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평균 수면시간 8시간.. OECD 최하위
수면 질 저하.. “수면 만족도 2명 중 1명 안돼”
국내 수면 산업 시장 규모 10년간 6배 성장해
한국인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최하위 수준으로 집계됐습니다.
건강 관리 트렌드와 함께 ‘숙면’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크게 늘고 특히 코로나 19 이후 면역력을 키우고 건강 관리에 힘쓰는 사람이 증가하면서 숙면에 도움을 주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하는 이른바 ‘슬리포노믹스’ 현상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일 KB금융그룹 KB경영연구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돈 도는 잠, 슬리포노믹스’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슬리포노믹스’는 수면(sleep)과 경제학(Economics) 합성어로, 수면 부족에 시달리는 현대인이 숙면에 도움이 되는 제품에 돈을 투자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2021년 ‘OECD’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7시간 51분으로, 8시간이 안됐습니다. OECD 회원국 평균인 8시간 27분에 비해서도 30분 이상 부족했습니다.
더구나 수면의 질미저 떨어져, 필립스가 2021년 13개국 1만 3,000명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수면 만족도를 보인 한국인은 41%로 전세계 평균인 55% 대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코로나 확산 이후에 면역력을 키우고 건강 관리에 힘쓰는 사람이 늘면서 수면에 대한 관심이 증가세로 나타났습니다.
KPR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가 수면에 관한 245만 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3년 상반기 기준 수면 언급량이 158만 2,188건으로 전년(137만 4,503건) 대비 15%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관련 산업 규모도 커져, 한국수면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슬리포노믹스 시장 규모는 2011년 4,800억 원에서 2021년 3조 원으로 10년간 6배 이상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글로벌 슬리포노믹스 시장은 2026년 40조 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 기술 발달에 따라 수면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이나 수면 건강에 보탬이 되는 기기 등 슬립테크에 대한 관심도 증가세로 나타났습니다.
실제 지난해 소비자가전전시회(CES)에서 선보인 슬립테크 전용관에선 반지, 헤어밴드, 마스크, 안대 등 수면 건강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가 30종 이상 출품돼 눈길을 모았습니다.
전통적인 수면 사업 영역도 확장세로 매트리스 가격이 최대 12억 원을 웃도는 침구 브랜드 고객층은 고소득 종사자가 대부분이었던게, 최근 직장인이나 예비 신혼부부 등으로 고객층이 확대되는 추세로 나타났습니다.
또 호텔업계 최초로 침구류 사업에 진출한 특급호텔 침구 브랜드의 경우엔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 전년 대비 36% 가량의 실적이 성장세를 보이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주요 빅테크 기업들도 슬리포노믹스를 차세대 먹거리로 선정해 시장 선점에 나서는 추세로, 삼성이나 애플 등도 이를 겨냥한 미래 전략 수립이나 수면 관련 시스템을 도입 중으로 파악됐습니다.
나아가 보고서는 현대인의 고질병인 수면 장애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시장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국내 수면 장애 환자는 2018년 85만 500명에서 2022년 109만 8,000명으로 4년간 28.5% 늘었습니다.
KB경영연구소 관계자는 “슬리포노믹스 시장은 그동안 의료기기 기업과 스타트업 중심으로 제품 개발이 이뤄졌지만 앞으로 이종 분야 기업 진출과 협력이 활발해질 것”이라며 “금융사들의 고객 수면 데이터 수집·활용을 통한 슬리포노믹스 시장 진출도 증가할 전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수면 질 저하.. “수면 만족도 2명 중 1명 안돼”
국내 수면 산업 시장 규모 10년간 6배 성장해
한국인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최하위 수준으로 집계됐습니다.
건강 관리 트렌드와 함께 ‘숙면’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크게 늘고 특히 코로나 19 이후 면역력을 키우고 건강 관리에 힘쓰는 사람이 증가하면서 숙면에 도움을 주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하는 이른바 ‘슬리포노믹스’ 현상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일 KB금융그룹 KB경영연구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돈 도는 잠, 슬리포노믹스’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슬리포노믹스’는 수면(sleep)과 경제학(Economics) 합성어로, 수면 부족에 시달리는 현대인이 숙면에 도움이 되는 제품에 돈을 투자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2021년 ‘OECD’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7시간 51분으로, 8시간이 안됐습니다. OECD 회원국 평균인 8시간 27분에 비해서도 30분 이상 부족했습니다.
더구나 수면의 질미저 떨어져, 필립스가 2021년 13개국 1만 3,000명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수면 만족도를 보인 한국인은 41%로 전세계 평균인 55% 대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코로나 확산 이후에 면역력을 키우고 건강 관리에 힘쓰는 사람이 늘면서 수면에 대한 관심이 증가세로 나타났습니다.
KPR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가 수면에 관한 245만 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3년 상반기 기준 수면 언급량이 158만 2,188건으로 전년(137만 4,503건) 대비 15%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관련 산업 규모도 커져, 한국수면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슬리포노믹스 시장 규모는 2011년 4,800억 원에서 2021년 3조 원으로 10년간 6배 이상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글로벌 슬리포노믹스 시장은 2026년 40조 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 기술 발달에 따라 수면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이나 수면 건강에 보탬이 되는 기기 등 슬립테크에 대한 관심도 증가세로 나타났습니다.
실제 지난해 소비자가전전시회(CES)에서 선보인 슬립테크 전용관에선 반지, 헤어밴드, 마스크, 안대 등 수면 건강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가 30종 이상 출품돼 눈길을 모았습니다.
전통적인 수면 사업 영역도 확장세로 매트리스 가격이 최대 12억 원을 웃도는 침구 브랜드 고객층은 고소득 종사자가 대부분이었던게, 최근 직장인이나 예비 신혼부부 등으로 고객층이 확대되는 추세로 나타났습니다.
또 호텔업계 최초로 침구류 사업에 진출한 특급호텔 침구 브랜드의 경우엔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 전년 대비 36% 가량의 실적이 성장세를 보이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주요 빅테크 기업들도 슬리포노믹스를 차세대 먹거리로 선정해 시장 선점에 나서는 추세로, 삼성이나 애플 등도 이를 겨냥한 미래 전략 수립이나 수면 관련 시스템을 도입 중으로 파악됐습니다.
나아가 보고서는 현대인의 고질병인 수면 장애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시장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국내 수면 장애 환자는 2018년 85만 500명에서 2022년 109만 8,000명으로 4년간 28.5% 늘었습니다.
KB경영연구소 관계자는 “슬리포노믹스 시장은 그동안 의료기기 기업과 스타트업 중심으로 제품 개발이 이뤄졌지만 앞으로 이종 분야 기업 진출과 협력이 활발해질 것”이라며 “금융사들의 고객 수면 데이터 수집·활용을 통한 슬리포노믹스 시장 진출도 증가할 전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