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1,000명 투입 예고 속.. 경호처 방어 태세 강화
관저 주변 긴장 최고조.. 찬반 집회 속 시민들 몰려
정치권도 책임 공방에 갈등 격화.. 지휘부 공백 속
내부 동요 우려.. 대치 장기화, 경호처 불리할 가능성↑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재집행을 앞두고 대통령 경호처가 고도의 긴장 속에서 강경 대응 기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김성훈 경호차장을 중심으로 내부 결속을 시도하고 있는 모습이지만, 자칫 지휘부 공백에 따른 불안감과 내부 동요 가능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 차장은 11일 경찰의 소환조사 요구를 거부하며 “중차대한 시기에 경호 임무에서 물러설 수 없다”라고 못 박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는 영장 집행 시도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 수위 높이는 경찰 압박.. 경호처의 대응은?
경찰은 김성훈 차장을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체포할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경호처의 지휘 체계를 흔들고, 영장 집행에 대한 물리적 저항을 약화시키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이에 맞서 경호처는 “법과 원칙에 따라 대통령 경호 임무에 만전을 기하겠다”라며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호처는 대통령경호법에 따른 정당한 임무 수행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체포영장 집행이 국가 원수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 내부 결속과 균열 사이.. 경호처 ‘시험대’
박종준 전 경호처장의 사퇴 이후 김성훈 차장이 지휘하는 경호처는 보다 강경한 대응 기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휘부 공백 상황이 길어지면서 내부적으로 불안감이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일각에서는 경호처 내부에서 체포영장 집행에 대한 대응 방향을 두고 의견 충돌이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박 전 처장은 사퇴 전 대통령 변호인단에게 타협안을 제안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 한남동 관저 주변 긴장 고조.. 탄핵 찬반 세력 대치
주말, 한남동 대통령 관저 주변은 차가운 날씨 속에서도 수백 명의 시민들로 붐비는 상황입니다. 탄핵 반대 세력은 “대통령 안전이 우선이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오전부터 집회를 이어가고 있으며, 방한용품을 챙겨와 장기전을 준비하는 모습입니다.
반면 탄핵 찬성 세력은 약 200미터 떨어진 지점에서 집회를 열고 ‘즉각 체포’라는 문구 등이 적힌 손팻말을 흔들며 체포영장 집행을 촉구하면서 대립 양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장에는 경찰 수백 명이 배치되어 두 세력 간 충돌을 방지하고 있고, 경호처 역시 출입구에 철조망과 쇠사슬을 설치하고 경계 태세를 한층 강화하고 나섰습니다. 관련해 한 시민은 “이런 상황이 벌어지리라 상상도 못 했다. 국민으로서 매우 불안하다”라는 말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 정면 충돌 우려.. 경찰 1,000명 대 경호처 700명
경찰은 이번 체포영장 집행을 위해 최대 1,000명의 병력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형사기동대와 광역수사단 소속 수사관들이 대거 투입될 예정이며, 강력범죄 진압 경험이 풍부한 베테랑 수사관들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에 맞서 경호처는 700명의 가용 인원을 총동원해 관저 방어에 나설 방침입니다. 출입구에는 쇠사슬과 철조망이 설치됐으며, 버스로 만든 차벽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 같은 대비 상황은 경호처가 체포영장 집행 때 물리적 충돌을 불사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정치권도 초긴장.. 책임 공방 격화
정치권은 이번 사태를 예의주시하며 책임 공방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여당은 “무리한 영장 집행으로 인한 유혈 사태 발생 시 책임은 수사 당국과 야당에 있다”라고 주장하는 반면, 야당은 “체포영장 집행은 시간문제”라며 신속한 집행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당내 의원들에게 비상대기령을 내리고 촛불집회 참여를 독려하며 체포영장 집행 전까지 강경 대응에 나섰습니다. 국민의힘은 다음 주 초 의원총회를 열어 사태 해결 방안을 논의할 계획입니다.
■ 결말 어디로.. “대치 국면 장기화 전망도”
현재 상황에서 경호처와 경찰 간 물리적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사태의 장기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지휘부 공백 속에서 내부 불만이 커질 경우 경호처의 대응 기조가 흔들릴 수 있다”라며 “시간이 경호처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어 이번 대치가 어떻게 마무리될지, 그 결말에 정치권과 국민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저 주변 긴장 최고조.. 찬반 집회 속 시민들 몰려
정치권도 책임 공방에 갈등 격화.. 지휘부 공백 속
내부 동요 우려.. 대치 장기화, 경호처 불리할 가능성↑

대통령 관저 출입문 근처에서 경호처 직원들이 외곽 풀숲을 따라 원형 철조망을 설치하고 있다. (SBS 캡처)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재집행을 앞두고 대통령 경호처가 고도의 긴장 속에서 강경 대응 기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김성훈 경호차장을 중심으로 내부 결속을 시도하고 있는 모습이지만, 자칫 지휘부 공백에 따른 불안감과 내부 동요 가능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 차장은 11일 경찰의 소환조사 요구를 거부하며 “중차대한 시기에 경호 임무에서 물러설 수 없다”라고 못 박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는 영장 집행 시도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김성훈 대통령 경호처 차장이 지난해 11월 19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SBS 캡처)
■ 수위 높이는 경찰 압박.. 경호처의 대응은?
