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이동 감소, 도시 취업 증가 등 영향
귀농 1인 가구 76.8% “역대 최고” 기록
귀촌 사유 ‘직업’ > ‘가족’ > ‘주택’ 등 순
청년 귀촌 비중↑.. “10명 중 4명 이상”
귀촌 인구가 역대 최저치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귀농과 귀어까지 살펴보면 2년 내리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부동산 경기 등 침체로 인해 국내 인구이동자 수가 49년 만에 최저를 기록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귀농이나 귀어·촌 흐름을 주도해온 60대 이상 고령층의 도시 취업 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으로 풀이됩니다.
귀농한 4가구 중 3가구가 ‘나홀로’ 정착해 살았습니다. 머릿 속으로는 도시에서 직장생활을 하다 은퇴 이후 배우자와 함께 농촌에서 노년을 보냈지만, 정작 현실에선 혼자 거주지를 옮겨 산다는 얘기로 해석됩니다. 여전히 ‘5060’세대에 ‘1인 가구’로 이주하는 경우가 허다했습니다.
■ 귀촌 “역대 최저”.. 귀농·귀어 감소세 이어가
통계청은 2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귀농어·귀촌인 통계’를 발표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촌인은 모두 40만 93명으로 전년 대비 5.0% 감소했습니다. 2013년 통계 공표 이래 최저치로, 귀촌 가구 수 역시도 전년 대비 3.9% 줄어든 30만 6,441가구에 그쳤습니다.
귀농인과 귀어인도 각각 2022년보다 16.7%, 26.7%씩 감소한 1만 540명, 750명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귀농인이 1만 명대 초반, 귀어인이 800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모두 2013년(귀농인 1만 312명·귀어인 690명) 이후 10년 만으로 나타났습니다.
귀농 가구는 1만 307가구로 전년(1만 2,411가구)보다 2,104가구(-17%) 줄었습니다. 귀농 가구 수는 2020년, 2021년 증가했다가 2022년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2020년 귀농 가구 수는 9.3%, 2021년 14.9% 증가했다 2022년 13.5% 줄고 2023년 17%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귀어가구는 716가구로 전년(951가구)보다 24.7% 감소한 235가구로 조사됐습니다.
■ “귀농 흐름 주도 60대↑ 감소세”
이처럼 농·어촌으로 향한 인구가 크게 줄어든 것은 국내 인구 이동 자체가 줄어든데서 원인을 찾고 있습니다. 2023년 국내 인구 이동자는 612만 9,000명으로 1974년(529만 8,000명) 이후 49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습니다.
도시 내 고령 취업자가 증가한 것도 이같은 추이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귀농의 경우, 전반적인 흐름을 주도하는 60대 이상 비중이 약화되면서 귀농 규모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고용 동향에 따르면 60대 이상 연령층 고용률은 전년 대비 1.0%포인트(p) 증가한 45.5%로 집계됐습니다. 산업별로 제조업 부분에서 취업률이 9.4%에서 9.6%, 사회복지업은 13.2%에서 13.7%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을 정도입니다.
반면 이들의 농림어업에서 비중은 2022년 18.5%에서 2023년 17.6%로 소폭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60대 이상 고령층 비중이 감소한 반면 상대적으로 20대와 30대 청년층 비중은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난해 귀촌인 가운데 청년층 비중은 20대가 24.7%, 30대 21.8% 등 모두 46.5%로 전년보다 1%p 늘었습니다. 귀촌인 10명 중 4명 이상이 청년층으로 해석되는 대목입니다.
■ 1인 가구 비중 상당수.. 귀농 ‘30대’ 비중↑
가구 특성별로 가장 많은 유형은 1인 가구로 나타났습니다.
귀농 가구의 경우 76.8%가 1인 가구, 귀어 가구 가운데 1인 가구의 비중은 80.3%, 귀촌 가구 중에서는 78.5%에 달해 대부분이 ‘나홀로 이주’를 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귀농 가구의 평균 가구원 수는 1.33명에 평균 연령은 56.3살로 50대가 31.8%, 60대가 37.4%를 나타났습니다. 귀농 가구주 65.5%가 남성이었습니다. 50대와 60대가 모두 30%대에 육박하는 등 ‘5060’세대만 69.2%에 달해 전체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귀어인 상황도 비슷했습니다. 귀어 가구는 1인 가구 비중이 더 높았고 평균 가구원 수는 1.26명으로, 가구주 평균 연령은 52.9살, 연령대로 50대가 33.4%로 가장 많았습니다. 60대가 28.8%로 뒤를 이었습니다. ‘5060’ 비중은 62.2%로 절반을 넘었습니다.
