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오는 22일 세계 물의 날을 맞아 농업 용수의 과제를 짚어보는 기획 뉴스를 마련했습니다.
농업용수는 제주 지하수 취수 허가량의 60% 가량을 차지할 만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여)하지만 상당량의 농업 용수가 도로나 땅에서 새고 있지만,
얼마나 새고 있는지 기초적인 누수율 조차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김동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시내 한 밭입니다.
밭 한쪽으로 긴 수로가 만들어졌습니다.
경사면 안쪽에서는 물이 계속 흘러나옵니다.
이곳을 파보니, 금속으로 된 관이 하나 나타납니다.
매설된지 40년이 넘은 농업용수 관이 파손된 겁니다.
밭으로 흘러든 물 때문에 농작물 피해도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홍명수 농민
"두달 넘었어요. 지금 물이 샌지가...물이 새니까, 계속 흐르니까 물 낭비 아니에요"
김동은 기자
"농업용수 관이 노후되다보니, 수리를 마치더라도 다른 쪽에서 물이 새고 있는 상황입니다"
문제는 누수가 심해지면서 정작 물이 부족한 농민이 더 늘고 있다는 점입니다.
윤이하 제주시 애월리 수리계장
"노후돼서 건들면 부서져요. 4개월 만에 다시 주변에서 터져서 안 보이는 곳도 너무 많이 새고 있어서 물 부족이 너무 심해요"
또 다른 밭에는 농업용수 관로가 제대로 매설되지 않고 외부로 드러나 물이 줄줄 새고 있습니다.
이 마을에선 이런 농업용수 보수 공사 건수가 매년 크게 늘어,
한해 수천만 원씩 투입될 정도입니다.
윤이하 제주시 애월리 수리계장
"1년에 한 50차례 정도 수리하거든요. 마을 차원에서...점점 앞으로 더 많이 늘어나는 상황이에요"
도내 농업용수 관로 중 30년 이상 지난 노후 관로는 850킬로미터로 20%가 넘습니다.
그렇다면 제주지역 농업용수는 얼마나 누수되는 걸까?
(자료:제주 농업용수 종합계획)
지난 2019년부터 4차례 농업용수 누수율 조사가 이뤄졌지만,
조사에 따라 누수율은 3에서 80%로 편차가 높은 상황입니다.
누수율이 얼마나 되는지 조차 모르고 있다는 얘깁니다.
김민철 제주연구원 지하수연구센터 박사
"관로의 길이나 관로의 경사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누수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원인 파악을 먼저 하고 그것에 맞춰서 대책을 만들어 가는..."
농업용수는 제주 지하수 취수 허가량의 60%를 차지하고 있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아까운 물이 땅 속으로 사라지고 있습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영상취재 윤인수
JIBS 제주방송 김동은(kdeun2000@hanmail.net) 윤인수(kyuros@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업용수는 제주 지하수 취수 허가량의 60% 가량을 차지할 만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여)하지만 상당량의 농업 용수가 도로나 땅에서 새고 있지만,
얼마나 새고 있는지 기초적인 누수율 조차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김동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시내 한 밭입니다.
밭 한쪽으로 긴 수로가 만들어졌습니다.
경사면 안쪽에서는 물이 계속 흘러나옵니다.
이곳을 파보니, 금속으로 된 관이 하나 나타납니다.
매설된지 40년이 넘은 농업용수 관이 파손된 겁니다.
밭으로 흘러든 물 때문에 농작물 피해도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홍명수 농민
"두달 넘었어요. 지금 물이 샌지가...물이 새니까, 계속 흐르니까 물 낭비 아니에요"
김동은 기자
"농업용수 관이 노후되다보니, 수리를 마치더라도 다른 쪽에서 물이 새고 있는 상황입니다"
문제는 누수가 심해지면서 정작 물이 부족한 농민이 더 늘고 있다는 점입니다.
윤이하 제주시 애월리 수리계장
"노후돼서 건들면 부서져요. 4개월 만에 다시 주변에서 터져서 안 보이는 곳도 너무 많이 새고 있어서 물 부족이 너무 심해요"
또 다른 밭에는 농업용수 관로가 제대로 매설되지 않고 외부로 드러나 물이 줄줄 새고 있습니다.
이 마을에선 이런 농업용수 보수 공사 건수가 매년 크게 늘어,
한해 수천만 원씩 투입될 정도입니다.
윤이하 제주시 애월리 수리계장
"1년에 한 50차례 정도 수리하거든요. 마을 차원에서...점점 앞으로 더 많이 늘어나는 상황이에요"
도내 농업용수 관로 중 30년 이상 지난 노후 관로는 850킬로미터로 20%가 넘습니다.
그렇다면 제주지역 농업용수는 얼마나 누수되는 걸까?
(자료:제주 농업용수 종합계획)
지난 2019년부터 4차례 농업용수 누수율 조사가 이뤄졌지만,
조사에 따라 누수율은 3에서 80%로 편차가 높은 상황입니다.
누수율이 얼마나 되는지 조차 모르고 있다는 얘깁니다.
김민철 제주연구원 지하수연구센터 박사
"관로의 길이나 관로의 경사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누수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원인 파악을 먼저 하고 그것에 맞춰서 대책을 만들어 가는..."
농업용수는 제주 지하수 취수 허가량의 60%를 차지하고 있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아까운 물이 땅 속으로 사라지고 있습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영상취재 윤인수
JIBS 제주방송 김동은(kdeun2000@hanmail.net) 윤인수(kyuros@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