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더 큰 내일센터 정식 출범

뉴스 클립 VOD

[제주 날씨] 제주산지 '건조 특보', 내일 오늘보다 기온 더 올라

오늘은 화창한 봄날씨가 이어졌는데요. 문제는 산지를 중심으로 대기가 계속해서 메말라가고 있습니다. 여기에 내일은 초여름 수준으로 기온이 오르면서 대기가 더욱 건조해지겠는데요. 계속해서 산불 등 화재사고에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자세한 내일 지역별 기온 살펴보시면, 내일 아침 대정과 안덕 12도로 출발해, 한낮에는 20도 안팎까지 오르겠고요. 조천과 세화도 12도로 시작해, 한낮에는 조천 22도, 세화는 23도까지 오르며 따뜻하겠습니다. 이어서 산간지역은 내일 아침 성판악 10도, 관음사 9도, 한낮에는 13도에서 19도 분포 보이겠습니다. 내일 바다의 물결은 전 해상에서 최고 1m로 잔잔하게 일겠습니다. 전국 대부분 지역에 건조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내일은 대기가 더 건조해지겠는데요. 다행히 모레에는 전국에 단비 소식이 있지만, 강풍을 동반하겠습니다. 내일 낮 기온 서울 25도, 전주와 대구는 27도까지 오르며 다소 덥겠습니다. 이어서 아시아날씨도 살펴보겠습니다. 마닐라는 비가 지나는 가운데, 내일이면 대부분 그치겠고요. 발리는 주 후반까지 길게 비가 이어지겠습니다. 근로자의 날인 목요일, 10에서 60mm 정도의 비 소식이 있고요. 토요일 오전에도 한 차례 비가 내릴 전망입니다. 날씨였습니다.

"방파제 완공 4개월만에"...부실공사 논란까지

제주시내 한 방파제에서 안전문제가 제기됐습니다. 연장공사가 마무리된지 4개월만에 방파제 전체가 비틀어진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심지어는 등대까지 기울어져 아슬아슬한 상황인데요. 부실 공사 논란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용기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제주시의 한 포구입니다. 곧게 서 있어야 할 빨간색 등대가 한눈에 봐도 기울어져 있습니다. 등대가 세워진 방파제 연결 부위는 심하게 비틀어져 있는 상황입니다. 방파제 옆과 밑부분에는 큰 공간도 확인됩니다. 낚시객 "저희 낚시하러 왔는데 되게 위험해 보여 가지고, 여기에 계속 있어도 괜찮나 싶을 정도로" 정용기 기자 "파손된 방파제 구조물 때문에 빨간 등대마저 크게 기울어지면서 제역할을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 방파제는 지난 2022년 8월부터 정부 어촌 뉴딜 사업으로 1년간 50미터가 연장됐습니다. 당시 사업비만 37억원이나 투입됐습니다. 문제는 이 방파제 공사가 마무리된 지난 2023년 8월 이후 불과 4개월 만에 방파제가 기울어지기 시작했다는 점입니다. 당시 방파제 설계나 공사가 부실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윱니다. 지역주민 "여기 바다가 어마어마하게 센 데 거든요. 그걸 모르니까 모래가 빠져나가고 빠져나가고 침식되고 세월이 지나서 조금씩 조금씩..." 방파제 전반에 문제가 생기자, 제주시는 공사 당시 모래 지반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는 의견까지 제시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하지만 공사를 진행한 한국어촌어항공단은 방파제 보호 시설을 설계보다 확대 시공했고, 준공 이후 3차례 이상 강력한 파도에 방파제 보호 시설이 유실됐다며 부실 공사는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 걱정되는 건 방파제 자체가 위험한 상황인데도, 보수 공사는 2년이 다 되도록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어촌 뉴딜사업이 마무리돼 추가 예산이 확보되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부실 공사 논란에 보수 지연까지. 방파제 자체가 제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다가오는 태풍 시기까지 겹치면서 지역 주민들은 오히려 안전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가 됐습니다. JIBS 정용기입니다. 영상취재 윤인수, 박주혁

[대담] 라이즈(RISE) 사업 | 박경린 제주RISE센터장

그럼 라이즈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제주 RISE센터 박경린 센터장 모시고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박경린 제주RISE센터장 1. 라이즈 사업이 좀 생소한데요,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라이즈는 지역을 살리기 위한 정부차원의 사업입니다. 지금까지는 교육부에서 대학에 재정지원사업을 해 왔는데, 교육부에서 각 지역의 특색에 맞는 정책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교육부의 예산과 권한을 지자체로 이관해서, 지자체가 그 지역에 맞는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 라이즈 사업입니다. RISE의 말 뜻이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Education입니다. 지역혁신 중심 교육사업이라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에서는 이 사업을 활용해서 대학이 지역기업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고, 그 인력들이 다시 대학을 키우는, 그래서 지역이 키우는 대학, 대학이 키우는 지역이라는 선순환 관계를 만드는게 목표입니다. 2. 오늘 위원회에서 올해 사업이 심의.의결되고, 협약이 이뤄졌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입니까? 올해 도내 3개 대학이 추진할 사업계획이 확정됐습니다. 5개 프로젝트 8개 단위과제에 총 416억원의 예산이 지원됩니다. 대학별로 보면, 제주대학교의 목표는 '지역과 대학의 공동진화(Co-evolution)를 선도하는 지역혁신 대학'입니다. 올해 267억원을 투입해 8개의 단위과제를 수행하게 됩니다. 제주관광대학교는 관광과 식품 분야의 '복합 교육관광 모델'을 특화사업으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54억원의 예산으로 6개 단위과제를 수행하게 됩니다. 제주한라대학교는 인공지능 융합 자유전공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95억원의 예산으로 8개의 단위과제를 수행하게 됩니다. 이 사업과 관련한 의결이 이루어지고, 지자체와 3개 대학의 협약식이 있었습니다. 3. 제주라이즈센터가 새롭게 출범했습니다. 어떤 기관입니까? 제주도에서 추진하는 라이즈사업을 총괄하는 센터입니다. 지난 2023년부터 올해 2월까지 진행됐던 RIS사업 총괄운영센터가 라이즈센터로 전환되서 출범한 조직입니다. 앞으로 지자체의 정책방향과 기업의 인력수요, 대학의 교육방향을 잘 연결해서 이 사업의 혜택을 많은 지역 주민들이 느낄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4. 마지막으로 도민께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지역에서 청년들은 일자리가 없다고 합니다. 반대로 지역의 기업들은 일할 사람이 없다고 합니다. 이 악순환을 끊고 일할 사람이 있고 일할 자리가 있는 지역을 만들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