반면 귀촌 가구는 평균 가구원 수 1.31명으로 가구주 평균연령이 45.4살로 귀농이나 귀어 가구에 비해 젊었습니다. 30대가 22.4%로 가장 많고 20대 이하(20.9%), 이어 50대(17.8%)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30대 이하 인구가 46.6%으로 절반에 육박했습니다.
다만 30대 이하 청년 인구만 놓고 보면 전체 귀농 인구 가운데 30대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9.4%에서 10.8%로 소폭 높아진 점은 주목할 부분으로 꼽혔습니다.
청년 귀어인이 13.2%에서 12.8%로 소폭 감소한 것과는 반대 흐름으로,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정부의 청년농에 대한 지원 정책 효과 등이 반영된 결과로 평가했습니다.
■ “10명 중 4명” 수도권서 이동.. 직업·주택 때문 ‘귀촌’
귀농 전 거주지역의 구성비는 경기 21.7%, 서울 15.2%, 대구 8.7% 등 순으로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서 이동한 귀농인 구성비가 전체 42.3%(4463명)를 차지했습니다.
귀농인 가운데 시·도를 넘어 이동한 귀농인은 7,424명, 시·도 내에서 이동한 귀농인은 3,116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시군별로 귀농인 규모가 높게 나타난 상위 5개 지역은 경북 의성군, 경북 상주시, 경기 화성시, 경북 영천시, 제주 제주시 등이었습니다.
또 귀촌 전 거주지역의 구성비는 경기 25.4%, 서울 13.1%, 경남 7.2% 등 순으로 많았고, 귀농과 마찬가지로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서 이동한 귀촌인 구성비가 전체 42.4%로 나타났습니다.
귀촌인 중 시·도를 넘어 이동한 귀촌인은 53.6%, 시·도내 이동한 귀촌인은 46.4%로 나타났습니다. 시군별 귀촌인 규모가 높은 상위 5개 지역은 경기 화성시, 충남 아산시, 경기 남양주시, 충북 청주시, 경기 김포시 등이었습니다.
귀촌 가구의 주 전입 사유는 ‘직업’ 때문이 34.5%(10만 5,685가구), ‘가족’(7만 3,768가구), ‘주택’(7만 3,721가구) 등으로 조사됐습니다. 직업이나 주택, 가족 때문에 귀촌하는 경우가 사실상 대부분인 셈입니다.
농식품부는 “도시지역의 실업자 수가 감소한 것도 귀농어·귀촌 인구가 줄어든 한 요인”이라면서 “굳이 ‘주소 이전’이 없어도 농촌 체험(농촌살기·농막)을 할 수 있는 수요가 많아진 것도 귀농·귀촌 인구가 줄어든 데에 영향을 끼쳤다”라고 해석했습니다.
다만 “인구감소와 도시 고령 취업자 증가 등이 귀농·귀촌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앞으로 2차 베이비부머(1968~1974년생) 은퇴와 농촌지향 수요 등의 지속으로 귀농·귀촌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귀농 1인 가구 76.8% “역대 최고” 기록
귀촌 사유 ‘직업’ > ‘가족’ > ‘주택’ 등 순
청년 귀촌 비중↑.. “10명 중 4명 이상”
귀촌 인구가 역대 최저치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귀농과 귀어까지 살펴보면 2년 내리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부동산 경기 등 침체로 인해 국내 인구이동자 수가 49년 만에 최저를 기록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귀농이나 귀어·촌 흐름을 주도해온 60대 이상 고령층의 도시 취업 등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으로 풀이됩니다.
귀농한 4가구 중 3가구가 ‘나홀로’ 정착해 살았습니다. 머릿 속으로는 도시에서 직장생활을 하다 은퇴 이후 배우자와 함께 농촌에서 노년을 보냈지만, 정작 현실에선 혼자 거주지를 옮겨 산다는 얘기로 해석됩니다. 여전히 ‘5060’세대에 ‘1인 가구’로 이주하는 경우가 허다했습니다.
