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 구간 개선 사업.. 차량 속도 조정
전선 지중화·대각선 횡단보도 등도 계획
주민경청회 개최.. 道 "의견 최대한 반영"
벚꽃길로 유명한 제주시 전농로가 보행 친화적 도로로 개선됩니다.
오늘(4일) 제주자치도에 따르면 전농로 약 1.07㎞ 구간의 차량 속도가 시속 20㎞로 제한됩니다.
이는 '15분 도시 제주' 시범지구 사업의 하나인 전농로 개선 사업에 따른 것으로, 전선 지중화와 녹지공간 확보,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등도 계획에 포함됩니다.
이에 따라 전농로 주변에 위치한 중앙여중, 중앙초, 삼성초 등 3개 학교 학생들의 안전한 통학환경 조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제주자치도는 주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 이날 제주시 삼도1동주민센터에서 전농로 개선 사업 관련 주민경청회를 열었습니다.
이번 경청회에서는 주민 의견 수렴과 국내외 보행자우선도로 사례에 대한 설명이 이뤄졌습니다.
특히 주민들이 우려의 뜻을 나타낸 차량 통제와 차로 축소, 일방통행 등과 관련한 소통의 시간도 마련됐습니다.
제주자치도는 이번 사업이 도시계획 패러다임을 자동차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전환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창민 도시균형추진단장은 "주민 의견을 최대한 반영할 계획"이라며 "벚꽃축제 때만 일시적으로 활성화되는 전농로를 개선해 제주시 원도심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말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선 지중화·대각선 횡단보도 등도 계획
주민경청회 개최.. 道 "의견 최대한 반영"

전농로 자료사진
벚꽃길로 유명한 제주시 전농로가 보행 친화적 도로로 개선됩니다.
오늘(4일) 제주자치도에 따르면 전농로 약 1.07㎞ 구간의 차량 속도가 시속 20㎞로 제한됩니다.
이는 '15분 도시 제주' 시범지구 사업의 하나인 전농로 개선 사업에 따른 것으로, 전선 지중화와 녹지공간 확보,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등도 계획에 포함됩니다.
이에 따라 전농로 주변에 위치한 중앙여중, 중앙초, 삼성초 등 3개 학교 학생들의 안전한 통학환경 조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전농로 개선 사업이 이뤄지는 구간
제주자치도는 주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 이날 제주시 삼도1동주민센터에서 전농로 개선 사업 관련 주민경청회를 열었습니다.
이번 경청회에서는 주민 의견 수렴과 국내외 보행자우선도로 사례에 대한 설명이 이뤄졌습니다.
특히 주민들이 우려의 뜻을 나타낸 차량 통제와 차로 축소, 일방통행 등과 관련한 소통의 시간도 마련됐습니다.
제주자치도는 이번 사업이 도시계획 패러다임을 자동차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전환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창민 도시균형추진단장은 "주민 의견을 최대한 반영할 계획"이라며 "벚꽃축제 때만 일시적으로 활성화되는 전농로를 개선해 제주시 원도심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말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관광 줄고 소비는 식었다” 만들어도 팔 곳 없어.. 제주 산업 “이러다 무너진다”
- ∙︎ “헌재는 말이 없고, 시간만 흐른다”.. 탄핵심판은 멈췄고, 정치권 ‘4월 18일’로 치닫는다
- ∙︎ 尹 탄핵 선고 늦추라던 與, "헌재 결단 내려라" 돌연 선회.. 왜?
- ∙︎ 오영훈 "비싼 제주관광?.. 1인 10만 원 갈치구이가 대표 사례"
- ∙︎ "아메리카노 200원 인상".. 원두값에 저가 커피 10년 만에 굴복
- ∙︎ 침묵의 방패, '임명 보류' 고수하는 한덕수.. 野는 “재탄핵” 벼르며 D-데드라인 압박
- ∙︎ 경찰관은 119, 소방관은 112로.. 사건 초기에 진화한다
- ∙ 비박 적발에 수사했더니.. 산방산 무단 입산 성공 후기 버젓이
- ∙ “기부 취소합니다”.. 산불 피해마저 갈라진 SNS, 애도보다 진영 싸움
- ∙ “총탄핵? 이건 쿠데타”., 권성동, 이재명·김어준 포함 72명 ‘내란죄’ 고발 예고
- ∙ “SNS에도, 논평에도 없더니”.. 산불 현장에 매일 나오는 사람 ‘하나’ 있었다
- ∙ “전국은 움직였다, 하지만 제주는 떠났다”.. 19개월째 ‘인구 빠지는 섬’, 지금 “제주는 비워지는 중”
- ∙ 이재명, 산불현장서 또 위협.. “암살 제보 이어 실물 접촉까지, 경호는 뚫렸다”
- ∙ 산불 피해견 사료 도난..."새벽 6시 청년 대여섯 명이 실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