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4-05] 0405 8뉴스
해안변...그린벨트 설정 구체화
해안변...그린벨트 설정 구체화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제주해안은 가장 제주적이면서도
모든 사람들이 즐겨 찾는 쉼터이자삶의 공간입니다.

하지만 무분별한 개발로 최근 제주해안은 심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제주해안변이 계획적으로 개발됩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소식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일종의 개발제한 구역인 그린벨트는 도시의 무절제한 팽창을 막고 주변 녹지 환경을 보전하기 휘해 법적으로 지정된 녹지대입니다.

제주도가 해안별로 그린벨트와 계획허가제 도입을 통해 난개발 방지에 나섭니다.

그러니까 해안변에 그린벨트를 설정해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지구단위로 추진되는 현행 도시개발 방식을
계획허가제로 전환해 난개발을 차단하겠다는 의지입니다.

자세한 내용을 안수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안수경 기잡니다.


성산일출봉은 세계자연유산입니다.

하지만, 주변에선 개발과 경관사유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개발이 불가능한 지역과 이미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이 겹쳐 더 개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곳 처럼 세계적인 미래가치가 있는 해안 보전 연안을 해안변 그린벨트로 묶어야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효돈천과 성산일출봉, 용머리해안 등 연안 생물권보전지역과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이 그린벨트 대상 지역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밖에 연안은 장기적으로 계획허가제를 도입해 관리해야 한단 의견도 제시됐습니다.

계획허가제는 해안변을, 개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보전영역과 도시계획에 부합하는 사업만 허가하는 중간영역과 이용영역 등 3가지로 나눠 관리합니다.


권기정 한국산업개발연구원 본부장
"단기적으로 용도지역제를 운용하고, 장기적으로 계획허가제를 고려한다면 제주도에서 계획을 잘 세운다면 굳이 그린벨트를 하지 않더라도, 그린벨트 지역을 계획허가제로 묶어서라도 할 수 있으니까 이런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

제주자치도는 해안변 그린벨트 도입 등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김창선 제주자치도 해양수산국장
"근거법에 의한 조례를 만들어서 관리한다든지. 근거법, 모법이 없으면 제주특별법의 특례조항을 가지고 근거법을 만들어서 조례로 만들어서 관리를 한다든지..."

해안변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이번 용역이 구체화 될 경우, 사유 재산을 침해한다는 반발도 나올 수 있습니다.

때문에 대상 해안변의 범위를 어디까지 할지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도 관련 정책 수립에 과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JIBS 안수경입니다.
안수경 기자
우도... 전기차로 탈바꿈
우도... 전기차로 탈바꿈
섬 속의 섬 우도가 차량 총량제 이후

고질적인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 마련에 나서고 있습니다.

전기버스가 운영되면서 그동안 보험문제가 불거졌던 스쿠터도 전기차로 교체 운영한다는 것입니다.

변화를 시도하는 우도를 박재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다음 주부터 우도에서 운영되는 전기 버스입니다.

주민 390여세대가 직접 도입했습니다.

20여대 전기버스가 우도 주요 교통 수단으로 운영됩니다.

고혜동 우도주민 협동조합 이사장
"이 버스로 하여금 손님들이 관광도 하고 시간을 많이 들여서 머무르면서 식사도 하고 차도 마시고 나갈 수 있도록. 시간을 많이 주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교통 사고가 났을 때 보상등의 문제가 붉어졌던 전기 스쿠터

1천여대 가량을 소형 전기차로 바꾸기 위한 논의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업체에서도 보험 가입이 쉽고, 유지비가 적어 대체로 전환에 긍정적입니다.

김진환 우도 전기 스쿠터 업체 대표
“지금 오토바이는 자차 자손이 안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기차는) 사고 났을 때 바로 대처하는 것도 좋고 비용 문제가 해결도 되는 거고, 업체 한테도”

지난해 도입된 전기 렌터카를 주민들에게 대여해주는 카셰어링 사업도 추진되고 있습니다.

