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독서량 3.9권.. 2년 전比 0.6권↓
문체부 ‘2023년 국민 독서실태’ 발표
시간 없어 > 영상매체 이용 등 때문
소득 적을 수록 독서율↓“최대 5배 차”
“인터넷 검색, 소셜 미디어 등 익숙”
해가 갈수록 독서량이 점점 감소세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성인들의 경우는, 10명 중 6명 정도가 1년 간 책을 단 1권도 읽지 않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저조한 성인 독서율 못지 않게, 연령대와 소득 수준에 따른 격차도 확연했습니다
최근 취업률이 증가하는 고령층 그리고 청년, 그리고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간에 격차가 커 60대는 연간 10명 중 책을 읽는 경우가 2명이 채 안됐고, 저소득층 역시 10명 중 1명 수준에 그쳤습니다.
초·중·고교 학생은 독서율과 독서량이 늘었습니다.
18일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3 국민 독서실태조사’ 따르면 지난해(2022년 9월~2023년 8월) 성인의 연간 종합독서율은 43.0%에 그쳤습니다. 직전 조사 시점인 2021년 대비 4.5%포인트(p) 줄어든 수준으로, 1994년 독서 실태조사(격년)를 실시한 이래 가장 수치가 낮았습니다. ‘종합독서율’은 일반 도서(종이책, 전자책, 소리책) 단 한 권이라도 읽거나 들은 사람의 비율을 뜻합니다.
연간 종합독서량은 3.9권으로 전년에 비해 0.6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종합독서량’은 읽거나 들은 일반도서 권수를 뜻합니다.
성인 연간 종합독서율은 처음 조사가 이뤄진 1994년까지만 해도 86.8%에 달했습니다.
그런데 전자책이 통계에 포함된 2013년(72.2%) 이후부터 줄곧 하락세를 보이면서 매번 역대 최저 기록을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 60살 이상 노년층 종합독서율이 15.7%로, 2021년(23.8%) 대비 크게 감소했습니다. 1년 책을 읽는 노년층이 10명 중 2명이 안된다는 얘기입니다.
20대(19∼29살)는 74.5%로 조사 연령대 중에선 가장 독서율이 높았지만, 이들 역시도 직전 조사와 비교해 3.6%p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0대와 40대 종합독서율은 각각 68.0%, 47.9%였습니다.
특히 소득에 따라서도 독서율이 큰 격차를 보였습니다.
월 평균 소득이 500만 원 이상인 고소득층의 경우 독서율은 54.7%(2명 중1명)인 반면 월 소득 200만 원 이하인 경우엔 독서율이 9.8%(10명 중 1명)에 그쳤습니다.
매체별로는 전자책과 오디오북을 제외한 종이책 독서율이 32.3%로, 성인 10명 중 7명이 종이책을 1년에 1권도 읽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성인은 평일 하루 평균 18.5분을 책 읽기에 할애했고 휴일 25.0분을 썼습니다.
독서 장애를 주는 요인은 ‘일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가 24.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스마트폰이나 게임 등 책 이외의 매체를 이용해서’(23.4%), ‘책 읽는 습관이 들지 않아서’(11.3%)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초·중·고교생 종합독서율은 95.8%로, 2021년 대비 4.4%p 올랐습니다.
연간 종합독서량은 36.0권으로, 같은 기간 대비 1.6권 늘었습니다. 독서에 쓰는 시간은 평일 하루 평균 82.6분, 휴일은 89.0분으로 집계됐습니다.
독서 범위에 대해선 응답 학생의 49.6%가 ‘만화책 보기’도 독서에 포함된다고 봤습니다.
성인은 67.7%는 ‘웹소설 읽기’를 독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독서 범위에 포함되는 항목(종이책, 전자책, 오디오북, 웹소설)을 제외할 때 ‘종이신문 읽기’(30.7%), ‘만화책 보기·읽기’(27.1%) 비중이 높았습니다. 그 외에 지난 1년간 경험한 읽기 관련 주요 활동은 ‘인터넷 검색 정보 읽기’(77.0%), ‘문자 정보 읽기’(76.5%), ‘소셜 미디어 글 읽기’(42.0%)가 주를 이뤘습니다. 이와 관련해 문체부는 ‘짧은 단위의 글 읽기’에 익숙해진 경향을 보이는 정황적인 증거로 해석했습니다.