■ 귀촌 “역대 최저”.. 귀농·귀어 감소세 이어가
통계청은 2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귀농어·귀촌인 통계’를 발표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촌인은 모두 40만 93명으로 전년 대비 5.0% 감소했습니다. 2013년 통계 공표 이래 최저치로, 귀촌 가구 수 역시도 전년 대비 3.9% 줄어든 30만 6,441가구에 그쳤습니다.
귀농인과 귀어인도 각각 2022년보다 16.7%, 26.7%씩 감소한 1만 540명, 750명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귀농인이 1만 명대 초반, 귀어인이 800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모두 2013년(귀농인 1만 312명·귀어인 690명) 이후 10년 만으로 나타났습니다.
귀농 가구는 1만 307가구로 전년(1만 2,411가구)보다 2,104가구(-17%) 줄었습니다. 귀농 가구 수는 2020년, 2021년 증가했다가 2022년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2020년 귀농 가구 수는 9.3%, 2021년 14.9% 증가했다 2022년 13.5% 줄고 2023년 17%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귀어가구는 716가구로 전년(951가구)보다 24.7% 감소한 235가구로 조사됐습니다.
■ “귀농 흐름 주도 60대↑ 감소세”
이처럼 농·어촌으로 향한 인구가 크게 줄어든 것은 국내 인구 이동 자체가 줄어든데서 원인을 찾고 있습니다. 2023년 국내 인구 이동자는 612만 9,000명으로 1974년(529만 8,000명) 이후 49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습니다.
도시 내 고령 취업자가 증가한 것도 이같은 추이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귀농의 경우, 전반적인 흐름을 주도하는 60대 이상 비중이 약화되면서 귀농 규모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고용 동향에 따르면 60대 이상 연령층 고용률은 전년 대비 1.0%포인트(p) 증가한 45.5%로 집계됐습니다. 산업별로 제조업 부분에서 취업률이 9.4%에서 9.6%, 사회복지업은 13.2%에서 13.7%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을 정도입니다.
반면 이들의 농림어업에서 비중은 2022년 18.5%에서 2023년 17.6%로 소폭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60대 이상 고령층 비중이 감소한 반면 상대적으로 20대와 30대 청년층 비중은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난해 귀촌인 가운데 청년층 비중은 20대가 24.7%, 30대 21.8% 등 모두 46.5%로 전년보다 1%p 늘었습니다. 귀촌인 10명 중 4명 이상이 청년층으로 해석되는 대목입니다.
■ 1인 가구 비중 상당수.. 귀농 ‘30대’ 비중↑
가구 특성별로 가장 많은 유형은 1인 가구로 나타났습니다.
귀농 가구의 경우 76.8%가 1인 가구, 귀어 가구 가운데 1인 가구의 비중은 80.3%, 귀촌 가구 중에서는 78.5%에 달해 대부분이 ‘나홀로 이주’를 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귀농 가구의 평균 가구원 수는 1.33명에 평균 연령은 56.3살로 50대가 31.8%, 60대가 37.4%를 나타났습니다. 귀농 가구주 65.5%가 남성이었습니다. 50대와 60대가 모두 30%대에 육박하는 등 ‘5060’세대만 69.2%에 달해 전체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귀어인 상황도 비슷했습니다. 귀어 가구는 1인 가구 비중이 더 높았고 평균 가구원 수는 1.26명으로, 가구주 평균 연령은 52.9살, 연령대로 50대가 33.4%로 가장 많았습니다. 60대가 28.8%로 뒤를 이었습니다. ‘5060’ 비중은 62.2%로 절반을 넘었습니다.
반면 귀촌 가구는 평균 가구원 수 1.31명으로 가구주 평균연령이 45.4살로 귀농이나 귀어 가구에 비해 젊었습니다. 30대가 22.4%로 가장 많고 20대 이하(20.9%), 이어 50대(17.8%)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30대 이하 인구가 46.6%으로 절반에 육박했습니다.
다만 30대 이하 청년 인구만 놓고 보면 전체 귀농 인구 가운데 30대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9.4%에서 10.8%로 소폭 높아진 점은 주목할 부분으로 꼽혔습니다.