교통난으로 신음하던 우도가 전기 교통수단을 적극 도입하며 해법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JIBS 박재현입니다.
박재현 기자
제주 왕벚나무 자원화 기지개
제주 왕벚나무 자원화 기지개
오늘(5)은 숲과 나무의 소중함을 알리는 식목일입니다.

왕벚나무는 한라산이 전세계에서 유일한 자생지지만, 아직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 왕벚나무를 자원화하기 위한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도심 속에 화려하게 피어난 왕벚나무는 제주의 대표적 봄 경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도내 가로수 6만8천여 그루 가운데 23%인 1만5천여 그루가 왕벚나뭅니다.

하지만 사실상 거의 모든 왕벚나무 가로수는 일본에서 들여왔습니다.

왕벚나무 자생지가 확인곳은 전 세계에서 한라산 밖에 없지만, 육성 보급 시키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송관필 제주생물자원연구소 박사
"(일본은) 자생지가 발견되지 않고 있어요. 제주 왕벚나무는 상당히 변이 폭이 심하고, 개체들도 다양한 형태를 보여줍니다"

뒤늦게나마 한라산 자생 왕벚나무 증식 사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축구장 14개 면적 부지에 3천2백여 그루의 왕벚나무를 심었습니다.

두 배 가량 보급원 면적을 늘리고 가로수나 조경수로 적합한 우수 품종도 찾게 됩니다.

현화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박사
"아직은 어린 나무인데요. 이 나무들이 커서 성목으로 자라게 되면 이 나무에서 접수를 채취합니다. 접수를 가지고 접목 기술을 이용한 대량 증식이 가능한거죠"

김동은 기자
"이곳에서 대량 육성된 왕벚나무는 앞으로 5년쯤 뒤에는 실제 가로수로 보급될 예정입니다"

한라산 왕벚나무가 제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가로수로 활용될 날이 그리 멀지 않았습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김동은 기자
4.3 특별법 개정 .... 중앙 정치권 '먹구름'
4.3 특별법 개정 .... 중앙 정치권 '먹구름'
4.3 생존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배.보상과 지원 규정이 담긴 4.3 특별법 개정안이 국회에 계류중입니다.

희생자에 대한 배보상이 핵심인데, 여야뿐 아니라 정부에서도 애매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제주에 봄이 오고 있다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추념사를 생각해보게 합니다.

조창범 기잡니다.


4.3 특별법 개정에 여야가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그러나 정치권의 셈법은 제각각입니다.

제1야당은 여전히 이념논리로 제동을 걸고 있고 또 다른 야당은 희생자 개별심사를 골자로 한 개정안을 발의한 상탭니다.

주관부처인 행정안전부도 4.3 희생자 배보상과 관련해 애매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른 과거사와 함께 엮어 처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양윤경 제주4.3희생자유족회장
"기존 방향은, 우리가 생각하고 있었던 것은 과거사 문제는 통틀어서 가려고 하는 분위기가 있어요, 사실. 그래서 어제(4월3일) 만나서 절대 안된다,, 이러이러한 이유때문에 안된다고 얘기해서 장관이 받아들였어요."

5.18민주화운동의 경우, 보상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해 보상의 근거를 마련했습니다.

관련 심의위원회에서 희생자 결정이 이뤄지면 바로 보상이 이뤄집니다.

제주는 이미 희생자가 선정됐고, 추가 희생자 조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단지 배보상을 위해 희생자 조사를 다시 한다면 기존 진상조사의 내용을 부정하게되고 갈등을 키우게 된다는 비판이 높습니다.

생존희생자의 나이는 평균 85.3세.

특별법 개정이 늦어진다면 수혜 대상도 크게 줄게 되고 그 의미도 퇴색될 수 밖에 없습니다.

JIBS 조창범입니다.
조창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