경찰은 김성훈 차장을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체포할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경호처의 지휘 체계를 흔들고, 영장 집행에 대한 물리적 저항을 약화시키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이에 맞서 경호처는 “법과 원칙에 따라 대통령 경호 임무에 만전을 기하겠다”라며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호처는 대통령경호법에 따른 정당한 임무 수행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체포영장 집행이 국가 원수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 내부 결속과 균열 사이.. 경호처 ‘시험대’
박종준 전 경호처장의 사퇴 이후 김성훈 차장이 지휘하는 경호처는 보다 강경한 대응 기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휘부 공백 상황이 길어지면서 내부적으로 불안감이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일각에서는 경호처 내부에서 체포영장 집행에 대한 대응 방향을 두고 의견 충돌이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박 전 처장은 사퇴 전 대통령 변호인단에게 타협안을 제안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박종준 전 대통령 경호처장 (SBS 캡처)
■ 한남동 관저 주변 긴장 고조.. 탄핵 찬반 세력 대치
주말, 한남동 대통령 관저 주변은 차가운 날씨 속에서도 수백 명의 시민들로 붐비는 상황입니다. 탄핵 반대 세력은 “대통령 안전이 우선이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오전부터 집회를 이어가고 있으며, 방한용품을 챙겨와 장기전을 준비하는 모습입니다.
반면 탄핵 찬성 세력은 약 200미터 떨어진 지점에서 집회를 열고 ‘즉각 체포’라는 문구 등이 적힌 손팻말을 흔들며 체포영장 집행을 촉구하면서 대립 양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장에는 경찰 수백 명이 배치되어 두 세력 간 충돌을 방지하고 있고, 경호처 역시 출입구에 철조망과 쇠사슬을 설치하고 경계 태세를 한층 강화하고 나섰습니다. 관련해 한 시민은 “이런 상황이 벌어지리라 상상도 못 했다. 국민으로서 매우 불안하다”라는 말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서울 용산구 대통령 관저 인근 (SBS 캡처)
■ 정면 충돌 우려.. 경찰 1,000명 대 경호처 700명
경찰은 이번 체포영장 집행을 위해 최대 1,000명의 병력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형사기동대와 광역수사단 소속 수사관들이 대거 투입될 예정이며, 강력범죄 진압 경험이 풍부한 베테랑 수사관들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에 맞서 경호처는 700명의 가용 인원을 총동원해 관저 방어에 나설 방침입니다. 출입구에는 쇠사슬과 철조망이 설치됐으며, 버스로 만든 차벽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 같은 대비 상황은 경호처가 체포영장 집행 때 물리적 충돌을 불사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대통령 관저 앞, 경호처가 출입구 내·외부에 버스 여러 대를 동원해 ‘차벽’을 만들어 놓았다. (SBS 캡처)
■ 정치권도 초긴장.. 책임 공방 격화
정치권은 이번 사태를 예의주시하며 책임 공방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여당은 “무리한 영장 집행으로 인한 유혈 사태 발생 시 책임은 수사 당국과 야당에 있다”라고 주장하는 반면, 야당은 “체포영장 집행은 시간문제”라며 신속한 집행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당내 의원들에게 비상대기령을 내리고 촛불집회 참여를 독려하며 체포영장 집행 전까지 강경 대응에 나섰습니다. 국민의힘은 다음 주 초 의원총회를 열어 사태 해결 방안을 논의할 계획입니다.
■ 결말 어디로.. “대치 국면 장기화 전망도”
현재 상황에서 경호처와 경찰 간 물리적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사태의 장기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지휘부 공백 속에서 내부 불만이 커질 경우 경호처의 대응 기조가 흔들릴 수 있다”라며 “시간이 경호처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어 이번 대치가 어떻게 마무리될지, 그 결말에 정치권과 국민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총탄핵? 이건 쿠데타”., 권성동, 이재명·김어준 포함 72명 ‘내란죄’ 고발 예고
- ∙︎ “탄핵의 날은 오고 있나”.. 헌재 침묵 속, 광장이 먼저 폭발했다
- ∙︎ “어둠을 끌어안은 화가, 슬픔을 그리다”.. 고영우 개인전 ‘Layers of Fantasy: 환상에 대한 환상’
- ∙︎ “불꽃은 꺼지지 않았다”.. 4·3의 심장을 다시 지핀 예술의 역습
- ∙︎ 제주 해안도로서 시티투어버스-렌터카 충돌...2명 부상
- ∙︎ “기부 취소합니다”.. 산불 피해마저 갈라진 SNS, 애도보다 진영 싸움
- ∙︎ “얼마나 내렸다고 또 오른다고?”.. 8주 내린 기름값, 끝내 반등하나
- ∙ 비박 적발에 수사했더니.. 산방산 무단 입산 성공 후기 버젓이
- ∙ “전국은 움직였다, 하지만 제주는 떠났다”.. 19개월째 ‘인구 빠지는 섬’, 지금 “제주는 비워지는 중”
- ∙ “기부 취소합니다”.. 산불 피해마저 갈라진 SNS, 애도보다 진영 싸움
- ∙ 이재명, 산불현장서 또 위협.. “암살 제보 이어 실물 접촉까지, 경호는 뚫렸다”
- ∙ “제주, 초비상”.. 중국인 무비자 전국 확대에 관광 특수 대신 ‘경제 직격탄’ 우려
- ∙ “제주산 만감류, 살려라”.. 소비 부진에 깊어진 농가 한숨
- ∙ “맥주 한 캔도 두렵다”.. 퇴근 후 한 잔’ 여유마저 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