청년 귀어인이 13.2%에서 12.8%로 소폭 감소한 것과는 반대 흐름으로,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정부의 청년농에 대한 지원 정책 효과 등이 반영된 결과로 평가했습니다.
■ “10명 중 4명” 수도권서 이동.. 직업·주택 때문 ‘귀촌’
귀농 전 거주지역의 구성비는 경기 21.7%, 서울 15.2%, 대구 8.7% 등 순으로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서 이동한 귀농인 구성비가 전체 42.3%(4463명)를 차지했습니다.
귀농인 가운데 시·도를 넘어 이동한 귀농인은 7,424명, 시·도 내에서 이동한 귀농인은 3,116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시군별로 귀농인 규모가 높게 나타난 상위 5개 지역은 경북 의성군, 경북 상주시, 경기 화성시, 경북 영천시, 제주 제주시 등이었습니다.
또 귀촌 전 거주지역의 구성비는 경기 25.4%, 서울 13.1%, 경남 7.2% 등 순으로 많았고, 귀농과 마찬가지로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서 이동한 귀촌인 구성비가 전체 42.4%로 나타났습니다.
귀촌인 중 시·도를 넘어 이동한 귀촌인은 53.6%, 시·도내 이동한 귀촌인은 46.4%로 나타났습니다. 시군별 귀촌인 규모가 높은 상위 5개 지역은 경기 화성시, 충남 아산시, 경기 남양주시, 충북 청주시, 경기 김포시 등이었습니다.
귀촌 가구의 주 전입 사유는 ‘직업’ 때문이 34.5%(10만 5,685가구), ‘가족’(7만 3,768가구), ‘주택’(7만 3,721가구) 등으로 조사됐습니다. 직업이나 주택, 가족 때문에 귀촌하는 경우가 사실상 대부분인 셈입니다.
농식품부는 “도시지역의 실업자 수가 감소한 것도 귀농어·귀촌 인구가 줄어든 한 요인”이라면서 “굳이 ‘주소 이전’이 없어도 농촌 체험(농촌살기·농막)을 할 수 있는 수요가 많아진 것도 귀농·귀촌 인구가 줄어든 데에 영향을 끼쳤다”라고 해석했습니다.
다만 “인구감소와 도시 고령 취업자 증가 등이 귀농·귀촌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앞으로 2차 베이비부머(1968~1974년생) 은퇴와 농촌지향 수요 등의 지속으로 귀농·귀촌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내년부터 출산 가정 산후조리비 40만원 추가 지원
- ∙︎ [제주날씨] 강풍 몰아쳐 기온 뚝.. 한라산에 눈 5cm 더 온다
- ∙︎ 라면으로 크리스마스트리를?...이색기부 눈길
- ∙︎ 탄핵 정국 속 치솟는 물가.. “이러다 뭘 사나?” 장바구니 대란 예고
- ∙︎ “동짓날 봉은사는, 제주의 감귤 향기로 물들어”.. 도심 속 사찰에서 펼쳐진 섬의 선물 “감귤 그리고 나눔의 조화”
- ∙︎ “탄핵 후 첫 주말, 2만 명 거리로”.. ‘윤석열 퇴진’ 함성 전국 강타
- ∙︎ “그토록 눈 감지 못한 밤 이어졌건만, 산타는 찾아온다네”.. 한반도 밤하늘, 산타 찾아볼까?
- ∙ [영상] "모텔서 쉬라고" 처음 본 만취 여성 끌고 간 30대 실형
- ∙ “내란을 국민이 용납하겠나”.. 윤석열 탄핵 정국, 이재명 “헌재 신속 심판이 해법”
- ∙ 애들 장난인 줄 알았더니.. 상품 숨겼다가 바코드 찢고 '슬쩍'
- ∙ 어묵 1개 5000원?.. 집회 현장 폭리 노점상 "선 넘었다" 뭇매
- ∙ “저를 지키지 마세요, 제가 여러분을 지키겠습니다”.. 146일 만에 사퇴한 한동훈, 보수의 미래에 던진 화두
- ∙ 매일우유 '갈색 액체', 양잿물 성분...식약처, 영업정지 요청
- ∙ "계엄맛 내란버거 세트요" 롯데리아 계엄 작전 모의 '풍자 봇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