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9년까지 5개년 숲 조성 계획 수립
연간 296톤 이산화탄소 흡수 목표
일반 숲보다 월등한 탄소저장 능력을 가진 세미맹그로브 숲이 제주에 조성됩니다.
제주자치도는 '모두가 함께 맹글어 누리는 탄소 숲' 조성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국내 최초로 자생 세미맹그로브를 활용한 대규모 탄소흡수 숲 조성에 나선다고 오늘(16일) 밝혔습니다.
맹그로브는 일반 산림보다 3~5배 높은 탄소저장 능력을 가진 열대·아열대 지역 해안식물입니다. 제주지역에는 맹그로브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세미맹그로브'로 황근과 갯대추나무가 자생하고 있는데 기후변화로 이들의 서식 가능 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도는 올해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총사업비 45억 원을 투입해, 황근 등 제주 자생 세미맹그로브 숲 140ha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이는 연간 296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규모입니다.
세미맹그로브 숲은 서귀포시 성산읍을 시작으로 구좌·남원, 한림·대정 지역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합니다. 특히, 성산읍은 국내 최대 황근 자생지로, 첫 시범사업지로서의 상징성을 갖습니다.
도는 이를 위해 세미맹그로브 연구 추진협의체 구성해 운영합니다. 오는 18일 오후 2시 제주시 탑동 맹그로브 시티에선 '산림분야 탄소흡수원의 미래를 모색한다'를 주제로 전문가 토론회를 엽니다. 이달 21일엔 성산읍에서 '탄소중립 실현, 전국 최초 자생 맹그로브 미래를 심다'를 주제로 대규모 나무심기 행사를 진행합니다.
강애숙 도 기후환경국장은 "세미맹그로브 숲 조성은 제주의 고유한 자연자원을 활용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혁신적인 탄소흡수원 확충 정책"이라며 "과학적 연구를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접근과 도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해 대한민국 탄소중립 선도도시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해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지난 2022년부터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에서 '도서 해안지역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맹그로브 적응성 검증 및 조성 기반 구축 연구'를 수행해 왔습니다. 지난해 5월에는 국제 맹그로브 연합(MAC)에 가입하며 국제적 연구협력 체계도 구축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간 296톤 이산화탄소 흡수 목표

황근
일반 숲보다 월등한 탄소저장 능력을 가진 세미맹그로브 숲이 제주에 조성됩니다.
제주자치도는 '모두가 함께 맹글어 누리는 탄소 숲' 조성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국내 최초로 자생 세미맹그로브를 활용한 대규모 탄소흡수 숲 조성에 나선다고 오늘(16일) 밝혔습니다.
맹그로브는 일반 산림보다 3~5배 높은 탄소저장 능력을 가진 열대·아열대 지역 해안식물입니다. 제주지역에는 맹그로브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세미맹그로브'로 황근과 갯대추나무가 자생하고 있는데 기후변화로 이들의 서식 가능 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도는 올해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총사업비 45억 원을 투입해, 황근 등 제주 자생 세미맹그로브 숲 140ha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이는 연간 296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규모입니다.
세미맹그로브 숲은 서귀포시 성산읍을 시작으로 구좌·남원, 한림·대정 지역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합니다. 특히, 성산읍은 국내 최대 황근 자생지로, 첫 시범사업지로서의 상징성을 갖습니다.
도는 이를 위해 세미맹그로브 연구 추진협의체 구성해 운영합니다. 오는 18일 오후 2시 제주시 탑동 맹그로브 시티에선 '산림분야 탄소흡수원의 미래를 모색한다'를 주제로 전문가 토론회를 엽니다. 이달 21일엔 성산읍에서 '탄소중립 실현, 전국 최초 자생 맹그로브 미래를 심다'를 주제로 대규모 나무심기 행사를 진행합니다.
강애숙 도 기후환경국장은 "세미맹그로브 숲 조성은 제주의 고유한 자연자원을 활용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혁신적인 탄소흡수원 확충 정책"이라며 "과학적 연구를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접근과 도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해 대한민국 탄소중립 선도도시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해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지난 2022년부터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에서 '도서 해안지역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맹그로브 적응성 검증 및 조성 기반 구축 연구'를 수행해 왔습니다. 지난해 5월에는 국제 맹그로브 연합(MAC)에 가입하며 국제적 연구협력 체계도 구축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기부 취소합니다”.. 산불 피해마저 갈라진 SNS, 애도보다 진영 싸움
- ∙ 축제 바가지 논란에 놀란 제주도 "메뉴판에 사진 넣어라"
- ∙ “총탄핵? 이건 쿠데타”., 권성동, 이재명·김어준 포함 72명 ‘내란죄’ 고발 예고
- ∙ “SNS에도, 논평에도 없더니”.. 산불 현장에 매일 나오는 사람 ‘하나’ 있었다
- ∙ 고사리 캐다 실종된 80대.. 휴대전화 GPS 추적으로 찾아
- ∙ “재산은 4분의 1, 빚은 두 배”.. 혼자 감당하는 ‘한부모의 나라’
- ∙ “전국은 골프에 빠졌는데, 제주는 왜 혼자 식었나?”.. 국내 최하위 기록한 ‘골프의 섬’의 추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