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 라이즈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제주 RISE센터 박경린 센터장 모시고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박경린 제주RISE센터장
1. 라이즈 사업이 좀 생소한데요,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라이즈는 지역을 살리기 위한 정부차원의 사업입니다.
지금까지는 교육부에서 대학에 재정지원사업을 해 왔는데, 교육부에서 각 지역의 특색에 맞는 정책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교육부의 예산과 권한을 지자체로 이관해서, 지자체가 그 지역에 맞는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 라이즈 사업입니다.
RISE의 말 뜻이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Education입니다. 지역혁신 중심 교육사업이라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에서는 이 사업을 활용해서 대학이 지역기업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고, 그 인력들이 다시 대학을 키우는, 그래서 지역이 키우는 대학, 대학이 키우는 지역이라는 선순환 관계를 만드는게 목표입니다.
2. 오늘 위원회에서 올해 사업이 심의.의결되고, 협약이 이뤄졌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입니까?
올해 도내 3개 대학이 추진할 사업계획이 확정됐습니다.
5개 프로젝트 8개 단위과제에 총 416억원의 예산이 지원됩니다.
대학별로 보면, 제주대학교의 목표는 '지역과 대학의 공동진화(Co-evolution)를 선도하는 지역혁신 대학'입니다.
올해 267억원을 투입해 8개의 단위과제를 수행하게 됩니다.
제주관광대학교는 관광과 식품 분야의 '복합 교육관광 모델'을 특화사업으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54억원의 예산으로 6개 단위과제를 수행하게 됩니다.
제주한라대학교는 인공지능 융합 자유전공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95억원의 예산으로 8개의 단위과제를 수행하게 됩니다.
이 사업과 관련한 의결이 이루어지고, 지자체와 3개 대학의 협약식이 있었습니다.
3. 제주라이즈센터가 새롭게 출범했습니다. 어떤 기관입니까?
제주도에서 추진하는 라이즈사업을 총괄하는 센터입니다.
지난 2023년부터 올해 2월까지 진행됐던 RIS사업 총괄운영센터가 라이즈센터로 전환되서 출범한 조직입니다.
앞으로 지자체의 정책방향과 기업의 인력수요, 대학의 교육방향을 잘 연결해서 이 사업의 혜택을 많은 지역 주민들이 느낄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4. 마지막으로 도민께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지역에서 청년들은 일자리가 없다고 합니다.
반대로 지역의 기업들은 일할 사람이 없다고 합니다.
이 악순환을 끊고 일할 사람이 있고 일할 자리가 있는 지역을 만들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JIBS 제주방송 하창훈 (chha@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경린 제주RISE센터장
1. 라이즈 사업이 좀 생소한데요,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라이즈는 지역을 살리기 위한 정부차원의 사업입니다.
지금까지는 교육부에서 대학에 재정지원사업을 해 왔는데, 교육부에서 각 지역의 특색에 맞는 정책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교육부의 예산과 권한을 지자체로 이관해서, 지자체가 그 지역에 맞는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 라이즈 사업입니다.
RISE의 말 뜻이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Education입니다. 지역혁신 중심 교육사업이라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에서는 이 사업을 활용해서 대학이 지역기업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고, 그 인력들이 다시 대학을 키우는, 그래서 지역이 키우는 대학, 대학이 키우는 지역이라는 선순환 관계를 만드는게 목표입니다.
2. 오늘 위원회에서 올해 사업이 심의.의결되고, 협약이 이뤄졌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입니까?
올해 도내 3개 대학이 추진할 사업계획이 확정됐습니다.
5개 프로젝트 8개 단위과제에 총 416억원의 예산이 지원됩니다.
대학별로 보면, 제주대학교의 목표는 '지역과 대학의 공동진화(Co-evolution)를 선도하는 지역혁신 대학'입니다.
올해 267억원을 투입해 8개의 단위과제를 수행하게 됩니다.
제주관광대학교는 관광과 식품 분야의 '복합 교육관광 모델'을 특화사업으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54억원의 예산으로 6개 단위과제를 수행하게 됩니다.
제주한라대학교는 인공지능 융합 자유전공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95억원의 예산으로 8개의 단위과제를 수행하게 됩니다.
이 사업과 관련한 의결이 이루어지고, 지자체와 3개 대학의 협약식이 있었습니다.
3. 제주라이즈센터가 새롭게 출범했습니다. 어떤 기관입니까?
제주도에서 추진하는 라이즈사업을 총괄하는 센터입니다.
지난 2023년부터 올해 2월까지 진행됐던 RIS사업 총괄운영센터가 라이즈센터로 전환되서 출범한 조직입니다.
앞으로 지자체의 정책방향과 기업의 인력수요, 대학의 교육방향을 잘 연결해서 이 사업의 혜택을 많은 지역 주민들이 느낄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4. 마지막으로 도민께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지역에서 청년들은 일자리가 없다고 합니다.
반대로 지역의 기업들은 일할 사람이 없다고 합니다.
이 악순환을 끊고 일할 사람이 있고 일할 자리가 있는 지역을 만들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JIBS 제주방송 하창훈 (chha@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