(32.4㎞)가 가장 짧고 대전(52.7㎞)이 가장 길었습니다.
관련해 국토연구원은 제주는 섬 지역 특성상 이동 거리가 전국 평균의 77% 수준, 대전은 경부·호남·대전-당진 등 주요 고속도로가 경유·교차하는 곳이어서 이동 거리가 가장 긴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수도권 19개 신도시 거주자의 이동 거리와 체류시간 분석에선 평촌, 일산, 광교, 운정 등 9개 신도시의 경우 경기도 평균보다 개인의 이동 거리가 짧고 집 밖 활동 시간이 긴 ‘지역외향형’으로 분류됐습니다. 신도시는 사회기반시설과 의료·보건시설 등이 컴팩트하게 집적돼, 다른 지역보다는 멀리 가지 않고도 편의시설을 누릴 수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반면 서울과 거리가 먼 2기 신도시인 위례, 판교, 동탄2는 이동 거리가 길고 집 밖 활동 시간도 긴 광역외향형‘으로 분류됐습니다 이동 거리는 긴데, 집 밖 활동 시간은 짧은 ’광역내향형‘ 신도시는 분당, 중동, 김포한강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1기(분당·일산·평촌·산본·중동)가 2기(운정·위례·고덕국제·동탄1·동탄2·광교·판교·한강·양주)보다 활동시간이 19분 적고 이동거리는 3㎞ 짧았습니다. 1기 신도시가 2기보다 서울과 가깝고 도로나 철도 등 교통 접근성도 좋은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보고서는 스타트업 위드라이브의 개인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는 앱 이용자 2만 4.000명의 2023년 3~5월(수도권 신도시는 2023년 4~6월) 자료를 토대로 분석했습니다.
국토연구원은 축적된 모빌리티 빅데이터 자료를 적절히 분석하면 주거지와 출근지, 출장지 등 다양한 지역의 활동을 파악해 ‘공유인구’ 개념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봤습니다. ‘공유인구’는 사회 인프라 시설을 공유할 수 있는 인접 지역의 인구를 뜻합니다.
관련해 국토연구원은 “인구구성 비율이 높은 40~50대의 이동 거리가 가장 높아 향후 공유인구와 생활인구 개념이 활성화된다면 이들 연령층을 고려한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정책적 검토가 필요가 있다”면서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활용해 개인의 활동정보를 시도 혹은 신도시 등 지역으로 확대한다면 시공간 제약성이 적은 정책자료로써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교통 등 ‘이동’ 소요.. 2시간 30분
경기·서울·세종’ 집 밖 시간 가장↑
‘4050’세대 이동거리 > ‘2030’
지역별, 제주 32.4㎞ “가장 짧아”
하루 24시간, 집 밖에서 보내는 시간이 10시간(600분) 정도로 이 가운데 4분의 1은 도로 등 길 위를 이동하거나 지하철·버스를 이용하며 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나마 사회 인프라 시설이 집적된 신도시의 경우, 이같은 이동 시간이 평균보다 더 짧았습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이동 거리는 길고, 청년층은 상대적으로 짧았습니다.
여성 활동시간은 남성 80% 수준인데다, 이동 거리는 절반 정도에 불과했지만, 그만큼 육아 참여 비중이 높은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9일 국토연구원이 내놓은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통해 본 우리 사회의 활동시·공간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개인이 집을 나서 귀가할 때까지인 ‘활동시간’은 평균 10.3시간으로 이 가운데 이동 시간이 2.5시간으로 집계됐습니다. 하루 중 이동시간이 24.3%로 4분의 1 정도를 차지했다는 의미입니다.
연령대별 활동 시간은 20대부터 50대까지가 9.7시간(580분)에서 9.8시간(586분)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다만 이동 거리는 ‘2030’세대가 31.4㎞, 4050세대가 44.5㎞로 중년층이 더 길었습니다.
특히 20대 이동 거리는 29.4km로 가장 낮았습니다. 이동 거리가 가장 긴 50대의 61% 수준, 60대의 66%에 그쳤고 70대 이상(30.4㎞)보다도 짧았습니다.
이에 대해 국토연구원은 사회생활이 한창인 중년층이 상대적으로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해 이동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더불어 출산율 감소로 청년층이 감소하긴 했지만, 고령화와 경제활동 기간 연장 등으로 인해 교통수요가 일정 기간 증가할수 있는 것으로 봤습니다.