독서실태조사는 지난해 10월과 11월 만 19살 이상 5,000명과 초·중·고교생 2,4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체부 ‘2023년 국민 독서실태’ 발표
시간 없어 > 영상매체 이용 등 때문
소득 적을 수록 독서율↓“최대 5배 차”
“인터넷 검색, 소셜 미디어 등 익숙”

해가 갈수록 독서량이 점점 감소세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성인들의 경우는, 10명 중 6명 정도가 1년 간 책을 단 1권도 읽지 않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저조한 성인 독서율 못지 않게, 연령대와 소득 수준에 따른 격차도 확연했습니다
최근 취업률이 증가하는 고령층 그리고 청년, 그리고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간에 격차가 커 60대는 연간 10명 중 책을 읽는 경우가 2명이 채 안됐고, 저소득층 역시 10명 중 1명 수준에 그쳤습니다.
초·중·고교 학생은 독서율과 독서량이 늘었습니다.
18일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3 국민 독서실태조사’ 따르면 지난해(2022년 9월~2023년 8월) 성인의 연간 종합독서율은 43.0%에 그쳤습니다. 직전 조사 시점인 2021년 대비 4.5%포인트(p) 줄어든 수준으로, 1994년 독서 실태조사(격년)를 실시한 이래 가장 수치가 낮았습니다. ‘종합독서율’은 일반 도서(종이책, 전자책, 소리책) 단 한 권이라도 읽거나 들은 사람의 비율을 뜻합니다.
연간 종합독서량은 3.9권으로 전년에 비해 0.6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종합독서량’은 읽거나 들은 일반도서 권수를 뜻합니다.
성인 연간 종합독서율은 처음 조사가 이뤄진 1994년까지만 해도 86.8%에 달했습니다.
그런데 전자책이 통계에 포함된 2013년(72.2%) 이후부터 줄곧 하락세를 보이면서 매번 역대 최저 기록을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 60살 이상 노년층 종합독서율이 15.7%로, 2021년(23.8%) 대비 크게 감소했습니다. 1년 책을 읽는 노년층이 10명 중 2명이 안된다는 얘기입니다.
20대(19∼29살)는 74.5%로 조사 연령대 중에선 가장 독서율이 높았지만, 이들 역시도 직전 조사와 비교해 3.6%p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0대와 40대 종합독서율은 각각 68.0%, 47.9%였습니다.
특히 소득에 따라서도 독서율이 큰 격차를 보였습니다.
월 평균 소득이 500만 원 이상인 고소득층의 경우 독서율은 54.7%(2명 중1명)인 반면 월 소득 200만 원 이하인 경우엔 독서율이 9.8%(10명 중 1명)에 그쳤습니다.
매체별로는 전자책과 오디오북을 제외한 종이책 독서율이 32.3%로, 성인 10명 중 7명이 종이책을 1년에 1권도 읽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성인은 평일 하루 평균 18.5분을 책 읽기에 할애했고 휴일 25.0분을 썼습니다.
독서 장애를 주는 요인은 ‘일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가 24.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스마트폰이나 게임 등 책 이외의 매체를 이용해서’(23.4%), ‘책 읽는 습관이 들지 않아서’(11.3%)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초·중·고교생 종합독서율은 95.8%로, 2021년 대비 4.4%p 올랐습니다.
연간 종합독서량은 36.0권으로, 같은 기간 대비 1.6권 늘었습니다. 독서에 쓰는 시간은 평일 하루 평균 82.6분, 휴일은 89.0분으로 집계됐습니다.
독서 범위에 대해선 응답 학생의 49.6%가 ‘만화책 보기’도 독서에 포함된다고 봤습니다.
성인은 67.7%는 ‘웹소설 읽기’를 독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독서 범위에 포함되는 항목(종이책, 전자책, 오디오북, 웹소설)을 제외할 때 ‘종이신문 읽기’(30.7%), ‘만화책 보기·읽기’(27.1%) 비중이 높았습니다. 그 외에 지난 1년간 경험한 읽기 관련 주요 활동은 ‘인터넷 검색 정보 읽기’(77.0%), ‘문자 정보 읽기’(76.5%), ‘소셜 미디어 글 읽기’(42.0%)가 주를 이뤘습니다. 이와 관련해 문체부는 ‘짧은 단위의 글 읽기’에 익숙해진 경향을 보이는 정황적인 증거로 해석했습니다.
독서실태조사는 지난해 10월과 11월 만 19살 이상 5,000명과 초·중·고교생 2,4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