성별로 분류하면 남성 활동 시간·이동 거리는 10.2시간(612분)·49㎞, 여성은 8.8시간(529분)·24㎞로 여성 활동시간이 남성의 86% 그리고 이동 거리는 절반 수준을 나타났습니다.
보고서에선 남성이 여성보다 일상적인 활동 공간이 넓고, 직장 등 활동지와 주거지간 거리가 긴 때문으로 풀이했습니다.
더불어 여성의 육아 참여가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많다는 점 역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광역자치단체별로 제주·강원·전북·충북·대전 등 5곳의 하루 활동 시간이 10시간(600분) 이하로 나타났고 경기·서울·세종 그리고 충남 등이 10.3시간(620분)이 넘었습니다.
지역별로 활동 시간은 수도권 10.2시간(622분), 지방광역시 10시간(608분)을 다소 넘는 수준으로, 수도권이 지방광역시에 비해 14분 많고 이동거리는 3km 적어 수도권 공간 이용이 지방에 비해 콤팩트했습니다.
이동거리는 제주(32.4㎞)가 가장 짧고 대전(52.7㎞)이 가장 길었습니다.
관련해 국토연구원은 제주는 섬 지역 특성상 이동 거리가 전국 평균의 77% 수준, 대전은 경부·호남·대전-당진 등 주요 고속도로가 경유·교차하는 곳이어서 이동 거리가 가장 긴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수도권 19개 신도시 거주자의 이동 거리와 체류시간 분석에선 평촌, 일산, 광교, 운정 등 9개 신도시의 경우 경기도 평균보다 개인의 이동 거리가 짧고 집 밖 활동 시간이 긴 ‘지역외향형’으로 분류됐습니다. 신도시는 사회기반시설과 의료·보건시설 등이 컴팩트하게 집적돼, 다른 지역보다는 멀리 가지 않고도 편의시설을 누릴 수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반면 서울과 거리가 먼 2기 신도시인 위례, 판교, 동탄2는 이동 거리가 길고 집 밖 활동 시간도 긴 광역외향형‘으로 분류됐습니다 이동 거리는 긴데, 집 밖 활동 시간은 짧은 ’광역내향형‘ 신도시는 분당, 중동, 김포한강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1기(분당·일산·평촌·산본·중동)가 2기(운정·위례·고덕국제·동탄1·동탄2·광교·판교·한강·양주)보다 활동시간이 19분 적고 이동거리는 3㎞ 짧았습니다. 1기 신도시가 2기보다 서울과 가깝고 도로나 철도 등 교통 접근성도 좋은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보고서는 스타트업 위드라이브의 개인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는 앱 이용자 2만 4.000명의 2023년 3~5월(수도권 신도시는 2023년 4~6월) 자료를 토대로 분석했습니다.
국토연구원은 축적된 모빌리티 빅데이터 자료를 적절히 분석하면 주거지와 출근지, 출장지 등 다양한 지역의 활동을 파악해 ‘공유인구’ 개념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봤습니다. ‘공유인구’는 사회 인프라 시설을 공유할 수 있는 인접 지역의 인구를 뜻합니다.
관련해 국토연구원은 “인구구성 비율이 높은 40~50대의 이동 거리가 가장 높아 향후 공유인구와 생활인구 개념이 활성화된다면 이들 연령층을 고려한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정책적 검토가 필요가 있다”면서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활용해 개인의 활동정보를 시도 혹은 신도시 등 지역으로 확대한다면 시공간 제약성이 적은 정책자료로써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대출 안 되지, 잔금 없지.. 이사는 무슨”.. 전국 아파트 입주율 ‘뚝’
- ∙ 숨 돌리나 했더니 “김장철 앞둔 배추·무 가격, 다시 상승 조짐“.. ‘금추’의 공포 재현되나?
- ∙ "명백한 영토 도발" 일본 섬마을 ‘독도영유권운동 집회’ 열어 비판 자초
- ∙ '2억 지방세 체납자' 가택 수색하자 현금 다발에 귀금속.. "나눠서 낼게요" 늑장도
- ∙ 휘발유 “곧 1,700원대”.. 유류세 축소·국제 유가 급등, 서민 부담만 ‘이중고’
- ∙ "수혈한 피만 32ℓ" 출산 후 대량 출혈 산모.. 극적 건강 회복
- ∙ 한라산서 라면 먹고 양심 '툭'.. 쓰레기 주웠더니 하루에 1.5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